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학 기본 개념

bunny.log·2023년 7월 10일
0

배수와 공배수

등차수열

수열이란?
다음은 일정한 규칙으로 배열된 수의 나열입니다:
3, 5, 7 ...
21, 16, 11, 6 ...
1, 2, 4, 8 ...
이렇게 배열된 수의 나열은 수열이라고 하며, 각 수는 항이라고 합니다.

등차수열이란?
위와 같은 예제에서 본 규칙처럼, 각 항에 일정한 수를 더하거나 빼서 다음 항을 구하는 수열을 등차수열이라고 합니다.
등차수열에서 연속되는 항들의 차는 일정합니다.
예를 들어, 수열 3, 5, 7, 9...는 연속하는 두 항의 차가 항상 2 이기 때문에 등차수열입니다.

약수

등차수열 / 등비수열

등차수열은 첫째항에 일정한 수를 더해서 얻은 항으로 이루어진 수열이라면 등비수열은 첫째항에 일정한 수를 곱해서 얻은 항

소인수

소인수는 어떤 자연수의 소수인 인수(인수=약수)로 정의합니다. 예 ) 20의 인수는 1, 2, 4, 5, 10, 20이고 이 중에서 2, 5는 소수이므로 20의 소인수는 2, 5가 됩니다.

소수

'양의 약수가 1과 자신뿐인 2개로 구성된 자연수'입니다.

기약분수

기약분수란 분모와 분자의 공약수가 1뿐인 분수 입니다.
따라서, 분모와 분자를 그들의 최대공약수로 나누면 기약분수가 됩니다.

최대공약수

공약수(common divisor)란 두 수 이상의 여러 수의 공통된 약수를 의미합니다. 최대공약수(GCD)란 두 수 이상의 여러 수의 공약수 중 최대인 수를 가리킵니다.

평행구하기(직선의 기울기)

직선의 기울기 (y1 - y2) / (x1 - x2)

소인수 분해

profile
https://github.com/nam-yeun-hwa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