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 차
📗 2-1. Python 내부 구조
📙 파이썬 인터프리터 구조
📒 CPython의 동작 원리
📒 바이트코드와 가상머신
📒 메모리 관리(GIL)
📙 메모리 모델 및 객체 구조
📒 변수 참조, 객체 ID, 가비지 컬렉션
📒 참조 카운팅과 순환 참조 처리
📙 다양한 구현체
📒 CPython, PyPy, Jython, IronPython
📒 속도와 호환성 비교
📗 2-2. 주요 라이브러리 개요 (데이터/AI 활용 중심)
📙 데이터 처리
📒 NumPy: 배열 연산 및 벡터화
📒 Pandas: DataFrame 기반의 데이터 분석
📒 데이터 처리/시각화 기본 개념
📙 시각화 도구
📒 Matplotlib: 기초 그래프 그리기
📒 Seaborn, Plotly: 고급 시각화
📙 머신러닝/딥러닝
📒 Scikit-learn: 머신러닝 기본 모델
📒 TensorFlow vs PyTorch 비교
📒 기본 학습 흐름
📙 웹 프레임워크 및 백엔드 라이브러리
📒Django, Flask, FastAPI 개념적 차이와 특징
Python 인터프리터 내부 구조 이해
주요 라이브러리와 프레임워크의 역할 파악
Python이 데이터 과학, AI 분야에서 어떻게 활용되는지 이해
Python 실행 과정: 소스코드 → 바이트코드 → 인터프리터
대표 라이브러리 (NumPy, Pandas, TensorFlow 등)
Python 생태계 내 역할 구분 (웹, 데이터, AI, 자동화 등)
📜 기초 개념.
Python은 인터프리터 언어로, 한 줄씩 코드 실행
CPython: Python의 표준 구현체, C로 작성
소스 코드(.py) → 바이트코드(.pyc) → PVM에서 실행
텍스트📜 실사용 예시.
x = 10
y = 20
print(x + y)
-> CPython이 바이트코드로 변환 후 PVM에서 실행.
📜 심화 개념.
PVM(Python Virtual Machine) 구조:
GIL(Global Interpreter Lock)
: 동일 프로세스 내 멀티스레드라도 동시에 한 스레드만 Python 바이트코드 실행 가능
📜 실무 적용.
📜 기초 개념.
Python 소스코드는 바로 실행되지 않고 바이트코드(bytecode)로 변환
바이트코드는 PVM에서 실행되며, 플랫폼 독립적
📜 실사용 예시.
python -m py_compile example.py
example.pyc 생성 → 바이트코드 확인 가능
📜 심화 개념.
📜 실무 적용.
📜 기초 개념.
Python 메모리 관리 : "참조 카운트 + 가비지 컬렉션(GC)"
GIL : 한 번에 하나의 스레드만 Python 바이트코드 실행.
객체는 ID, 타입, 값 정보를 가짐.
📜 실사용 예시.
import sys
a = [1,2,3]
print(sys.getrefcount(a))
참조 카운트 확인 가능.
📜 심화 개념.
📜 실무 적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