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eb] Home server

ㅎㅎ·2021년 5월 31일
0

Web

목록 보기
1/3

📌 Home server

1. Home server

  • 전화기가 서로 통신을 하기 위해서 전화번호가 필요한 것처럼 컴퓨터도 서로 통신을 하기 위해서는 ip주소가 필요함. IPv4 는 인터넷 통신 규칙을 말함하지만 제한된 숫자의 IPv4 체계로 모든 수요를 충족할 수 없어서 IPv6라는 새로운 주소 체계를 만들었음. 하지만 주소 체계를 바꾸는 것은 매우 어려웠기 때문에 기존의 주소 체계를 아껴써야함. 따라서 공유기를 사용해 하나의 ip주소를 여러 개의 컴퓨터가 나눠쓸 수 있음.

2. 공유기(Router)

  • 인터넷끼리 서로 소통(요청,응답)하기 위해서는 서로의 ip address가 필요함. 우리가 현실에서 인터넷을 사용할때 통신사를 계약해 회선을 받으면 자동으로 ip가 부여됨. 문제는 노트북, 핸드폰, 컴퓨터는 다 ip를 가져야하는데 회선을 2개이상을 계약을 하게되면 비싸므로 사용자는 공유기를 사용함.

  • 통신사 회선을 공유기에 꽂으면 ip주소는 공유기의 주소가 된다. 따라서 ip주소에 접속한다는 개념은 공유기에 접속한다는 의미이다. 그리고 공유기를 중심으로 모든 기기들은 같은 네트워크에 묶인다. 이것을 지역 네트워크(LAN ,local area network) 라 부른다. 그리고 공유기는 동시에 인터넷이라는 광역 네트워크(WAN, wide area network) 에 소속된다. 그리고 공유기에 기기들이 연결되는 순간 각각의 기기들은 ip를 부여받는다. 그리고 기기뿐만 아니라 공유기도 네트워크의 일부이므로 ip를 부여받는다. 내부 네트워크 안의 공유기 ip는 Gateway address(Router address) 라고 부른다.

  • 즉, rounter라는 기계는 광역 네트워크(WAN) 안에서 공유기로 접속할 수 있게 해주는 ip를 가지고 있으며, 전세계 누구나 접속가능하다는 뜻에서 public IP address(공용 ip) 라고 부른다. 그리고 지역네트워크 안에서만 쓸 수 있는 ip를 private IP address(사설 ip 주소) 라고 부른다. 그리고 IPv4는 사설 ip로 쓰인다. 따라서 ip의 주소를 보고 사설 ip인지 공용 ip인지 구별할 수 있다.

3. Network Address Translation

  • NAT는 사설 ip를 쓰는 각각의 ip들이 외부의 인터넷에 접속하게 만들어준다. 컴퓨터는 gateway address로 신호를 보내고 공유기는 요청이 내부요청이 아니기때문에 외부로 요청을 보낸다.
  • 자세히 설명하면 라우터는 첫번째로 위키피디아로 가달라는 요청이 192.168.0.4라는 사설 ip라는 것을 기억해두고, 두번째로 NAT(Network Address Translation)를 이용해 192.168.0.4에서 59.6.66238로 요청한 데이터를 변경하고, 변경한 데이터를 위키피디아에 보낸다. 그리고 요청에 따라 위키피디아는 응답을 한다. 즉, 사설 ip가 외부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게 해주는게 NAT다.

4. ip 주소 알아내기

- 맥

  • 환경설정 - 네트워크 - 고급 - TCP/IP - IPv4주소(컴퓨터의 ip 주소)와 라우터 주소(공유기의 ip 주소) 확인가능함.
  • 그리고 공유기의 주소를 검색해 접속하면 라우터 관리자에 접속가능함. 그곳에서 외부ip주소(public ip address)를 알 수 있음.

5. port

  • 우리의 컴퓨터도 port(항구)가 존재함. 컴퓨터에는 여러 서버가 있는데 그 중 누구랑 상호작용 할 것인지를 컴퓨터한테 알려줘줄때 사용하는것이 포트 번호이다. 포트 번호 80-http은 웹이 쓰도록 정해져 있으며,(web server) 만역 웹서버를 다른 곳에 깔고 싶다면 포트 8080에 관습적으로 깔린다. 따라서 만약 웹서버가 두개가 있다면 url주소에 따라 접속이 달라진다. 또한 65000개의 포트 중에서 0번부터 1023번까지는 well-known port라고 해서 사용이 지정되어있다.

6. port forwarding

  • 라우터는 포트를 이용해 공유기의 공인ip에 접속을 하면(8081로 접속을 하면) 내부 네트워크의 192.168.0.4의 80포트로 보내버린다. 라우터가 일종의 안내자 역할을 하는것이다. 이 역할을 하기위해서는 라우터의 설정을 바꿔야하는데 포트 포워딩을 통해서 라우터에 들어온 번호가 무엇인지에 따라서 내부 네트워크의 특정 포트로 요청을 보낼 수 있다.

7. Dynamic vs Static ip address

  • dynamic ip(유동 ip) 인류가 부족한 ip를 사용하기위헤 도입한 방법 중 하나이다.
  • 모든 집에게 ip를 주면 ip가 부족하기 때문에 ip를 빌려주고 회수하고 반복하는것이다. 즉 돌려막기. 따라서 ip가 계속 바뀐다 이것을 동적 ip라고 함. 이때 문제는 ip가 바꼈을 때 옛날(다른 집) ip주소에 접속을 하게 수도 있다.
  • static ip는 컴퓨터에 ip를 고정시키는 것. 통신사가 ip를 독점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해준다.

8. DHCP

  • 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
  • 컴퓨터를 새로 사면 같은 네트워크 안에서는 절대 같은 ip를 가질 수 없다. ip를 수동으로 지정하는 것은 가능하지만 이는 어려우며 자동으로 가능하다. 컴퓨터를 공유기에 연결을 하면 자동으로 지정이 된다.
  • 이게 가능하기 위해서는 DHCP server가 필요하다. DHCP client가 필요한데 이는 인터넷을 사용하는 기계들은 이 프로그램이 다 깔려있다. 즉 client -> server가 요청하고 server가 client에게 ip를 임대해주는 것을 DHCP라고 한다. 그리고 모든 통신부품마다 공장에서 기록된 고유한 식별자를 가지고 있다. 이런 식별자를 physical adrress라고 한다.




출처: 생활코딩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