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ap 3 Process

SUbbb·2021년 8월 23일
0

OperatingSystem

목록 보기
3/6
post-thumbnail

Concept of Process

Process

  • 실행 중인 프로그램

Representing a process

  • Current instruction : PC = 현재 실행 중인 명령어 주소를 저장하는 CPU register
  • Register state (CPU) → 프로세스는 register의 값을 변경함
  • Memory contents (Stack, Heap, 전역 변수)
  • Parent info

⇒ 프로그램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스를 가질 수 있다


Process Memory Layout

  • process가 어떻게 메모리공간을 사용하는지

Untitled

  • 32bit라고 가정했을 경우, 각 프로세스에는 위와 같은 형태의 가상 메모리가 4GB 할당된 것으로 생각
    • 4GB인 이유는 32bit architecture에서 인식할 수 있는 최대 메모리 크기가 4GB임
    • 이때, Reserved by Kernel은 1GB를 가짐
  • Stack area (segment)
    • grows downward as functions are called
    • 호출되는 함수들의 파라미터, 지역변수, return value가 저장
  • Heap area
    • grows upward as more dynamic memories are requested
    • 동적 할당 메모리 처리
    • ex. malloc() or brk()
  • Data segment
    • 전역 변수가 저장되는 지역 (thin region)
  • Text segment
    • 프로그램 code가 위치 (Binary)
    • PC는 Text segment 안에서 이동
  • 프로그램이 많은 함수를 호출하고, 많은 메모리를 동적으로 할당하게 된다면, stack 영역과 heap 영역이 충돌하게 됨
  • Kernel stack이 필요한 이유
    • System call 호출하여 Kernel로 이동하였을 때, return 값을 저장하기 위해 필요

Untitled 1

  • Kernel Stack은 여러 개가 존재하고, 각 프로세스에 할당됨

Process State

  • Process Life Cycle

Untitled 2

  • new : process create
  • ready : ready queue가 존재, processor에 할당되기를 기다리는 프로세스 존재
  • running : ready queue에서 OS가 알고리즘에 의해 한 프로세스를 동작시킴
    • single core의 경우, 어느 한 시점에서나 항상 1개의 프로세스만 동작 중
  • waiting : event의 occur을 기다리는 프로세스들이 wait queue에 존재
    • 특히 I/O completion을 기다리는 프로세스가 위치
  • terminated : 프로세스 종료
  • preempted : 한 프로세스가 일정 시간 이상 CPU를 사용하여 다른 프로세스의 동작을 위해 다시 ready queue로 이동

Process (Task) Control Block (PCB)

  • 일종의 concept

PCB : 프로세스를 표현하는 kernel 안의 자료구조

Untitled 3

  • process state : New, ready, running, waiting, halted
  • PID
  • PC
  • register (CPU) : + CPU scheduling info
  • memory limits : + Memory-management info (mapping) (page table, segment table)
  • list of open files
  • Accounting info (keeping track)
    • CPU time usage, job, process # ⇒ scheduling에도 관여

PCB Representation in Linux

  • structure for Process!

Struct task_struct

Untitled 4

  • 각 프로세스들은 Doubled Linked List 형태로 모두 연결되어져 있다 → 앞, 뒤 모두 참조 가능

Threads

프로세스 내의 single sequence of execution

PC, register states and stack area가 분리

  • 각 thread는 서로 다른 PC값, register 값, stack area를 가짐

하나의 프로세스는 하나 이상의 threads를 가질 수 있음

Untitled 5

  • exe 파일 내, 서로 다른 위치에서 code들이 실행됨

⇒ 프로세스에게 할당된 memory 내에서 thread는 memory 사용


Process switch

Untitled 6

  • 프로세스 0이 실행되다가 System call 또는 Interrupt가 발생하면 프로세스 0이 잠시 OS가 되어, PCB0에 현재 프로세스의 상태를 저장하고, PCB1에 저장된 프로세스 1의 상태를 불러온다 → 프로세스 1이 실행된다. 이때 프로세스 0은 idle한 상태
  • 프로세스 1의 경우도 동일

⇒ CPU가 쉬지 않고 프로세스를 동작시킴

Untitled 7

  • syscall handling 후 어느 프로세스로 return할 지 결정하는 것 → schduling

Process Scheduling

  • scheduling하는 이유 : CPU 사용을 최대화하기 위함
  • Multi-programming : 여러 프로그램을 memory에 올려두고 실행 → CPU 사용 최대화를 위함
  • Time-sharing : CPU의 시간을 잘게 나누어 여러 user가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 여러 프로그램을 빠르게 switching하면서 동작 → scheduling을 위함

⇒ Process Scheduling

: Process에서 실행할 다음 프로세스를 select

Scheduling Queues → memory에 저장

  • job queue
    • Ready Q 전에 프로세스가 load되는 Q → 모든 프로세스가 저장
  • Ready queue
    • 실행 준비가 된 프로세스를 저장하고 있는 Q → linked list of PCBs로 구현
  • Device queue (=Wait Q, I/O Q)
    • I/O device를 wait하는 프로세스가 저장되는 Q
    • 각각의 device들은 모두 각자의 Device Q를 가짐
    • 작업이 완료되면 다시 ready Q로 돌아감

Queuing digram

Untitled 8

  • 프로세스가 ready Q로 전달 → ready Q에서 특정 알고리즘에 의하여 CPU에서 동작시킬 프로세스를 결정하고 CPU로 전달
  • CPU에서는
    • 프로세스가 작업을 모두 완료하고 exit
    • I/O issue로 인해 I/O Q로 전달 → block되었다가 → 작업 완료 후 다시 ready Q로 전달
    • 일정 시간 이상 CPU를 사용하여 다시 ready Q로 전달 (OS가 timer를 set on ⇒ interrupt 발생)

Scheduler

→ 일종의 function으로 다음 실행할 프로세스를 선택

  • 정책에 의해 Q로부터 프로세스를 선택

Long-term scheduler = job scheduler

  • 많은 job 중 일부를 선택하여 ready Q에 push
  • job = 모든 processes

Short-term scheduler = CPU scheduler

  • ready Q에 있는 프로세스를 선택하여 CPU에 전달
    • 이때 알고리즘이 필요

processes type

  • I/O bound → I/O 작업 처리 시간이 더 긴 프로세스
  • CPU bound → CPU 작업 처리 시간이 더 긴 프로세스
  • Long-term scheduler는 I/O bound와 CPU bound의 균형이 좋은 job을 선택해야 한다
    • 균형이 맞지 않고 entirely하다면, CPU나 I/O device가 idle하는 경우가 발생, CPU는 항상 최대한 사용량을 높이는 것을 목표로 하기 때문에 올바르지 X

scheduling criteria

  • CPU utilization 증가
  • avg waiting time 감소
  • response time 감소
  • fairness

Context Switch

  • Process switch와 같은 의미

  • Context : PCB에 저장되어 있는 프로세스 state = 프로세스의 현재 상태

Context Switch (Saving & Restoring)

  • 현 프로세스의 state를 저장하고, 다른 프로세스의 state를 불러오는 것
  • running app 관점에서, 도움이 되는 행위가 아닌 management action일 뿐이기 때문에 무조건 빨라야 한다

HW support로 context switch time을 줄일 수 있다

  • CPU에 multiple register set이 존재한다면,
    원래는 memory에 프로세스의 register값을 모두 저장해야 하지만,
    단순히 pointer를 바꾸는 것으로 대체 가능
  • 하지만 2 sets → 2 processes만 가능하므로, 다른 프로세스가 추가된다면
    결국 p1 또는 p2의 register set이 memory에 copy되어야 하기 때문에
    memory copy는 막지 못한다

Operations on Processes

Process creation (fork)

  • parent/child → tree 구조

PID : 식별자

init process (pid = 1)

  • first process

PID가 다 차면 종료된 PID를 내보내고 새로 저장

Resource

  • parent가 fork()로 child 생성

  • 이때 memory는 어떻게?

    • 새로 할당 → 프로세스 간 memory balance가 맞지 않는 문제
    • Parent resource 공유 → 정해진 수만큼의 child만 생성가능하기 때문에 성능 저하

    ⇒ 정답이 없고 policy를 따름

  • child 프로세스를 생성

    • parent가 다른 일 처리를 위해 생성함
    • parent와 child는 병렬 동작
    • parent는 child의 종료를 기다려야 함

Process creation in UNIX/Linux

fork() system call

  • 새 프로세스 생성, 새 프로세스의 PID를 return 해줌
    • 새 프로세스에 parent의 memory content를 copy
    • fork() 후에 parent와 child는 병렬적으로 실행됨 (process로서 동일한 취급)
    • fork()'s return value
      • parent → 생성된 child의 PID
      • child → 0

exec() system call (execl(), execvp(), execlp())

  • 원래 있던 프로세스의 정보가 모두 reset되고, 새로운 프로그램 정보가 memory를 차지

    • 새로운 binary file을 memory에 load & run

    ⇒ memory가 새 프로그램의 정보로 갈아엎어짐

    ⇒ control return X → 기존의 memory 정보가 사라지기 때문에 return control이 불가능

wait() system call

  • parent는 wait() 호출로 child의 종료를 기다려야 함

    • child가 종료되면 parent는 해당 작업에 대한 return 값을 받아야 함
      • wait() → parent는 stop

    ⇒ 이때, OS가 child의 종료됨을 parent에게 알려줌

fork() → child에서 exec() 를 호출하게 되면
원래는 memory copy to child이지만
exec() 는 어차피 memory reset해버림
⇒ memory copy는 쓸데 없는 time과 effort


Process Termination

프로세스는 종료를 위해 exit() system call 호출

  • parent에게 status value가 return → 0 : success, else : error
  • resource가 해제 → exit()가 clean up

parent가 child를 종료시키는 경우

  • child가 더 이상 필요 없는 경우 (원하는 작업이 다 이루어진 경우)
  • child가 resource를 너무 많이 사용하는 경우
  • parent가 종료해야 하는 경우
    • parent가 종료되기 전, 모든 child가 종료되어야 함

wait()

  • parent가 child 프로세스의 종료를 기다리기 위해 사용
pid_t pid;
int status;
pid = wait(&status);
  • 이때 & 연산자를 사용하는 이유
    • child 종료 시, 종료값과 PID 모두 받기 위해 인자의 주소값을 전달
  • parent가 wait() 호출 전까지 OS가 child의 exit status를 저장하고 있음
    • parent가 wait() 호출하지 않는 경우, OS에는 값이 계속 남아있게 되고
      child는 Zombie 프로세스가 됨
  • 만약 wait() 호출이 계속 이뤄지지 않으면 Zombie의 수는 증가
    • 이를 방지하기 위해
      제일 첫번째 실행되는 프로세스인 init 프로세스가
      주기적으로 wait() 호출하여 Zombie 프로세스를 제거
profile
배우고 정리하고 공유하기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