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wish 함수의 모양
PaLM모델 학습 시, ReLU 대신 Swish 사용.
- 와 같이 사용.
실제로 거대한 모델일수록 많은 양의 데이터, 여러 step에 걸쳐 학습을 하게 되므로 기존 Swish뿐만 아니라, W 및 V를 곱한 자기 자신을 다시 내적한 값을 활성화 함수로 사용한다는 것은 정보를 더 보존한다는 의미를 갖지 않을까 해석해봄.
출처 : https://en.wikipedia.org/wiki/Independent_and_identically_distributed_random_variables
출처:
https://en.wikipedia.org/wiki/Moment_(mathematics)
통계에서는 data를 기반으로 real world의 pattern을 찾아낸다. 따라서, 관찰된 데이터를 통해 상황에 대한 가정이나 이론적 확률을 기반으로 실제 상황의 모델을 만들고 이를 이용하여 예측하고 테스트한다.
모델을 만들 때, 임의성 요소가 포함되지 않으면 "deterministic model" 무작위 요소가 포함되는 경우 "probabilitistic model"으로 분류한다.
임의성 요소가 포함되지 않는다는 말은 동일한 초기 조건으로 모델을 실행하면 동일한 결과를 얻는다는 말이다.
대부분의 수학적 모델들은 deterministic한데, 예를 들어 300m의 열기구에서 떨어진 사과의 높이를 모델링한다고 하면 (t=time) 와 같이 식을 세우고, t=1일 땐 h=295, t=2일 땐 280 ... 이와 같이 정해져있고 변동이 일어나지 않는다.
probabilitistic model의 경우, 동일한 초기 조건에서도 다른 결과를 낼 수 있다. 예를 들어, 현금 인출기의 대기 시간을 계산하기 위한 모델링을 한다고 생각해보자.
고객은 인출기를 사용할 때마다 평균 2분씩 걸리고, 고객이 평균 2분마다 도착한다고 한다는 사전 정보를 얻고, 고객이 3분 이상을 기다려야할 확률을 구한다고 했을 때
probabilitistic 모델은 고객이 2분마다 한 사람씩 오는 것이 아니라 임의로 도착할 수 있다는 임의성을 주고, 계산을 위해 시뮬레이션을 한다.
임의성을 가정하지 않는 deterministic 함수의 경우, m의 케이스라고 보면 되고 대기시간은 0이다. 반면, probabilitistic 모델의 경우 w의 케이스처럼 임의의 도착을 가정한다. 이 경우, 대기시간을 w.t (wait time) 아래와 같이 그려볼 수 있다.
흔히 NLP 연구에서 decoder나 autoregressive나 많이 사용되는 용어이다. 이를 다시 인지해본다.
An autoregressive decoder is a decoder model which uses information from previous time steps of the decoder to generate the value at the current time step. An example of such an autoregressive decoder is a English-French machine translation model. While translating from English to French, the decoder will condition its current time step's prediction on the previously generated words (past time steps).
"Decoder" is a part that usually produces output from some hidden state.
"Autoregressive" means that this is a recurrent structure that uses prediction from a previous state to generate next step, e.g. use previous predicted output word to generate next output word during translation.
공통적으로 autoregressive 하다는 것은 현재-과거와 같은 시간적 개념이 추가된 것으로 현재 시점(t)에서 이전(t-1)의 hidden state를 다시 입력으로 사용한다는 의미를 지니며, decoder는 hidden state로부터 결과를 내는 모델을 지칭하는데 쓰이는 것을 알 수 있다.
출처 : https://stats.stackexchange.com/questions/287013/what-is-an-autoregressive-decoder
출처 : https://angeloyeo.github.io/2020/09/17/MCMC.ht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