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radle & Groovy - Groovy 문법 1탄

gimseonjin616·2025년 1월 31일
0

gradle

목록 보기
2/5

안녕하세요! 백엔드 개발자 Kerry 입니다.

이번에는 지난 번에 이어 gradle & groovy 시리즈, Groovy에 대해 정리해보려고 합니다.

내용이 조금 길어서 몇 번에 나눠서 정리해보고자 합니다(그저 귀찮을 뿐...ㅎ)

개인적으로 학습한 내용을 정리하는 글이며 틀린 점이 있다면 가감없이 알려주세요!! 언제나 환영입니다!!

사전 세팅

우선 제일 중요한 groovy를 설치해야겠죠?

Groovy는 공식 홈페이지에 들어가면 설치 파일을 다운로드 받을 수 있습니다.

우선 major 버전이 4.0.25 버전인거 같습니다.

아래로 조금 더 내려가다보면, OS 별로 설치할 수 있는 방법들이 나오는데, 전 brew를 활용해서 다운로드 받아보겠습니다. (Window OS 분들은 위의 Download 버튼으로 받으셔도 됩니다)

참고로 brew 사이트 들어가서 살펴보면 groovy home을 등록하라고 나오는데, 공식 사이트를 통해서 받으시면 이 설명을 못봐서 많이 헤메실 수 있습니다. 꼭 zshrc나 여러분이 쓰시는 곳에 등록해주세요

그러고 groovy -v 명령어를 통해, 제대로 설치됐는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자 그러면 제대로 실행되는지 확인해봐야겠죠?

hello.groovy 파일을 만들고, 아래 코드를 복사 붙여넣기 한 다음 groovy hello.groovy 명령어를 입력해봅니다

print("hello world")

잘 실행되는 걸 확인할 수 있습니다 ^^

Groovy 특징

Groovy는 Java Platform에서의 아주 대표적인 동적 프로그래밍 언어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가지고 있는 몇가지 대표적인 특징이 있는데요

Java와 호환성이 좋다.

Groovy는 JVM 위에서 동작하기 때문에 Java 코드와 연동이 쉽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Java libraries나 frameworks와 groovy를 함께 사용할 수 있습니다.

Dynamic and Static Typing

Groovy는 Dynamic Typing과 Static Typing 모두 지원합니다. Dynamic Typing은 Python이나 Javascript 처럼 코드에서 타입을 명시해주지 않아서 암묵적으로 추론해서 사용할 수 있는 방식입니다. 반면에 Statitc Typing은 Java 처럼 타입을 명확하게 명시해주는 방식입니다. Groovy는 이 두 방식을 모두 지원하기 때문에 상황에 맞게 적절히 선택해서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간결한 문법

Groovy는 Java와 비교했을 때 훨씬 간결한 문법을 제공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불 필요한 보일러플레이트 코드를 줄일 수 있으며 더 쉽고 가독성 높은 코드를 작성할 수 있습니다.

Interpreted and Compiled

Groovy는 Script Language로 쓸 수 있고, Compiled Language로도 쓸 수 있습니다. 왜냐하면 JVM 위에서 동작하기 때문이죠! 그래서 상황에 맞게 적절히 쓸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Groovy의 사용처

이처럼 Groovy는 호환성이 좋고 다재다능해서 다양한 방면에서 사용되어집니다.

Automation Scripting

대표적으로 Groovy가 사용되는 케이스로 Build Script로서 간결하고 표현력이 좋기 때문에 Gradle에서 정말 많이 사용합니다.

Build Automation을 제외하고도, manipulation, data processing, System administration 방면에서도 Automation Script로 사용됩니다.

Web Development

Grails 라는 Framework를 통해서 Groovy 기반의 web application을 만들 수 있습니다. groovy가 build language 뿐 아니라 Service 용으로도 충분히 사용될 수 있다는 걸 나타내죠

Testing

Groovy는 가끔씩 Test Framework(ex Spock)에서도 사용됩니다. 왜냐하면 매우 간결하고, 강력한 기능을 제공하기 때문이죠


마무리

오늘은 Groovy를 세팅하고, hello world를 찍어봤으며 Groovy 언어의 대표적인 특징 몇 가지를 정리해봤습니다. 한 시간만에 모든 내용을 다 정리하고, 블로깅하기엔 제 글쓰기 실력이 많이 부족하네요 ㅜㅜ

오늘은 여기서 마무리 하고! 내일 본격적인 Groovy 문법을 정리해보도록 하겠습니다!!

다음에 뵈요!

profile
to be data engineer

0개의 댓글

관련 채용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