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irty Checking

calis_ws·2024년 1월 9일
0
post-custom-banner

Dirty Checking

어떤 데이터나 상태가 마지막으로 확인된 후, 변경된 부분이 있다면 자동으로 트랜잭션이 끝나는 시점에 데이터베이스에 반영하는 기능이다.

dirty 란 "entity data의 변경된 부분"을 뜻한다.

특징

  • 영속성 컨텍스트가 관리하는 영속 상태의 엔티티만 적용된다. 준영속/비영속 상태의 엔티티는 더티 체킹을 할 수 없다.

  • 트랜잭션이 커밋될 때 엔티티의 변경된 상태를 DB에 반영한다. 커밋 전까지는 상태를 추적만 한다.

  • update 에 관련된 쿼리를 작성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코드의 복잡성을 줄일 수 있다.

@Entity
public class User {
    @Id
    private Long id;
    private String username;
    private String email;

    // Getters and setters
}
@Service
public class UserService {

    @Autowired
    private UserRepository userRepository;

    @Transactional
    public void updateUsername(Long userId, String newUsername) {
        // 트랜잭션 내에서 엔티티를 가져와 상태를 변경
        User user = userRepository.findById(userId).orElse(null);

        if (user != null) {
            // Dirty Checking을 통한 엔티티 상태 변경
            user.setUsername(newUsername);
        }
        // 트랜잭션 커밋 시 Dirty Checking 발생
        // 트랜잭션 종료 시 엔티티 상태 변경사항이 데이터베이스에 반영됨
    }
}

작동 과정

  1. 메소드가 호출될 때 트랜잭션 시작

  2. userRepository.findById(userId) 는 userId 에 해당하는 User 엔티티를 DB에서 가져온다.

  3. setUsername 메소드를 호출하여 엔티티의 username 속성을 변경한다.
    이 시점에서 엔티티의 상태가 Dirty 로 표시된다. (트랜잭션 범위 내에서 수정되었기 때문)

  4. @Transactional 은 메소드가 정상적으로 완료되면 트랜잭션을 자동으로 커밋하고, 이 단계에서 Dirty Checking 이 수행

  5. Hibernate 는 영속성 컨텍스트 내의 엔티티의 현재 상태와 초기 상태를 비교한다.

  6. 변경 사항이 감지되면 Hibernate 는 DB에 변경 사항을 동기화하기 위한 SQL 문을 생성한다. 이 경우에는 새 username 을 반영하기 위해 UPDATE 문이 실행

정리


  • Dirty Checking 은 주로 트랜잭션이 커밋될 때 이루어진다.

  • Entity를 영속성 컨텍스트에 보관할 때, 최초의 상태를 복사해서 저장해둔다. (스냅샷)

  • 영속성 컨텍스트의 변경 내용을 DB에 반영한다. (플러시)

  • 플러시 시점에 스냅샷과 Entity를 비교해서 변경된 Entity를 찾는다.

profile
반갑습니다람지
post-custom-banner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