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리스트?
- 값을 나열하는 것, 순서를 가지고 있음
- 리스트는 문자열, 정수, 실수, 불 등 모든 자료형을 저장할 수 있으며 자료형을 섞어서 저장가능함.
odd =[1,3,5,7,9]
내 친구 = ['정수', '김소' ,'김혜']
a = [1,2,3,4, "a" , "da"]
b = [ ]
c = a = [1, 2, 3, ['a', 'b', 'c'], 4, 5]
- 리스트 연산하기
- 문자열처럼 리스트도 연산이 가능.
- 리스트 더하기 : +
- 리스트 반복하기 : *
- 리스트 길이구하기 : len()
- 리스트 수정, 삭제하기
a = [1, 2, 3]
del a[1]
print(a)
-> [1,3]
a = [1, 2, 3, 4, 5]
del a[2:]
print(a)
->[1,2]
a = [1, 2, 3]
a[2] = 4
print(a)
-> [1,2,4]
📌리스트 관련 함수들
.append()
: 리스트에 요소 추가 -리스트안에 리스트 추가도 가능
.sort()
: 리스트 정렬(오름차순, 알파펫순서)
.sort(reverse=True)
: 내림차순
.reverse()
: 리스트 뒤집기(현재의 리스트를 그대로 뒤집기)
.index(x)
: x값의 인덱스 위치를 반환
.insert(a,b)
: a번째 위치에 b를 삽입
.remove(x)
: 리스트의 첫번째로 나오는 x를 삭제
.pop(x)
: 리스트 요소 끄집어내기 즉, x를 꺼내고 그 요소를 삭제함.
.count(x)
: 리스트 안에 x가 몇개 있는지 개수를 알려줌
.extend(x)
: x는 리스트만 올 수 있으며 기존 리스트에 x 리스트를 더함
>>> a = [1,2,3]
>>> a.extend([4,5])
>>> a
[1, 2, 3, 4, 5]
>>> b = [6, 7]
>>> a.extend(b)
>>> a
[1, 2, 3, 4, 5, 6, 7]
>>> a = [1,2,3]
>>> a.pop()
3
>>> a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