운영체제의 커널과 사용자를 이어주는 소프트웨어다.
Git Bash를 이용하여 쉘 커맨드를 입력할 수 있다.
커맨드 입력창에 $ 표시가 있다면 사용자의 입력을 받을 준비가 되있다는 의미이다.
ls (리스트 새그먼트) : 현재 디렉토리의 파일을 보여준다.ls -a : a플래그로 숨김 파일도 볼수있다.ls -l : l플래그로 파일들의 상세정보도 볼수있다.ls -la : l, a플래그로 숨겨진 파일들과 상세정보 둘다 볼 수있다.cd (Directory) : 명시한 디렉토리로 이동../ : 상위 디렉토리로 이동한다../ : 현재 디렉토리를 의미한다.mkdir (Directory) : 명시한 이름의 디렉토리를 생성한다.touch (File) : 명시한 이름의 파일을 생성한다.mv (File) (Directory) : 명시한 디렉토리로 명시한 파일을 옮긴다.cp (File) (Directory) : 명시한 파일을 복사해 명시한 디렉토리에 생성한다.(File).* : 명시한 이름을 가진 모든 파일을 의미한다..(Extension) : 명시한 확장자의 모든 파일을 의미한다.rm (File) : 명시한 파일을 삭제한다.rm -rf (Directory) : 명시한 디렉토리를 삭제한다.mv (Directory 1) (Directory 2) : 디렉토리 1을 디렉토리 2라는 이름으로 변경한다.vim (File) : vim이라는 응용프로그램으로 명시한 파일을 실행해라cat (File) : 명시한 파일을 병합해서 셀에 띄어라Vim(빔, Vi IMproved)은 Bram Moolenaar가 만든 vi 호환 텍스트 편집기이다.
시작화면에서 I 를 눌러서 Insert Mode에 진입한 후 수정이 가능하다.
I : Insert Mode에 진입한다.V : Visual Mode에 진입한다.ESC : Normal Mode에 진입한다.Normal Mode에서 : 를 입력 한 후 단축키를 눌러 커맨드를 실행한다.
w : 현재까지 내용을 저장한다.wq : 현재까지의 내용을 저장하고 나간다.q : 편집기에서 나간다.q! : 변경된 내용을 무시하고 편집기에서 나간다.개인적으로 공부한 내용을 포스팅 한 것으로 태클은 환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