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it config --global user.name "(본인 이름)"
아래 명령어로 확인한다.
git config --global user.name
git config --global user.email
아래 명령어로 확인한다.
git config --global user.email
사용자를 잘못 입력한 경우
git config --global --unset user.name "잘못친이름"
E-mail 계정을 잘못 입력한 경우
git config --global --unset user.ename
위와 같이 삭제한 후 다시 1-1로 돌아가서 설정한다.
기존에 브랜치로 사용하던 master 와 slave의 단어 사용을 지양하게 되면서 변경하는 추세라고 합니다.
git config --global init.defaultBranch main
원하는 위치에, 원하는 이름으로 프로젝트 폴더를 생성합니다.
이 폴더를 VS Code로 열어줍니다.
폴더를 열어주면 다음과 같습니다.
VS Code에서 폴더를 열고 터미널을 열었을 때,
위와 같이 터미널 경로가 자동으로 이동합니다.
git init
위의 명령어를 입력합니다.
다음은, 해당 프로젝트에서 숨김파일을 볼 수 있도록 변경합니다.
위와 같이 숨김 폴더가 보입니다.
깃의 관리내역이 이 곳에 저장됩니다.
과거의 프로젝트 내역이 저장되는 곳이니 절대 삭제하시면 안 됩니다.
(현재의 파일은 남아있고, 과거의 내역이 삭제되는 것)
파일명 : tigers.yaml
team: Tigers
manager: John
members:
- Linda
- William
- David
파일명 : lions.yaml
team: Lions
manager: Mary
members:
- Thomas
- Karen
- Margaret
저장하면 좌측 프로젝트 폴더에 파일이 나타납니다.
터미널에 아래 명령어를 입력합니다.
git status
새로운 파일(앞서 생성한 파일)이 생겼다고 깃이 현재 상황을 알려줍니다.
깃에서 이제 관리할 것인지 물어보네요
이런 식으로 관리할 파일들을 추가하면 됩니다.
드래그하여 소스트리에 추가합니다.
추가된 모습입니다. 폴더를 더블클릭하여 들어갑니다.
앞서 생성한 파일들이 보입니다.
소스트리에 추가된 프로젝트 파일을 삭제합니다.
북마크를 삭제할 것인지, 저장소를 삭제할 것인지 묻네요.
일단 북마크만 삭제하겠습니다.
북마크를 삭제하면 깃 관리저장소는 아직 남아있습니다.
삭제해주겠습니다.
VS Code 터미널에서 해당 프로젝트의 상태를 봤을 때 역시
해당 프로젝트를 관리하고 있지 않다고 나옵니다.
Create로 프로젝트를 추가합니다.
탐색을 해서 프로젝트 폴더를 엽니다.
생성!
이미 경로에 폴더가 있다고 진행할 건지 물어보네요. 예 눌러주겠습니다.
소스트리에서 깃을 관리하는 설정이 끝났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