터미널에서 Git 명령어를 이용해 GitHub 를 연동해보자
자주 사용하는 add, commit, push
그리고 Git 초기화 설정 및 GitHub 연동하는 방법까지 정리해볼려고 한다.
일단 Git 을 다운받고(방법은 Git 설치(Linux, Window, Mac) 참고) 본인이 다운 받았는지 헷갈리면 터미널에서 git --version 명령어 입력해보면 확인 할 수 있다.
터미널에서 GitHub 연동 사용 방법
1. GitHub에서 Repository를 생성한다.
![](https://velog.velcdn.com/images/bybye527/post/d7490a55-0e70-4d34-8e7d-7da6056acfc8/image.png)
![](https://velog.velcdn.com/images/bybye527/post/7e6c8c78-f841-4f8b-afac-0b0b2fc84b65/image.png)
![](https://velog.velcdn.com/images/bybye527/post/df16a7a3-0280-4ce2-bbac-07072c6d0ab2/image.png)
- Public / Private 취향에 따라 선택
![](https://velog.velcdn.com/images/bybye527/post/f7719f43-0de9-4c13-bcaf-f537058387d6/image.png)
2. Git Repository 주소를 복사해둔다.
![](https://velog.velcdn.com/images/bybye527/post/30fca208-1c8d-4b8a-9cc7-65a43b1792aa/image.png)
3. 터미널을 켜고, 프로젝트 폴더로 진입한다.
- 윈도우, 맥, 리눅스에서 사용 중인 터미널을 연다.
- Android Studio, Visual Studio Code 등에서 제공되는 터미널을 열어도 된다.
- 안드로이드 스튜디오, 비쥬얼 스튜디오 코드 등의 IDE에서 터미널을 연다면, 보통 프로젝트 경로에서 열린다.
![](https://velog.velcdn.com/images/bybye527/post/3abe0981-fed5-4abd-a8ae-02bd36b5cd15/image.png)
![](https://velog.velcdn.com/images/bybye527/post/b3bddaa7-439f-439c-b941-954614ffc56b/image.png)
4. Git 명령어 입력
![](https://velog.velcdn.com/images/bybye527/post/4e431887-faaf-4a52-9ff4-9a740f107afc/image.png)
- 모든 폴더/파일을 Staging 추가: git add .
![](https://velog.velcdn.com/images/bybye527/post/677d2b61-2d5e-464b-87b6-ddff79e9ca49/image.png)
- 커밋: git commit -m '커밋 메시지'
![](https://velog.velcdn.com/images/bybye527/post/055ead11-7bc7-4e96-af25-957953150606/image.png)
- 레퍼지터리(원격저장소) 연결: git remote add origin 원격저장소URL
- 아까 github에서 복사해둔 https://github.com/계정/레퍼지터리.git 을 입력하면 된다.
- 기본 명령어 형식은 git remote add 원격저장소별칭 원격저장소URL이며, 별칭은 보통 origin을 많이 쓴다.
![](https://velog.velcdn.com/images/bybye527/post/b909ce04-4db3-4d3c-add3-4117816e2bc1/image.png)
- git remote -v 명령어를 입력하면, 원격저장소에 잘 연결되어있는지 확인이 가능하다.
![](https://velog.velcdn.com/images/bybye527/post/d449e570-2e6c-409a-8a1a-71f8def2c8d0/image.png)
이 부분 이미 한 사람들은 넘겨도 상관없다.
- 깃허브에서 Settings 클릭
![](https://velog.velcdn.com/images/bybye527/post/29d0ad23-c793-4d84-bda3-e03cd1a1625d/image.png)
- Developer settings 클릭
![](https://velog.velcdn.com/images/bybye527/post/e9f8e08e-4eae-4d4c-bfdc-a1bdc49c41cb/image.png)
- Personal access tokens 클릭 후 Generate new token 클릭
![](https://velog.velcdn.com/images/bybye527/post/45adeb46-cce4-4bd6-a6cc-a6ae99cf0829/image.png)
- Token 설정
![](https://velog.velcdn.com/images/bybye527/post/12562b62-ea53-4988-b2b2-4ea3fb309010/image.png)
![](https://velog.velcdn.com/images/bybye527/post/46f3d802-b54a-4b7c-a423-3227219311c5/image.png)
- scopes 는 본인에 맞는거 선택해서 Generate token 클릭하면 된다.
5. token이 만들어져 있을 것이다.
창 나가지말고 토큰 복사하고 나가자!
- 터미널에서 user 정보 입력
- email을 반드시 github에 등록된 email로 입력을 해야 commit내역이 올라간다.
![](https://velog.velcdn.com/images/bybye527/post/8583e4d8-d208-477c-a6ae-347ea2325877/image.png)
- Git Hub에 최초 푸시(업로드): git push -u origin main
- 명령어 형식은 git push -u 원격저장소별칭 브랜치명 이며, 브랜치명은 주로 master나 main을 많이 쓴다.
![](https://velog.velcdn.com/images/bybye527/post/fac5c2d2-afc7-4506-9a38-1b25d1dbe549/image.png)
- git push -u origin main 를 입력하고 나면 다음과 같은 화면이 나올텐데
![](https://velog.velcdn.com/images/bybye527/post/d319752e-ba10-4b76-a223-764c434ec738/image.png)
Username 부분에는 자산의 아이디를 적으면 되고,
password 부분에는 아까 복사했던 Personal access token 을 입력해준다.
- 그럼 업데이트 되면서 자료들이 GitHub 에 연동 완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