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외처리

위수현·2023년 2월 2일
0
post-thumbnail

에러의 종류

🔎 컴파일 에러

- 소스코드의 구문 오류로 인하여 컴파일이
불가능한 상태
- 이클립스에서 빨간색으로 표시되는 경우에 해당된다.
- 프로그램을 실행하기 전에 발면되므로
상대적으로 고치기 쉽다.
=> 직접 무조건 고쳐줘야 함.

🔎 런타임 에러

>
	- 구문상에서 에러는 없지만, 프로그램이
	실행되는 과정에서 다양한 경우의 수에
	대응하지 못하여 발생하는 예외상황
	- 런타임에러가 발생하면 프로그램은 강제로 종료된다.
	- 우리가 프로그램의 에러라고 부르는 현상은
	대부분 런타임에러에 해당한다.

런타임 에러의 종류

🔎 런타임 에러에는 프로그램 자체의 구조적인 문제로
인한 논리적 오류와 자바 가상 머신 자체의 무제로
인한 오류, 그리고 예외(Exception)가 있다.
<논리오류>

 논리적 모순이 생기지 않도록 코드 작성

<자바 가상 머신 자체 오류>

프로그래머가 책임질 수 있는 수준의
오류가 아니다.

<예외(Exception)>

🔎 프로그램 실행 중에 발생할 수 있는
예기치 않은 사건으로, 프로그래머의 노력으로
처리할 수 있다.
🔎 자바 가상 머신은 프로그램 실행중에
예외가 발생하면 관련된 예외 클래스로부터
예외객체를 생성하여 프로그램의 지정된
예외 처리 구문으로 넘긴다.
🔎 예외가 발생하면 프로그램에 지정된
예외처리 구문이 자바 가상머신에 의해
호출되고, 이때 전달되는 예외 객체를
넘겨받아 적절한 처리를 수행한다.

Java의 예외처리

다음과 같은 에러가 발생했을 때,
console창에 출력된 error문구를 보고 원인을 찾는다.

🔎 Java에서는 'try~catch~finally' 구문을 통해 프로그래머가 예외 상황에 대응할 수 있도록
사용하고 있다.

	try{
			// 기본적으로 실행되는 부분
	} catch( 예외클래스이름 객체이름 ){
			// try 블록에서 예외가 발생한 경우
			// 이 곳으로 제어가 넘어온다.
	} fianlly(){
			// 예외 상황의 발생 여부에 상관 없이
			// 무조건 실행되는 부분
			// fianlly 블록은 생략이 가능하다.
		}

🔎 try블록 실행중 catch에서 명시한 예외 클래스에 해당하는 런타임 에러가 발생하면, try블록을 즉시 중단하고, catch블록이 실행된 후, fianlly블록이 실행된다.
🔎 예외가 발생하지 않을 경우 try블록 종료 후 finally 블록이 실행된다.

1) 예외가 한 가지일 때

-> 정수형자리에 문자열이 들어가 처리할 수 없는 경우

해결)

2) 예외가 두 가지 이상일 때

에러)

해결)

-> 위부터 순서대로 처리됨으로 catch문을 하나 더 작성해준다.

Exception (e.getMessage())

e.getMessage()를 통해 
예외처리된 내용을 콘솔창으로 확인할 수 있다.

Exception 예외클래스

이 외에도 종류가 매우 많아서 
유동적으로 사용하면 된다.

에러 객체 'e'

🔎 e.printStackTrace();

- 실제 예외 상황시에 출력되는 메시지를
강제로 출력한다.
- 개발자가 catch 블록 안에서 예외 상황을
분석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한다.

🔎 e.getMessage();

- 간략한 에러 메시지를 리턴한다.

Exception 이해하기

🔎 catch블록을 사용한 복합 에러 처리

catch 블록은 에러가 예상되는 상황에 대해
복수로 명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Exception 클래스

🔎 java에서 예외 상황을 의미하는 모든 클래스들의
최상위 클래스이다.
🔎 이 클래스의 이름으로 catch 블록을 구성하면,
모든 예외 상황에 일괄적으로 대응할 수는 있지만,
catch 블록이 세분화된 경우와는 달리 상황별 개별적인
처리는 불가능하다.

🔎 Exception 클래스에 대한 예외처리는 대부분 맨
마지막에 catch블록에 명시하여 '마지막 알 수 없는
에러'를 의미하도록 구성한다.

- Exception 최상위 클래스는 ID/PW 도용 등의 이유로
모든 예외를 처리하지 않아도 되는 때가 있다.
- 하지만 마지막 catch( Exception e ){ } 구문은 반드시
넣어서 예외를 처리해 주어야 한다.

e.printStackTrace();

개발자들이 육안으로 에러를 콘솔창에 출력하여
문제를 확인하기 위한 코드
profile
수현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