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커] 운영체제 레벨 가상화

bunny.log·2023년 6월 25일
0

애플리케이션 개발환경이 도커 기반의 컨테이너 서비스 환경으로 전환된 이유는 무엇일까?

대부분의 개발자가 개발, 테스트, 배포, 운영이 컴퓨팅 환경(스토리지, 네트워크, 보안, 패치 등) 차이로 인한 시행착오 및 다양한 오류 해결에 너무 많은 시간을 쏟는 공통적인 문제를 겪고 있다. 바로 가변적 인프라 환경으로 인한 일관성 없는 환경 제공 때문이다.

컨테이너 서비스는 기존 환경과 다르게 애플리케이션 실행에 필요한 바이너리, 라이브러리 및 구성 파일 등을 패키지로 묶어 배포하는 방식으로 논리적 패키징 메커니즘을 제공한다.

애플리케이션이 가지고 있는 운영체제, 하드웨어(CPU, 메모리, 스토리지 등)에 대한 의존성 문제를 해결한 것이다. 따라서 어떤 환경에서든 컨테이너 기반의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고 배포할 수 있다. 이렇게 호스트 운영체제를 공유하고 애플리케이션에 필요한 환경을 패키징 하는 것을 운영체제 레발 가상화 라고 한다.

운영체제 레벨 가상화

컨테이너 기반의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방식

참고
(도커컨테이너빌드업 이현룡지음)

profile
https://github.com/nam-yeun-hwa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