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 비즈니스 : 서비스 기획 & PM & UX] 프로덕트 기획 과정에서 작성해야 할 문서들.

0
post-thumbnail

[IT 비즈니스 : 서비스 기획 & PM & UX] 프로덕트 기획 과정에서 작성해야 할 문서들.

▽ [IT 비즈니스 : 서비스 기획 & PM & UX] 프로덕트 기획 과정에서 작성해야 할 문서들.

목  차


1. 아이데이션 & 콘셉트 단계 문서

2. 서비스 전체 구조 설계 문서

3. 상세 화면 / 기능 정의 문서

4. 개발/디자인 전달용 문서

5. 정책 및 QA 문서

프로덕트를 개발하기 전 기획 단계에서 어떤 문서들을 작성하여, 프로덕트의 뼈대를 만들어야 할까?

프로덕트 기획 단계에서는 수없이 많은 문서들을 작성하게 됩니다.

프로덕트 매니저(PM) 혹은 개발자의 Roll을 수행하는 사람이거나, 1인 앱개발을 할 때
기획 단계에서 주로 작성하게 될 문서 종류와
각 문서의 목적, 담겨야 하는 주요 내용들을 정리해보겠습니다.

✅ 기획 단계에서 작성되는 문서들의 큰 흐름.

구분문서 종류주요 목적
① 아이데이션/콘셉트서비스 제안서, 벤치마킹, 시장분석아이디어를 설득, 프로젝트 승인 받기
② 구조 설계IA, Flowchart서비스 전체 틀을 잡기
③ 화면/기능 상세와이어프레임, 스토리보드, 기능정의서상세한 화면/기능 설계
④ 개발·디자인 전달정책 정의서, 화면 정의서개발자·디자이너 협업용
⑤ QA/검증QA 시나리오, 버그 리포트품질 검증, 배포 준비
단계문서군
0 → 아이데이션기획안, 벤치마킹, 리서치
1 → 전체 설계IA, Flow Chart, User Process
2 → 화면/기능 상세Wireframe, Storyboard, 기능 정의서
3 → 개발/디자인 전달Policy, API Spec, Design System
4 → QA & 운영QA 시나리오, Bug Report, Release Note

1. 아이데이션 & 콘셉트 단계 문서


문서명정의주요 목적주요 내용
서비스 기획안 (Proposal)서비스의 배경과 필요성, 콘셉트 제안 문서프로젝트 승인, 설득- Why/What/How
- 시장/경쟁 분석
- 타깃 유저
- 기능 요약
- 수익모델(BM)
벤치마킹 리포트유사 서비스 조사 및 비교 분석차별화 포인트 도출- 경쟁사 기능/UX 분석
- 스크린샷
- 개선 아이디어
시장/트렌드 리서치시장 규모, 트렌드 분석시장성, 리스크 판단- 시장 데이터
- 성장 트렌드
- 위협 요소
Persona / 유저 시나리오가상 사용자 모델과 스토리사용자 공감대 확보- Persona 속성
- 사용자 스토리
User Journey Map (여정 지도)사용자의 행동·감정 흐름 시각화Pain Point 도출- 단계별 행동
- 감정 곡선
- 터치포인트

√서비스 기획안 (Service Proposal)

  • ✅ 정의

    • 서비스 기획안은 서비스의 전체 콘셉트와 추진 배경을 설명하고, 프로젝트 필요성을 설득하는 문서입니다.
  • ✅ 왜 중요한가?

    • 새로운 아이디어를 팀과 경영진에게 설득
    • 예산/리소스 승인 받는 근거
    • 프로젝트 방향성 확립.
  • ✅ 목적

    • 프로덕트 서비스 아이디어를 개념적으로 제시.
    • 프로젝트 추진을 위한 초석
    • 의사결정권자 설득용
  • ✅ 주요 항목

    • 서비스 개요 및 콘셉트 ( Why this Service? / What Service?)
    • 시장 / 트렌드 현황 분석
    • 경쟁 서비스 벤치마킹
    • 문제 정의 & Solution
    • 타깃 유저 정의
    • 주요 기능 및 경쟁력(차별화 포인트)
    • 수익모델(BM)
    • 일정 및 리소스 예측
    • 기대 효과
  • ✅ 포인트

    • " 왜 이 서비스를 해야 하는가? 에 집중하기.

√벤치마킹 & 경쟁사 분석

  • ✅ 정의

    • 유사 서비스와 경쟁사를 분석하여, 자사 서비스의 개선점과 차별화를 찾는 문서입니다.
  • ✅ 왜 중요한가?

    • 경쟁사의 강 & 약점 파악
    • UX/UI 개선 아이디어 도출
    • 설득력 있는 기획 근거 확보
  • ✅ 목적

    • 시장 이해, 차별화 포인트를 도출
  • ✅ 주요 항목

    • 유사 서비스 리스트업
    • UI/UX 비교
    • 각 서비스별 핵심 기능 비교
    • 비즈니스 모델 비교
    • 자사 서비스 개선 포인트.
  • ✅ 포인트
    • " 우리 서비스만이 할 수 있는 것 "을 명확히 추출하자.

√시장/트렌드 분석

  • ✅ 정의

    • 서비스가 진입할 시장 규모, 트렌드, 사용자 행태를 파악하는 리서치 문서입니다.
  • ✅ 왜 중요한가?

    • 시장성 및 리스크 파악
    • 서비스 성공 가능성 타진
    • 투자/사업 결정의 근거
  • ✅ 목적

    • 시장 크기, 성장성, 위험요소 파악
  • ✅ 주요 항목

    • 전체 시장 규모
    • 성장률/ 트렌드
    • 사용자 행동 데이터
    • 신기술 동향
    • 위협요인
  • 포인트

    • 신뢰도 높은 레퍼런스(보고서, 통계)를 인용하자.

√Persona / 유저 시나리오.

  • ✅ 정의
    • Persona란?
      • 가상의 대표 사용자 모델, 실제 데이터를 바탕으로 나이, 직업, 목표 ,행동 패턴 등을
        구체적으로 만든 사용자 프로필
    • "유저 시나리오(User Scenario)" 란?
      • Persona가 서비스 내에서 어떤 목적을 이루기 위해 겪는 '구체적 스토리'를 서술한 시나리오
  • ✅ 왜 중요한가?

    • 사용자 관점으로 기획할 수 있도록 함.
    • 기능, 정책, UI 설계의 기준이 됨.
    • 개발자 & 디자이너 & 마케터 모두 '같은 유저'를 떠올리도록 해줌
    • 실제 고객처럼 공감대를 형성해 '서비스 성공 확률'을 높임.
  • ✅ 목적(Purpose)

    • 사용자 입장에서 생각하게 함
    • 팀 내 커뮤니케이션 도구
    • Pain Point 파악 및 개선 아이디어 발굴
    • 유저 여정 지도(User Journey Map) 작성의 기반
  • ✅ 주요 항목 (Key Contents)

    • ① Persona 속성
      • 이름(가상 이름)
      • 나이 / 성별
      • 직업
      • 생활 패턴(하루일과)
      • 디지털 이용 성향(주 사용 디바이스, 앱)
      • Needs/ Pain Point
      • 서비스 이용 목적
      • 구매/이용 결정 요인
    • ② 유저 시나리오
      • 사용자 Context(언제, 어디서, 왜?)
      • 사용자의 목표
      • 서비스 이용 상황
      • 단계별 행동
      • Pain Point
      • 기대 결과
  • ✅ 예시 (Example)

    • Persona 예시.
항목내용
이름박지은 (가상)
나이32세
직업마케팅 매니저
특징출퇴근 시간에 모바일로 정보 탐색, 빠른 UI 선호
Needs퇴근 전 퀵하게 쇼핑 가능, 가격 비교가 쉽길 원함
Pain Point웹사이트 로딩 느림, 회원가입 귀찮음
  • 유저 시나리오 예시.

“박지은은 저녁 퇴근길 지하철에서 핸드폰으로 여름 원피스를 검색한다.
마음에 드는 제품을 발견했지만 회원가입이 필수라 포기한다.
소셜 로그인 기능만 있었다면 2분 안에 결제를 끝낼 수 있었을 것이다.”

√User Journey Map (여정 지도).

  • ✅ 정의.

    • 사용자가 서비스 이용 과정에서 겪는
      '행동 & 생각 & 감정의 흐름을 시간축으로 시각화' 한 다이어그램 혹은 표입니다.
  • ✅ 왜 중요한가? ( Why important?)

    • 고객 경험을 '단계별로 심층적으로 파악'할 수 있음
    • Pain Point를 구체적으로 발견
    • 개선 아이디어 발굴 가능
    • 이해관계자 설득에 매우 효과적
  • ✅ 목적(Purpose)

    • 사용자의 실제 여정을 그대로 그려냄
    • 어떤 단계에서 이탈하거나 불편을 느끼는지 파악
    • "사용자 관점"으로 서비스 개선
  • ✅ 주요 항목 (Key Contents)
    • ① Persona
      • 여정 지도는 반드시 페르소나 기반으로 작성
      • 어떤 유저인지 명시
    • ② 단계(Stage)
      • 서비스 이용 단계(인지 -> 탐색 -> 구매 -> 사용 -> 이탈)
    • ③ 사용자 행동 (Action)
      • 해당 단계에서 유저가 실제로 하는 행동
    • ④ 터치포인트 (Touch Point)
      • 유저가 서비스와 만나는 접점
        • ex) 앱 화면, 전화상담, 이메일, SNS DM 등등
    • ⑤ 생각/느낌 (Thoughts / Feelings)
      • 유저가 느끼는 감정 (긍정/ 부정)
      • 걱정, 기대, 불편 등등
    • ⑥ Pain Point
      • 단계별로 발견되는 문제점
    • ⑦ 개선 아이디어
      • Pain Point를 해결할 수 있는 방안.
  • ✅ 예시 (Example)

    ▷ User Journey Map 예시 (표 형태)

단계행동Touch Point감정Pain Point개선 아이디어
탐색“여름 원피스 검색”모바일 웹기대감 ↑검색 느림검색 속도 개선
상품 상세상품 클릭상세 페이지흥미 ↑로그인 유도 창 불편소셜 로그인 추가
결제결제 시도결제 페이지짜증 ↑입력 항목 많음간편 결제 도입

▷ 간단 스토리형 예시

“지은은 여름 원피스를 찾으려 검색한다.
마음에 드는 상품을 발견했지만 회원가입 창에 가로막혀 이탈한다.
이 순간 지은은 ‘왜 또 회원가입이야…’ 하며 불편함을 느낀다.”

2. 서비스 전체 구조 설계 문서


문서명정의주요 목적주요 내용
IA (Information Architecture)전체 메뉴/화면 구조 설계전체 구조 한눈에 파악- 메뉴 트리
- Depth 구분
- 각 메뉴 기능 요약
서비스 플로우 차트 (Flow Chart)기능·화면 간 이동 흐름도화면/기능 간 연결 이해- 시작 조건
- 단계별 행동
- 분기 조건
유저 프로세스 (User Process)유저의 목적 달성 단계별 흐름UX 설계 기반- 시작 조건
- 단계별 액션
- 예외 흐름

√IA ( Information Architecture, 정보 구조도 )

  • ✅ 정의
    • IA는 서비스 전체의 메뉴, 화면 구조를 계층적으로 정리한 설계 문서입니다.
  • ✅ 왜 중요한가?
    • 서비스 전체 구조를 한눈에 파악
    • 메뉴 간 관계 명확화
    • 개발/디자인 협업의 기준
  • ✅ 목적

    • 서비스 전반의 정보 구조와 메뉴 체계를 정리.
    • 서비스 전략과 방향을 반영한 구조로 서비스 용어 및 운영 프로세스 구조를 정의합니다.
  • ✅ 작성 팁.

    • 너무 세분화하면 복잡해짐 -> 레벨 조절 중요
    • 협업 툴(Figma, Miro 등)로 시각화하면 좋음
  • ✅ 주요 내용

    • 전체 메뉴 트리
    • Depth별 페이지 정리.
    • AS-IS의 문제점들을 정리
    • 정보구조가 비체계적으로 구성된 서비스를 사용할 시 사용자는 혼란을 느낍니다.
      (논리적이고 체계적 구조를 가져야 하는 이유.)
    • 개선 방향을 포함한 목적, 방향 설정
      • 서비스가 복잡할수록, 목적과 방향을 명확하게 설정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 벤치마킹을 통해 타사의 정보구조 참고
      • 동종업계, 리더그룹이 어떤 정보구조를 가져가고 있는가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
    • 서비스의 전략과 방향을 반영한 구조
    • 서비스 용어 및 운영 프로세스 구조 정의
      • 큰 프로젝트는 다양한 팀이 모듈별로 업무를 담당하여 같은 기능을 다른 용어로 사용하기도 함.
      • 이것은 사용자를 혼란스럽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서비스 용어 정리한 용어집 제공 등의 방식으로 용어 통일을 권장.
  • ex)

홈
  ├─ 마이페이지
  │     ├─ 주문내역
  │     ├─ 내 정보 수정
  └─ 상품 카테고리
         ├─ 의류
         └─ 잡화

  • ✅ 카카오 홈페이지 예시.

  • 그룹핑을 하기 때문에 one-depth가 기준입니다.
  • two-depth까지 가는 동안은 화면 아이디를 내리지 않습니다.
  • depth 사이에 여백을 두어 위치 변경 시에 대비합니다.
  • 다크모드, 언어 변경, 관련 사이트 연동 등은 IA가 아니니 주의.

√플로우 차트 ( Flow Chart )

  • ✅ 정의
    • 플로우차트는 사용자 혹은 시스템의 흐름을 순서도 형태로 시각화한 문서입니다.
  • ✅ 왜 중요한가?
    • 서비스 흐름을 직관적으로 이해
    • 조건별 분기, 예외처리 확인
    • 개발/디자인 동선 설계의 기준.
  • ✅ 목적

    • 기능이나 서비스 흐름을 시각화(사용자 여정과 시스템 흐름을 시각화)
    • 전체적인 서비스의 흐름에 대한 이해 후 이에 맞게 작성합니다.
    • User Process를 도식화해서 보여주는 것입니다.
  • ✅ 주요 내용

    • 시작 조건.
    • 단계별 사용자 행동.
    • 조건 분기 ( Yes/ No )
    • 각 단계의 화면 혹은 기능
    • 예외 흐름
  • ✅ 작성 팁

    • 한눈에 이해 가능한 심플함이 핵심
    • 페이지 번호(ID)와 연계.
  • ex)

로그인 → (성공?) → 메인 화면
            ↓
        로그인 실패 → 에러 팝업
  • 기능 흐름(Logic Flow)예시.

  • 프로세스별로 나눈 Flow Chcart 예시

√ 유저 프로세스 (User Process)

  • ✅ 정의

    • 유저 프로세스는 사용자가 서비스 내에서 특정 목적을 달성하기까지 거치는
      모든 단계의 상세 흐름을 정리한 문서입니다.
  • ✅ 왜 중요한가?

    • 사용자 시점에서 UX 설계.
    • 퍼널 분석 및 개선 기준 제공.
    • 개발/디자인/QA 협업의 기준.
  • ✅ 주요 작성 내용

    • 프로세스 명
    • 시작 조건
    • 단계별 행동, 화면 이동
    • 각 단계 입력/출력 값
    • 예외 사항
    • 완료 조건
  •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의 프로세스

    • ex) 사이트에 회원가입을 수행하는 경우
      - 회원가입 클릭 -> 본인 인증, 개인정보 작성 -> 가입 완료.
  • IA를 기준으로, 행동하는 사용자의 흐름

  • 데이터의 이동 흐름과 저장/호출 프로세스

  • 사용자의 특정 작업을 위한 경로

  • 사용자 시나리오 보다 구체적으로 정의

  • UI(화면), 행동, 판단으로 표현

    • 유저 플로우 구조.

    • 유저 플로우 예시.

User Process를 정의할 때 장점.
  • 페이지의 주요 프로세스들을 이해 가능

  • 인터페이스의 효율적인 설계

  • 개선이 필요한 영역 정의

  • 전체적인 흐름 이해 가능 -> 개선이 요구되는 부분에 대한 보완 가능

  • 서비스의 주요 흐름을 빠르게 파악 가능

    • 상대적으로 긴 스토리보드/와이어프레임을 확인하지 않더라도 서비스의 주요 흐름 파악 가능
  • 각 파트와의 커뮤니테이션 용이

  • Flow Chart 또는 User Task로 도식화시키기도 합니다.

    • User Flow Chart 예시.
    • User Task 예시.

3. 상세 화면 / 기능 정의 문서


문서명정의주요 목적주요 내용
와이어프레임 (Wireframe)화면 뼈대 설계레이아웃 설계- 화면 구획
- 컴포넌트 배치
스토리보드 (Storyboard)화면 단위 상세 설계화면/기능 정의- 화면 캡처/스케치
- 기능 설명
- 이동 규칙
기능 정의서단위 기능 상세 명세개발/QA 기준- 기능 설명
- Input/Output
- 예외 처리
화면 정의서 (Screen Spec)각 화면의 UI/동작/데이터 정의개발/디자인 명세- 화면 ID
- 컴포넌트 설명
- API 연동 규칙

와이어 프레임(Wireframe)

  • ✅ 정의(Definition)

    • 와이어프레임은 '서비스의 각 화면을 저해상도(low fidelity)로 스케치한 설계도' 입니다.
    • UI 디자인의 전 단계로, 색상 및 디자인 요소는 생략하고 레이아웃과 기능 배치에만 집중합니다.
    • 보통 흑백으로 선 & 박스 & 간단한 텍스트만 활용하며,
      개발 및 디자인팀과 커뮤니케이션을 원활히 하기 위한 '의사소통 수단'입니다.
  • ✅ 왜 중요한가? ( Why important?)
    • 개발 및 디자인 전에 빠르게 아이디어를 시각화 가능
    • 실제 디자인보다 제작 비용과 시간이 훨씬 적데 듦.
    • 기능 배치나 화면 흐름 문제를 초기에 발견 가능
    • 팀원 간 서비스 UI의 공통 이해도를 높여서 커뮤니케이션 비용 감소시킴
    • 이해관계자(PO, 클라이언트 등)에게 빠른 피드백 가능
  • ✅ 목적 (Purpose)
    • 서비스 기획자가 전체 레이아웃의 논리적 구조를 설계.
    • 기획의 방향성이 디자인, 개발로 넘어가기 전 팀 간 정합성 맞추기
    • 각 화면의 중요도나 정보 우선순위를 명확히 합니다.
    • UI/UX 설계의 뼈대 자료로 사용.
  • ✅ 주요 항목 (Key Contents)

    • 페이지명/ 화면 ID
    • 레이아웃 구성
      • 주요 영역 구획
      • UI 컴포넌트 배치
    • 버튼 및 입력 필드 위치
    • 텍스트 영역
    • 간단한 흐름 설명(이동 방향 등)
    • 인터렉션 설명
  • ✅ 예시 (Example)

예) “로그인 화면 와이어프레임”

  • 좌측 상단: 로고

  • 중앙:

    • 이메일 입력 필드

    • 비밀번호 입력 필드

    • 로그인 버튼

  • 하단:

    • “비밀번호 찾기” 링크

    • “회원가입” 버튼

→ 이때 스타일링 없음, 단순 선과 박스로 구획만 나눔

스토리보드 (Storyboard)

  • ✅ 정의(Definition)

    • 스토리보드는 화면 설계의 시각적 설명서로, 각 화면에 어떤 기능이 배치되며,
      어떤 규칙과 흐름으로 작동하는지를 상세히 기록합니다.
    • 와이어프레임보다 상세하며, 디자인 시안보다 추상적인 단계.
    • 단순 배치도가 아니라, 실제 사용 시나리오를 반영한 동작/이동/상태 변화를 설명.
  • ✅ 왜 중요한가? ( Why important?)
    • 개발자, 디자이너, QA, PO 모두가 '같은 이해도'를 공유 가능.
    • 사용자 입장에서 UX를 설계해 '불필요한 동선이나 비효율을 사전에 방지' 가능 !
    • 개발 & 디자인 단계에서 해석의 차이가 발생하지 않도록 함.
    • 추후 정책 문서나 QA 시나리오 작성 시 '기준 문서'가 됨.
  • ✅ 목적 (Purpose)
    • 각 화면별로 기능과 역할을 명확히 규정.!
    • 사용자 플로우와 예외 상황을 모두 설명해, '시나리오 기반 개발'을 가능하게 합니다.
    • 개발 & 디자인 전달 시, '구체적 명세서' 역할을 합니다.
  • ✅ 주요 항목 (Key Contents)
    • 화면 이름
    • 화면 ID
    • 와이어프레임 이미지 혹은 디자인 캡처
    • 컴포넌트 설명
    • 기능 설명
    • 이동 흐름(다음 화면, 뒤로 가기 등)
    • 동작 조건
    • 예외 처리
    • 메시지 규칙( ex : 오류 메시지 )
  • ✅ 예시 (Example)

예) “상품 상세 화면 스토리보드”

  • 화면명: 상품 상세

  • 화면 ID: PD-002

  • 와이어프레임 이미지 포함

  • 컴포넌트

    • 상품 이미지 영역

    • 상품명

    • 가격

    • ‘장바구니 담기’ 버튼

    • ‘구매하기’ 버튼

  • 기능 설명

    • ‘장바구니 담기’ 클릭 시 장바구니 페이지 이동

    • 재고가 0일 경우 ‘구매하기’ 버튼 비활성화

  • 예외 처리

    • 네트워크 오류 시 에러 메시지 “네트워크 오류가 발생했습니다.”

기능 정의서 (Functional Specification)

  • ✅ 정의(Definition)

    • 기능 정의서는 '각 개별 기능이 어떻게 동작해야 하는지 상세히 정의'한 문서.
    • 개발자에게는 개발 기준서, QA에게는 검수-체크리스트가 됩니다.
    • 기능 단위로 작성하며, UI가 아닌 '비즈니스 로직 중심'으로 기술합니다.
  • ✅ 왜 중요한가? ( Why important?)
    • 개발자에게 "어떻게 구현해야 하는지"를 명확히 전달합니다.
    • QA팀의 '테스트 케이스 작성 기준'이 됩니다.
    • 서비스가 복잡해질수록, 팀 간 오해 없이 동작 규칙을 통일 가능합니다.
    • 정책 변경 시, 영향도를 쉽게 파악 가능합니다.
  • ✅ 목적 (Purpose)
    • 기능별 개발 기준 정의
    • 서비스 품질 표준화
    • 장애 대응 시 참고 문서
    • 유지보수 시 명확한 기준 제공
  • ✅ 주요 항목 (Key Contents)
    • 기능 명칭
    • 목적/설명
    • Trigger(어떤 상황에서 작동하는지)
    • Input 값
    • Output 값
    • 동작 규칙( Business Logic)
    • 예외 처리
    • 상태 변화(ON/OFF 등)
    • Error 코드 정의
  • ✅ 예시 (Example)

예) “검색 기능 정의서”

  • 기능 명칭: 통합 검색

  • 목적: 사이트 내 상품/카테고리 검색

  • Trigger: 사용자가 검색창에 키워드 입력 후 Enter

  • Input: 검색어 (최대 50자)

  • Output:

    • 검색결과 리스트

    • 결과 수 표시

  • 동작 규칙:

    • 검색어 1자 미만이면 검색 불가

    • 특수문자는 제거 후 검색

  • 예외 처리:

    • 검색결과가 없을 시 “검색결과가 없습니다.” 출력

화면 정의서 (Screen Specification)

  • ✅ 정의(Definition)

    • 화면 정의서는 각 화면의 UI 구성, 컴포넌트의 상세 속성, 데이터 연동 규칙 등을
      '구체적으로 명시'한 문서입니다.
    • 스토리보드가 "스토리 중심"이라면, 화면 정의서는 '화면 단위로 '규격서'처럼 작성'됩니다.
    • UI 설계와 개발 간 '디테일 미스매치 방지'가 목적입니다.
  • ✅ 왜 중요한가? ( Why important?)
    • 디자이너에게는 UI 스타일 가이드의 기준.
    • 개발자에게는 컴포넌트의 동작, 데이터 요구사항의 기준이 됩니다.
    • QA에게는 화면별 체크 리스트.
    • API 명세와 연결해, 작업 순서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습니다.
  • ✅ 목적 (Purpose)
    • 각 화면의 컴포넌트 속성과 동작 규칙을 명확히 규정.
    • 개발/디자인 공수 산정에 활용
    • UI/UX 일관성 유지
    • 유지보수 시 신속한 이해 자료 제공.
  • ✅ 주요 항목 (Key Contents)
    • 화면 ID / 화면 명
    • 화면 설명
    • 컴포넌트 명칭
    • 각 컴포넌트 속성
      • Label
      • Default value
      • Editable 여부
      • Validation 규칙
      • Placeholder
    • 동작 규칙
    • API 연동 규칙
    • 상태 변화(Visible/ Invisible/ Disabled 등)
    • 메시지 규칙
    • 예외 처리
  • ✅ 예시 (Example)

예) “회원가입 화면 정의서”

  • 화면 ID: UI-REG-001

  • 화면명: 회원가입

  • 컴포넌트:

    • 이름 입력 필드

      • Placeholder: “이름을 입력하세요”

      • Validation: 최대 20자

      • 필수 입력

    • 이메일 입력 필드

      • Placeholder: “이메일 입력”

      • Validation: 이메일 형식 체크

    • 비밀번호 입력 필드

      • Validation: 영문+숫자 8자 이상

      • 비밀번호 표시 여부 토글 버튼

    • 가입하기 버튼

      • 활성화 조건: 모든 필수 입력값이 유효할 때
  • 동작 규칙:

    • 가입하기 버튼 클릭 시 API 호출

    • 가입 성공 → 로그인 화면 이동

    • 가입 실패 → 오류 메시지 출력

문서 간 관계 정리.

와이어프레임 → 스토리보드 → 화면 정의서
                      ↘
                 기능 정의서
  • 와이어프레임 -> UI 레이아웃 뼈대
  • 스토리보드 -> 뼈대 위에 기능, 동선 설명
  • 화면 정의서 -> 실제 개발을 위한 '화면 규격서'
  • 기능 정의서 -> UI가 아닌 '로직 중심' 규격서.

4. 개발/디자인 전달용 문서


문서명정의주요 목적주요 내용
정책 정의서 (Policy Spec)공통 규칙과 정책 정리일관된 서비스 운영- 가입 정책
- 인증/보안
- 오류 코드 정의
API 정의서프론트-백엔드 연동 규격 문서개발 협업- API Endpoint
- Request/Response 스펙
Design SystemUI 컴포넌트 규칙 집합UI 일관성 유지- 컬러 시스템
- 타이포그래피
- 컴포넌트 가이드

✅ 정책 정의서 (Policy Specification)

  • ✅ 정의(Definition)

    • '정책 정의서'는 서비스 내에서 발생할 수 있는
      { '비즈니스 규칙' & '운영 규정' & '예외 처리' & '정책 로직' } 등을 정리한 문서입니다.
    • " 서비스가 어떤 상황에서 어떻게 동작해야 하는지 "를 결정하는 "룰북(Rule Book)" 같은 역할!
    • 기능 정의서보다 상위 개념으로, 서비스 전체의 일관성과 운영 원칙을 규정합니다.
  • ✅ 왜 중요한가? ( Why important?)
    • 개발팀과 QA팀에게 '명확한 기준'을 제시합니다.
    • 서비스 정책이 수시로 바뀌더라도 변경된 룰을 '한 곳에서 관리' 가능합니다.
    • 기획자 개인의 머릿속에만 있던' 운영 규칙'을 문서로 공유하여, '팀 내 공통 인식'을 형성!
    • 법적, 서비스적 리스크를 예방합니다.
    • 이슈 발생 시, "어떤 규칙 때문에 이 동작이 일어났는가?"를 추적 가능합니다.
  • ✅ 목적 (Purpose)
    • 서비스 정책과 예외 상황을 '문서로 표준화'!
    • 운영 효율성을 높이고, 커뮤니케이션 비용을 절감.
    • QA, CS 대응 기준 수립
    • 기획 & 개발 & 운영 간 '업무 단절 방지'
  • ✅ 주요 항목 (Key Contents)
    • 정책 명칭
    • 정책 설명
    • 대상 기능
    • 적용 조건
    • 처리 방식
    • 예외 조건
    • 법적 혹은 약관 관련 여부
    • 상태 변화(On/Off , Visible/Hidden 등)
    • 메시지 규칙
    • 정책 Version 정보
  • ✅ 예시 (Example)

정책 명칭: 회원 탈퇴 시 데이터 유지 정책
설명: 사용자가 회원 탈퇴 시 개인정보 삭제 여부 및 보관 기간 정의
적용 조건: 탈퇴 요청 시
처리 방식:

  • 개인정보: 즉시 파기
  • 구매 기록: 전자상거래법에 따라 5년 보관
  • CS 이력: 3년 보관
    예외 조건:
  • 법적 분쟁 중인 경우 삭제 불가
    메시지 규칙:
  • 탈퇴 화면에 “구매 기록은 전자상거래법에 따라 5년간 보관됩니다.” 안내 노출
    Version: v1.2

API 정의서 (API Specification)

  • ✅ 정의(Definition)

    • 'API 정의서'는
      {프론트엔드 & 백엔드 & 외부 시스템 간 데이터 교환 규격}을 정의하는 문서입니다.
    • 어떤 엔드포인트를 호출할 수 있고, 어떤 데이터를 주고받아야 하는지 "정확히 명시"
    • 개발자에게는 '가장 필수적인 문서'이며, API 기반 아키텍처(MSA, SPA 등)에서 중요.
  • ✅ 왜 중요한가? ( Why important?)
    • 개발팀 간 역할 분리를 가능하게 해 '동시 개발 작업' 가능.
    • 시스템 간 통신 문제를 줄여서 개발 효율을 극대화합니다.
    • QA팀의 테스트 기준
    • 문서화된 API가 있어야, 유지보수 시 새 개발자도 빠르게 투입 및 적응 가능.
    • 오류 시 "어느 포인트가 잘못된 것일까"를 빠르게 추적 가능.
  • ✅ 목적 (Purpose)
    • API 규격 표준화.
    • 프론트-백 간 개발 스케쥴 관리.
    • 데이터 처리 로직의 일관성 확보.
    • 오류 처리 표준 수립
  • ✅ 주요 항목 (Key Contents)

    • API 이름
    • 설명
    • Method(GET, POST, PUT, DELETE 등)
    • Endpoint URL
    • Request 파라미터
      • 파라미터명
      • 타입(string, int, etc...)
      • 필수 여부
      • 예시 값
    • Response 스키마
      • 필드명
      • 타입
      • 설명
      • 예시 값
    • Error Code
      • 에러 코드
      • 의미
      • 조치 사항
  • ✅ 예시 (Example)

API 명: 회원 로그인 API
Method: POST
URL: /api/v1/login
Request:
{
"email": "user@test.com",
"password": "pass1234"
}
Response (성공):
{
"code": "200",
"message": "로그인 성공",
"data": {
"userId": 123,
"token": "eyJhbGci..."
}
}
Error Codes:

  • 401: 이메일 혹은 비밀번호 오류
  • 500: 서버 오류

Design System

  • ✅ 정의(Definition)

    • Design System은
      {'UI/UX 구성요소와 규칙, 가이드라인, 재사용 가능한 컴포넌트 } 등을 체계적으로 모은 라이브러리.
    • 단순 디자인 가이드가 아니라, {디자인-개발 간 협업을 위한 통합 언어} 입니다.
    • 스케일이 큰 프로젝트일수록 필수적 !
  • ✅ 왜 중요한가? ( Why important?)
    • UI의 일광성을 유지 가능!
    • 신규 페이지, 신규 서비스 확장 시 '비용과 시간 절감' 가능.
    • 디자인 시스템이 없는 경우, 개발자-디자이너 간 충돌이 자주 발생합니다.
    • UI 수정 시 전체 영향도를 빠르게 파악 가능합니다.
    • 접근성(Accessibility), 반응형 설계 등 기업의 UX 품질 유지에 필수적입니다.
  • ✅ 목적 (Purpose)

    • 디자인 규칙과 컴포넌트를 표준화.
    • UI/UX 품질 유지.
    • 빠른 프로토타이핑 지원.
    • 개발/디자인 협업 효율 극대화.
  • ✅ 주요 항목 (Key Contents)

    • Design Principle (디자인 철학)
    • 색상 팔레트
    • 타이포그래피.
    • 버튼 스타일.
    • 입력 폼 스타일.
    • 컴포넌트 라이브러리
      • Button, Modal, Dropdown, Tab 등
    • 상태 규칙
      • 활성/비활성
      • Hover, Active, Focus
    • Grid 시스템
    • 아이콘 가이드
    • Animation 규칙
    • 접근성(Accesbility)가이드.
  • ✅ 예시 (Example)

Button 컴포넌트 규격

  • Primary Button
    • 배경색: #0066FF
    • 폰트: 14px / Bold
    • Border Radius: 4px
    • Hover: #0055DD
    • Disabled: #CCCCCC
  • Secondary Button
    • 배경색: #FFFFFF
    • 테두리 색상: #0066FF
    • 글자색: #0066FF

타이포그래피

  • H1: 24px / Bold / #333
  • Body: 16px / Regular / #666

Color Palette

  • Primary: #0066FF
  • Secondary: #FF6600
  • Text Default: #333333

✅ 세 문서의 관계.

문서용도
정책 정의서서비스의 규칙, 예외, 운영 원칙을 명시
API 정의서시스템 간 데이터 교환 규격을 정의
Design SystemUI/UX의 시각 규칙 및 컴포넌트 정의
  • 정책 정의서 ->> "서비스 로직의 기준"

  • API 정의서 ->> "뎅터 통신의 기준"

  • Design System ->> "화면 구현의 기준"

5. 정책 및 QA 문서


문서명정의주요 목적주요 내용
QA 시나리오 (Test Case)테스트 케이스 정의품질 검증- 테스트 조건
- 예상 결과
- Pass/Fail
버그 리포트발견된 문제 기록빠른 이슈 공유- 버그 설명
- 재현 방법
- 스크린샷
Release Note배포 내용 정리릴리즈 히스토리 공유- 개선 사항
- 버그 수정
- 주요 변경점

QA 시나리오 (QA Scenario)

  • ✅ 정의(Definition)

    • QA 시나리오는 "테스트해야 할 기능과 그 수행 절차를 단계별로 명확히 정의한 문서"
    • 개발된 서비스가 요구사항과 정책대로 정상 작동하는지를 검증하기 위해 작성합니다.
    • 단순 기능 체크를 넘어서, 예외 상황, 경계값, 사용자 행동 패턴까지 포함합니다.
    • QA팀만 작성하는 것이 아니라, "기획자와 개발자, QA가 함께 작성 및 검수" 하는 것이 이상적!
  • ✅ 왜 중요한가? ( Why important?)
    • 서비스의 '품질을 객관적으로 보증' 할 수 있습니다.
    • 개발과 기획의 '해석 차이 및 디테일을 발견' 가능합니다.
    • 테스트 누락을 방지해 QA 효율을 높입니다.
    • 버그 리포트 시
      "어떤 절차에서 어떤 문제가 발생했는지"를 추적할 수 있는 "근거 자료"가 됩니다.
    • 릴리즈 이후 사용자 클레임 발생 가능성을 크게 낮춥니다.
  • ✅ 목적 (Purpose)

    • 테스트 커버리지를 체계적으로 확보.
    • 버그의 재현 절차 표준화.
    • 팀 간 커뮤니케이션 기준 문서로 활용.
    • QA 인력 교체 시에도 동일한 테스트 수행 가능.
  • ✅ 주요 항목 (Key Contents)

    • 기능명
    • 테스트 목적
    • 선행 조건(필요한 데이터 세팅 등)
    • Test Case 번호
    • 입력값/ 수행 절차
    • 기대 결과
    • 실제 결과 ( 테스트 진행 후 기록)
    • Pass/Fail 여부
    • 비고 / 코멘트
  • ✅ 예시 (Example)

기능명: 로그인
목적: 올바른 계정으로 로그인 가능 여부 검증
선행 조건: 테스트 계정(user01 / password123) 존재
Test Case: TC-LOGIN-01
입력값/절차:

  • 로그인 화면 접속
  • 아이디 : user01 입력
  • 비밀번호 : password123 입력
  • 로그인 버튼 클릭
    • 기대 결과 : 로그인 성공 메시지 노출 후 메인 페이지 이동
    • 실제 결과 : 로그인 성공, 메인 페이지 이동됨
    • Pass/Fail : Pass

버그 리포트 (Bug Report)

  • ✅ 정의(Definition)

    • 버그 리포트는 "발생한 오류(버그)를 기록하고 공유하는 문서"
    • 버그의 발생 조건, 재현 방법, 영향 범위 등을 정리해
      개발팀이 신속하게 수정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 단순히 “이 기능 안 돼요”가 아니라, 누구나 똑같이 재현 가능하게 작성하는 것이 핵심
  • ✅ 왜 중요한가? ( Why important?)

    • 문제를 빠르게 공유하고 해결 가능.
    • QA, 기획, 개발 간의 커뮤니케이션 효율을 높입니다.
    • 서비스 장애로 이어질 수 있는 버그를 조기에 발견 가능합니다.
    • 버그 발생 빈도와 심각도를 관리하여 '서비스 안정성'을 높입니다.
    • 릴리즈 전 품질 보증을 위한 '근거 자료'가 됩니다.
  • ✅ 목적 (Purpose)
    • 버그의 '정확한 재현과 해결'을 돕습니다.
    • 문제의 우선순위를 설정해, 리소스 배분을 효율화합니다.
    • 프로젝트 이력 관리(어떤 문제가 몇 번 수정되었는지 기록)
  • ✅ 주요 항목 (Key Contents)

    • 버그 ID
    • 작성자
    • 작성일
    • 발견 버전
    • 기능명
    • 발견 일시
    • 발생 환경(OS, Browser, Device 등)
    • 버그 내용 설명
    • 재현 절차
    • 기대 결과
    • 실제 결과
    • 심각도(Severity)
    • 우선 순위(Priority)
    • 첨부 스크린샷 or 영상
    • 담당자
    • 조치 내역
  • ✅ 예시 (Example)

Bug ID: BUG-20240620-01
작성자: QA-김테스터
기능명: 상품 검색
발견 버전: v1.3.2
환경: Chrome 112 / Windows 10
내용: 검색창에 ‘@’ 입력 시 서버 오류 발생
재현 절차:
1. 메인 페이지 접속
2. 검색창에 @입력 후 Enter
- 기대 결과: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메시지 출력
- 실제 결과 : 500 Server Error 발생
- 심각도 : High
- 우선순위 : High
- 첨부 자료 : 에러 장면 스크린샷 첨부
- 조치 내역 : 백엔드 @ 특수문자 필터링 로직 추가 예정

Release Note (릴리즈 노트)

  • ✅ 정의(Definition)

    • Release Note는
      "서비스의 새로운 기능 추가, 수정, 버그 수정, 정책 변경 등을 기록한 공식 문서"
    • 내부적으로는 개발팀, 기획팀, QA팀, 운영팀이 참고하고, 외부에는 고객 공지로도 활용됩니다.
    • 사용자는 “이번 버전에 뭐가 달라졌는지”를 Release Note로 확인합니다.
  • ✅ 왜 중요한가? ( Why important?)

    • 유저(사용자)와의 '신뢰 구축 수단'
    • 운영팀, CS팀 등 다른 부서에 업데이트 내용을 신속히 전달 가능.
    • 추후 문제 발생 시 '버전별 변경 이력' 추적 가능.
    • 릴리즈 이력을 관리함으로써 프로젝트의 '품질 관리 체계'를 구축 가능.
  • ✅ 목적 (Purpose)
    • 변경된 내용을 투명하게 기록 및 공유
    • 사용자 혼선 방지
    • 내부 팀 간 변경사항 공유
    • 문제 발생 시 신속한 원인 붆석
  • ✅ 주요 항목 (Key Contents)

    • 릴리즈 버전

    • 배포 일자

    • 업데이트 유형

      • New Feature

      • Improvement

      • Bug Fix

      • Policy Change

    • 상세 변경 내용

    • 개발자/담당자

    • 배포 서버/환경

    • 영향 범위

    • Known Issue

    • 참고 링크

  • ✅ 예시 (Example)

Version: v1.4.0
Release Date: 2025-06-24
New Feature:

  • 마이페이지 → 회원등급제 도입
  • 주문 내역 PDF 다운로드 기능 추가
    Improvement:
  • 로그인 속도 개선 (약 30% 빨라짐)
    Bug Fix:
  • 상품 리뷰 작성 시 특수문자 입력 불가 현상 수정
  • 장바구니 삭제 시 UI 깜박임 현상 해결
    Policy Change:
  • 개인정보 보관 정책 변경 → 탈퇴 후 5년 보관 → 3년 보관으로 단축
    Known Issue:
  • 간헐적으로 리뷰 작성 후 페이지 새로고침 시 데이터 중복 노출
    담당자: 김기획 / 이개발
    배포 서버: Production

✅ 문서 간 관계

문서용도
QA 시나리오품질 검증 절차 수립
버그 리포트문제 이력과 해결 관리
Release Note최종 배포 결과 기록 및 공유
  • QA 시나리오 -> 테스트 실행 계획

  • 버그 리포트 -> 문제 기록

  • Release Note -> 최종 배포 내용 공유.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