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pplication 로딩 때 DB마다 딱 1개 생성되어야 함WAS가 종료되는 시점에 EntityManagerFacotry를 닫음 -> connection pooling에 대한 리소스가 relase(entityManagerFactory.close();)thread 생성
김영한님의 강의를 들으면서, 정리하면서 모르는 것은 보태보았습니다! EntityManager 스프링을 거치지 않은 순수 JPA 기술이다. @Entity : 이 어노테이션이 있어야 JPA가 있음 public/protected 기본 생성자 필수 서비스계층 Entit
application 로딩 때 DB마다 딱 1개 생성되어야 함WAS가 종료되는 시점에 EntityManagerFacotry를 닫음 -> connection pooling에 대한 리소스가 relase(entityManagerFactory.close();)thread 생성
불필요한 select + insert 쿼리 개선https://jgrammer.tistory.com/entry/JPA-%EB%B9%84%ED%9A%A8%EC%9C%A8%EC%A0%81%EC%9D%B8-%EC%97%B0%EA%B4%80-%EA%B4%80%EA%B3
N+1 문제? 연관관계가 설정되어있는 Entity를 조회할 때, 조회된 Entity의 개수 만큼 연관관계에 있는 Entity에 대한 조회 쿼리가 추가로 발생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예를들어, Diary Entity와 이에 대한 Comment Entity가 있다고 가정할
domain에서 Tuple을 사용하면 service(application)단에서 querydsl을 의존해야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 DTO, 나는 VO라고 했다. querydsl을 사용하는 repository에서 vo로 반환했다!!
@OneToMany 부모 @ManyToOne 자식 양방향 연관관계 : @OneToMany @ManyToOne 서로의 연관된 Entity가 조인하는경우 단방향 연관관계 : @ManyToOne 또는 @OneToMany에 연관된 Entity가 조인되지 않은 경우 (@
멀티 모듈 + spring boot 2.x + gradle 9.0 domain 모듈 build.gradle 도메인 모듈 QueryDSL Config 이 때 엔티티를 기반으로 QClass를 생성하기 위해선, gradle 빌드를 다시 해주어야 한다. gradle ->
JPA를 사용해보았다면 익숙한 이름들입니다.Query를 발생시킬 때 사용하는 방법은 다양하지만, 대표적으로 위의 방법들이 사용된다고 할 수 있습니다.이들의 차이점과 특징을 정확하게 알아보고싶어서 정리해보았습니다.관계형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하는 방식을 정의하는 인터페이스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