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신 프로토콜이란?
통신 프로토콜이란 네트워크 상에서 데이터를 주고받기 위해 정의된 규칙과 절차의 집합이다.
간단하게 말하면 “두 사람 이상의 의사소통을 허용하는 규칙체계”라고도 해볼 수 있겠다.
통신 프로토콜은 기기와 시스템이 원활히 소통할 수 있도록 표준화된 언어를 제공하며, 네트워크 환경에서 통신이 이루어지려면 반드시 프로토콜을 따라야 한다.
주요 통신 프로토콜 종류
1. TCP/IP (Transmission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
인터넷에서 데이터를 안정적으로 전달하기 위해 가장 널리 사용되는 프로토콜
- TCP: 요청과 응답을 여러 개의 패킷으로 나누어 인터넷의 여러 경로를 통해 전송한 후, 다시 이를 조립하여 데이터를 전달한다. 또한, 손실된 데이터는 재전송을 통해 처리하며 신뢰성을 보장한다.
- IP: 패킷을 목적지로 전송하고, 이를 라우팅하는 역할을 한다.
2. HTTP/HTTPS (HyperText Transfer Protocol / Secure)
웹 브라우징에 사용되는 프로토콜
- HTTP: 서버와 클라이언트 간 요청과 응답을 처리한다.
- HTTPS: HTTP에 SSL/TLS 암호화가 추가된 프로토콜로, 보안을 강화한다.
3. FTP (File Transfer Protocol)
네트워크 상에서 파일을 전송하기 위한 프로토콜
- 서버와 클라이언트 간 파일 업로드 및 다운로드를 지원한다.
4. SMTP/IMAP/POP3 (메일 프로토콜)
이메일의 전송과 수신을 처리하는 데 사용되는 프로토콜
- SMTP: 이메일 전송 프로토콜
- IMAP: 서버에서 이메일을 관리하며 동기화 기능을 제공
- POP3: 이메일을 다운로드하여 로컬에서 관리
5. WebSocket
실시간 양방향 통신을 지원하는 프로토콜
- 채팅 어플리케이션이나 실시간 알림에 주로 사용된다.
프로토콜의 계층 구조
프로토콜은 일반적으로 계층 구조로 설계되어 있으며, 각 계층은 특정한 역할을 담당한다.
대표적인 계층구조에는 OSI 7계층과 TCP/IP 모델이 있다.

OSI 7계층
- 물리 계층: 전기 신호, 광 신호 등 물리적 데이터 전송
- 데이터 링크 계층: MAC 주소를 기반으로 데이터 전송
- 네트워크 계층: IP 주소를 통해 라우팅
- 전송 계층: TCP/UDP를 통해 신뢰성 있는 데이터 전송
- 세션 계층: 데이터 연결 및 유지 관리
- 표현 계층: 데이터 암호화, 인코딩 등
- 응용 계층: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관련된 프로토콜 제공
TCP/IP 모델
-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계층: 하드웨어와의 상호 작용 처리
- 인터넷 계층: IP를 통한 데이터 라우팅
- 전송 계층: TCP/UDP로 데이터 전송
- 응용 계층: HTTP, FTP 등 사용자 서비스 제공
통신 프로토콜의 중요성
프로토콜은 네트워크 상에서 서로 다른 기기들이 효율적으로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게 해주며, 통신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오류를 줄여준다.
또한, 각 기기들은 동일한 규칙을 따르기 때문에 상호운용성이 보장되며, 새로운 기기가 추가되더라도 통신 환경에 쉽게 적응 할 수 있다.
이 외에도 프로토콜은 데이터의 정확한 전달을 보장하고, 암호화를 통해 보안을 강화하며, 네트워크 기술의 발전에 맞춰 확장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