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정] CentOS/RHEL/Rocky Linux/Oracle Linux에서 호스트 네임 확인과 변경

북극여우·2023년 10월 28일
1

리눅스 설정

목록 보기
1/5

1. 호스트 네임 확인

  • hostname 명령어 사용
[root@localhost ~]# hostname

localhost.localdomain
  • /etc/hostname 파일 내용 보기
[root@localhost ~]# cat /etc/hostname

localhost.localdomain
  • hostnamectl 명령어 사용
[root@localhost ~]# hostnamectl

   Static hostname: localhost.localdomain
         Icon name: 
           Chassis: 
        Machine ID: e5f0c14d3c7f4b77a3428bd2870bc51a
           Boot ID: 6ba8f761274f46998a6a2820bb2a0afd
    Virtualization: 
  Operating System: CentOS Linux 7 (Core)
       CPE OS Name: cpe:/o:centos:centos:7
            Kernel: Linux 3.10.0-1160.el7.x86_64
      Architecture: x86-64
  • nmcli 명령어 사용
[root@localhost ~]# nmcli general hostname
[root@localhost ~]# nmcli g hostname (줄여서)
[root@localhost ~]# nmcli g h (더 줄여서)

localhost.localdomain

2. 호스트 네임 변경

  • hostname 명령어 사용(일시적)
[root@localhost ~]# hostname calintzcs
[root@localhost ~]# hostname

calintzcs
  • /etc/hostname 파일 내용 수정(영구적, 재부팅 필요)
[root@localhost ~]# echo "calintzcs" > /etc/hostname
[root@localhost ~]# hostname

calintzcs
  • hostnamectl 명령어 사용(영구적, 즉시 적용)
[root@localhost ~]# hostnamectl set-hostname calintzcs
[root@localhost ~]# hostname

calintzcs
  • nmcli 명령어 사용(영구적, 즉시 적용)
[root@localhost ~]# nmcli general hostname calintzcs
[root@localhost ~]# nmcli g hostname calintzcs (줄여서)
[root@localhost ~]# nmcli g h calintzcs (더 줄여서)
[root@localhost ~]# hostname

calintzcs

📌 호스트 네임은 영문자와 숫자, 하이픈(-)만 사용 가능하며, 영문자는 대소문자를 구분하지 않는다.

📌 호스트 네임은 도메인과 같이 점(.)으로 나뉜 부분들로 구성되며, 각 부분은 1~63자까지 구성되고, 전체 길이가 255자 이하여야 한다.

📌 호스트 네임의 각 부분은 하이픈(-)으로 시작하거나 끝날 수 없다.

  • 영문63자.영문63자.영문63자.영문63자.com = 전체 길이 255자까지 가능
  • abcd.com = ABCD.COM
  • -abcd.com / abcd-.com / abcd.-com / abcd.com- = 모두 불가능
  • _abcd.com / a_bcd.com / a#bcd.com / abcd.c#om = 모두 불가능
  • a-bcd.com / abcd.c-om = 모두 가능

0개의 댓글

관련 채용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