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Lv3 ㄱ.배열(array)와객체(object) 변수하나에 여러자료 저장하는방법 배열(array)을 이용해서 하면됨 배열 수정, 추가하는방법 객체(object를 수정,추가 하는법 배열과 객체의 차이점은 배열은[0]=인덱스번호로 호출하지만 객체는[name]=key값으로 호출함 즉 배열은 순서개념이 있지만 객체는 순서개념이 없음 만든 배열이나
1.Lv2 ㄱ. 타이머 setTimeout은 자바스크립트의 기본함수임 setTimeout 을사용할땐 setTimeout(Function(){코드},ms)이라고 적으면됨1000ms는 1초임 1초지나고 콘솔에 안녕찍기 5초지나고 alerat창의 display를 none로 바꾸기 setInterval setInterval을 사용할땐 setInterval(function(){코드},ms)라고 적으면됨 1초마다 콘솔로그에 안녕을 찍기 타이머만들기 어려움.. 3-1. getElementById 같은 요소들을 selector라고 함 Id로부터('hello') innerHTML = 안에있는 html을 "안녕으로 바꿔주세요" =은 오른쪽을 왼쪽에 넣어라 라는뜻이고 .은 ~의 라는뜻임 ㄴ. 클릭시 반응하는 UI만들기이라는 뜻 ㄴ. HTML에 접근해서 변경할때 쓰는 수단 ># 2. Query Selector ㄱ. getElemmentById id속성으로 검색할때 사용됨 객체 한개선택됨 = var mytext1 = document.getElementById('mytext1'); ㄴ.getElemmentByClassName class 속성으로 검색할때 사용됨 배열 여러개 선택됨 = var containers = document.getElementsByClassName('container'); ㄷ.getElementsByTagName 태그이름으로 검색할때 사용됨 = var images = document.getElementsByTagName('img'); ` ㄹ.querySelector jQuery 유사셀렉터?로 객체한개선택 = var mytext1_1 = doc
1. 오늘배운거 ㄱ. 자바스크립트란 html에서 1+1은 평생 1+1이지만 자바스크립트에서 1+1=2이다. 즉,바스크립트는 동적이고, 이게 자바스크립트를 쓰는 이유이다. ㄴ. 이벤트 웹브라우저 위에서 일어나는 일들을 이벤트라고 한다.(onclik,onkekdown등이 있다.) onclick 뒤에는 항상 자바스크립트 문법이 오게되어있다. ㄷ. input의 button과 button 태그의 차이점 input의 button태그는 button태그의 비해 디자인이 쉽지않다. 즉 button태그가 디자인측면에서는 훨씬 자유롭다. ㄹ. queryselector document.queryselector('body').style.background-color'black'; body를 선택해서 style에 background-color를 바꾸겠다는 뜻임. queryselctor는 처음등장하는 1개의 속성만을 가져오는 특성이있다. 만약
1. 자바스크립트 문법 뽀개기 2주차 - 자바스크립트 강의 2-3 자바스크립트 Consol.log(‘hello world’) = 파일명 hello .js라고 저장 터미널에 node hello.js 입력 >>> hello world 출력됨 2-4 변수 변수를선언할때는 let이나 const var 를 사용함 Let name =’sang hyun’ = 파일명 variable.js라고 저장 터미널에 Node variable.js입력 >>> sanghyun 출력됨 Let name = ‘hyun’이라고 입력 후터미널에 Node variable.js입력 >>> sanghyun hyun 출력됨 = let은 변수를 선언후 변경이 가능함 Const name = ’sang hyun’ 변수 선언후 터미널에 node variable.js 입력 >> sang hyun 출력됨 Const name =‘cha’ 터미널에 Node variable.js입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