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ubectl taint nodes node1 key1=value1:NoSchedule
제거하기 위해서는 kubectl taint nodes node1 key1=value1:NoSchedule-같이 -를 덧붙인다.
.effect 필드 값은 NoSchedule, PreferNoSchedule, NoExecute로 설정할 수 있다.
Taint와 유사하게 cordon과 drain 명령어가 있다.
kubectl cordon node-name명령을 통해 해당 노드를 SchedulingDisabled 상태로 바꿀 수 있다.
kubectl drain은 지정된 노드에 있는 파드들을 다른 노드로 이동시키는 명령이다.
(예시: kubectl drain node-name)
DaemonSet, ReplicaSet, Replication, StatefulSet, Job으로 실행된 파드가 있을 때는
--ignore-daemonsets=true --force 옵션을 설정해 다시 실행하면 정상적으로 드레인 설정이 실행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