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드 구성 방식

이인혁·2024년 8월 28일
0

유니티

목록 보기
12/20

월드를 구성하는 방법은 크게 3가지로 나뉩니다.

  • Simless(심리스) 방식

  • Zone Loading(존 로딩) 방식

  • Room(룸) 방식

각각의 방식은 장점도 있고 단점도 있습니다.

Simless(심리스)

현재 존재하고 있는 맵과 현재 맵에 인접해 있는 맵들을 한번에 로딩한 후 플레이어의 이동에 따라 플레이어가 이동하거나, 볼 확률이 높은 맵들을 백그라운드에서 미리 로딩해놓고 플레이어가 이동하거나 볼 확률이 없어진 맵은 로딩을 해제하는 방식을 Simless(심리스) 라고 합니다. 맵 전체를 미리 로딩하기 때문에, 자유도와 몰입도가 좋습니다. 하지만 처음에 처리되는 데이터가 많기 때문에, 처음 로딩할 때 장시간을 기다려야하고 퀄리티가 떨어질 수 있습니다. Simless(심리스)를 사용하는 게임은 대표적으로 원신, 검은 사막등이 있습니다.

Zone Loading(존 로딩)

맵과 맵사이를 로딩하는 것이 Zone Loading(존 로딩) 방식입니다. 맵에서 맵으로 넘어갈 때 넘어가는 맵을 로딩하고, 이전 맵을 로딩 해제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퀄리티가 좋은 그래픽을 구사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맵과 맵사이에서 잦은 로딩이 발생하기 때문에, 몰입도가 깨집니다. Zone Loading(존 로딩) 방식을 사용하는 게임은 메이플스토리, 로스트아크등이 있습니다.

Room(룸)

Room(룸) 방식은 Zone Loading(존 로딩)보다 작은 영역으로 통으로 맵을 만들어 로딩하기 때문에, 최초 입장 한번만 로딩합니다. 기본 방식은 Simless와 같지만 좀 더 한정된 지역입니다. 대체로 정해진 인원들만 들어가서 플레이하는 방식의 게임에 많이 사용됩니다. Room(룸) 방식을 사용하는 게임은 서든어택, 던파, 롤등이 있습니다.

profile
게임개발공부블로그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