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영체제] 묵시적 가용 리스트(implicit free list)

유선·2024년 4월 16일
0

CS

목록 보기
11/25
post-thumbnail

🔍 묵시적 가용 리스트 방식?


  • 동적 메모리 할당 및 해제를 위한 메모리 관리 방법 중 하나
  • 힙 블록을 배열로 표현한 구조를 묵시적 가용 리스트
  • "묵시적(Implicit)"이라 표현하는 이유는 메모리 블록이 헤더 내 필드에 의해 암묵적으로 연결되기 때문이다.
  • 헤더 영역에는 블록의 크기와 할당 여부 정보가 있기 때문에 헤더 정보를 바탕으로 다음 메모리 블록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블록이란?


  • 할당기는 블록 경계를 구분하고, 할당된 블록가용 블록을 구분하는 데이터 구조를 필요로 한다.
  • 대부분의 할당기가 해당 정보를 블록 내부에 저장한다.
  • 한 블록은 1 워드 헤더, 데이터, 패딩(optional)으로 구성

더보기

워드란?

  • 워드는 컴퓨터가 한 번에 처리할 수 있는 데이터의 비트 수
  • 2-bit 아키텍처에서 1 워드는 32bit(4byte)이고, 64-bit 아키텍처에서 1 워드는 64bit(8byte)이다.

💡헤더(Header)


  • 헤더는 블록의 크기(헤더와 패딩을 포함한)와 블록의 할당 여부 정보를 가진다.
  • 만약 더블 워드(8바이트) 정렬 제약조건을 설정한다면, 블록 크기는 항상 8의 배수 이므로, 블록 크기의 하위 3비트는 항상 0이 된다.(1000)
  • 따라서 블록 크기의 상위 29비트만 저장할 필요가 있으며, 나머지 3비트는 다른 정보를 인코딩하기 위해 남겨둔다.
  • 이 경우 블록이 할당되었는지 혹은 가용 상태인지를 나타내기 위해 최소 중요 비트(할당된 비트)를 사용
  • 블록 크기 24바이트(0x18)를 갖는 할당된 블록이 있는 경우의 헤더
0x00000018[블록 크기] | 0x1[가용 상태 여부] = 0x00000019
  • 블록 크기 40바이트(0x28)를 갖는 가용 블록이 있는 경우의 헤더
0x00000028[블록 크기] | 0x0[가용 상태 여부] = 0x00000028

💡Payload


  • malloc**이 리턴**하는 것은 payload 영역의 시작점이다.

💡 Padding


  • 패딩은 외부 단편화를 극복하기 위한 할당기 전략의 일부분으로서 들어갈 수 있고,또는 정렬 요구사항을 만족하기 위해 들어갈 수도 있다.
  • 이들의 크기는 가변적이다.

👍 위 내용을 합친 블록 구조 (묵시적 가용 블럭의 구조)


  • 위와 같은 블록 형태가 주어졌을 때, 연속된 할당 및 가용 블록의 배열로 아래 그림과 같이 구성할 수 있다.

  • 이러한 구조를 묵시적 리스트라고 부른다.
    • 묵시적 가용 리스트의 마지막에는 할당기가 리스트의 끝 지점에 도달했다는 것을 알려주기 위한 epilogue 블록이 있다.
    • 할당 비트(allocated bit)가 셋팅되어 있어 항상 할당된 상태로 표시되어 있고, 사이즈는 0 바이트

할당한 블록 배치


  • 애플리케이션이 k 바이트의 블록을 요청할 때, 할당기는 요청한 블록을 저장하기에 충분히 큰 가용 블록을 리스트에서 검색한다.
  • 검색을 수행하는 방법은 배치 정책에 의해 결정된다
    • first fit, next fit, best fit이 주로 사용된다.

✔️ First fit (최초 할당)


  • 가용 리스트를 처음부터 검색을 시작해서 크기가 맞는 첫 번째 가용 블록을 선택하는 방법이다.
  • 장점: 리스트의 마지막에 가장 큰 가용 블록들을 남겨두는 경향이 있다.
  • 단점: 리스트에 앞부분에 작은 가용 블록들을 남겨두는 경향이 있다는 것인데, 이로 인해 큰 블록을 찾는 경우검색 시간이 늘어날 수 있다.

✔️ Next fit (다음 할당)


  • First fit과 유사하지만, 이전에 검색이 종료된 위치에서 검색을 시작한다는 점이 다르다.
  • 장점: First fit에 비하여 매우 빠른 속도를 가진다.
  • 단점: first fit보다 최악의 메모리 이용도를 갖는다.

✔️ Best fit (최적 할당)


  • 모든 가용 리스트를 검사하여 크기가 맞는 가장 작은 블록을 선택하는 방법이다.
  • 장점: Best fit이 First fit과 Next fit에 비하여 더 좋은 메모리 이용도를 가진다.
  • 단점: 모든 리스트(힙)를 다 검색해야 해서 First fit보다 훨씬 느리게 동작하고 비용이 많이 들 수 있다.

가용(Free) 블록의 분할


  • 블록의 분할은 메모리 할당 요청이 가용 블록보다 작은 경우 해당 블록을 분할하여 사용 가능한 작은 블록을 생성하는 과정을 말한다.
    • 메모리 단편화를 줄이고 작은 크기의 할당 요청에 대해 효율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
  • 할당기가 할당할 가용 블록을 찾은 후, 가용 블록의 어느 정도를 할당할지에 대해 결정하여야 한다.
  • 한 가지 옵션은 해당 가용 블록 전체를 사용하는 것이다.
    • 빠른 속도를 가지지만, 내부 파편화가 발생한다는 단점이 있다.
  • 다른 방법으로는 가용 블록을 쪼개어, 할당할 블록과 새로운 가용 블록으로 나누는 방법이 있다.

  • 대부분의 경우 가용한 블록 전체를 사용하기 보다 일부분만 할당하여 사용한다.

가용(Free) 블록의 연결


  • 할당기가 할당한 블록을 반환할 때, 새롭게 반환하는 블록에 인접한 다른 가용 블록들이 있을 수 있다.
  • 이러한 인접 가용 블록들은 오류 단편화(false fragmentation)라는 현상을 유발시킬 수 있으며, 이때는 너무 작아 사용할 수 없는 가용 블록으로 쪼개진 많은 가용 메모리들이 존재한다.

  • 위 그림은 할당한 블록을 반환한 결과이다.
  • 반환 이후 크기 4워드의 가용 블록과, 2워드의 가용 블록각각 존재한다.
  • 이 둘을 합친다면 5워드 크기의 메모리를 할당받을 수 있지만, 위 상황이라면 요청에 실패한다.

[##Image|kage@PL0vZ/btsGCztkRlQ/SwVVcUnk9pL19iuNgaJ5P1/img.png|CDM|1.3|{"originWidth":623,"originHeight":145,"style":"alignCenter","filename":"Untitled(9).png"}##]

  • 오류 단편화를 극복하기 위해 연결(coalescing)이라는 과정을 통해 가용 블록들을 통합해야 한다.
  • 이 과정에서 언제 연결을 수행해야 할지에 관한 중요한 정책결정을 해야한다.
  • 할당기는 블록이 반환될 때마다 인접 블록을 통합해서 즉시 연결(immediate coalescing)을 선택할 수 있다.
  • 또는, 일정 시간 후에 가용 블록들을 연결하기 위해 기다리는 지연 연결(deferred coalescing)을 선택할 수도 있다.
  • 예를 들어 할당기는 일부 할당 요청이 실패할 때까지 연결을 지연할 수 있으며, 그 후에 전체 힙을 검색해서 모든 가용 블록들을 연결한다.
  • 즉시 연결은 간단하며 상수 시간 내에 수행될 수 있지만, 일부 요청 패턴에 대해서는 블록이 연속적으로 연결되고 잠시 후에 분할되는 쓰래싱의 형태를 유발할 수 있다.

경계 태그로 연결하기


  • 경계 태그는 메모리 블록의 경계를 식별하기 위해 사용
    • 이를 통해 인접한 가용 블록을 식별하고 필요한 경우 연결(coalescing)하여 더 큰 가용 블록을 생성할 수 있다.
    • 이는 메모리 단편화를 최소화하고 메모리 할당 및 해제 작업의 성능을 향상할 수 있다.
  • 👩🏻‍💻 가용 블록은 어떻게 연결할 수 있을까?
    • 블록의 헤더에 블록의 사이즈 정보가 있기 때문에 그 사이즈만큼 이동해서 다음 블록을 찾고 연결할 수 있을 것이다.
  • 👩🏻‍💻 그러면 이전 블록은 어떻게 연결할 수 있겠는가?
    • 헤더를 사용하는 묵시적 가용 리스트가 주어진다면, 유일한 옵션은 현재 블록에 도달할 때까지 전체 리스트를 검색하서 이전 블록의 위치를 기억하는 것이다.
      • 묵시적 가용 리스트를 사용하면, 이것은 각각의 free호출이 힙의 크기에 비례하는 시간을 소모할 것을 의미한다.
      • 검색시간이 상수가 될 수 없다.
      • 시간복잡도가 O(N)이 될 것이다.
  • 👩🏻‍💻 이전 가용 블록을 연결하기 위해 경계 태그(Boundary Tag)를 사용한다.
    • 이는 각 블록의 끝 부분푸터(footer, boundary tag)를 추가하는 것으로, 해당 푸터는 헤더를 복사한 것입니다.
    • 이 기법은 상수 시간에 이전 블록을 연결하게 해준다.
  • 만일 각 블록이 이와 같은 푸터를 포함하게 되면, 할당기는 시작 위치와 이전 블록의 상태를 풋터를 조사해서 결정할 수 있게 되며, 해당 풋터는 항상 현재 블록의 시작 부분에서 한 워드 떨어진 곳에 존재한다.

[##Image|kage@oyeR9/btsGCnsN5NE/Cb7qmnmVIkzqd3QtQO93J0/img.png|CDM|1.3|{"originWidth":1520,"originHeight":826,"style":"alignCenter","width":632,"height":343,"caption":"경계 태그를 이용해  이전 블록의 정보 를 쉽게 알 수 있다.","filename":"image222.png"}##]

  • 위 그림은 경계 태그를 포함한 블럭의 구조

경계 태그를 사용한 연결(Coalescing)


  • 4가지의 연결 방법

1️⃣ 이전과 다음 블록이 모두 할당된 상태

  • Coalescing이 발생하지 않는다.

2️⃣ 이전 블록은 할당되어 있지만, 다음 블록은 가용상태

  • 다음 블록과만 Coalescing이 발생한다.
  • 사이즈가 n인 블록이 해제되면서 n 블록과 m2 블록이 연결되고, 헤더와 푸터의 사이즈 정보는 n+m2로 변경

3️⃣ 이전 블록은 가용상태이고, 다음 블록은 할당상태

  • 이전 블록과만 Coalescing이 발생한다.

4️⃣ 이전 블록과 다음 블록 모두 가용상태

  • 이전 블록과 다음 블록 모두와 Coalescing이 발생

  • ※ 경계 태그는 간단하고 유용한 개념이지만, 각 블록이 헤더푸터를 유지해야 한다는 단점이 존재한다.

    • 만일 애플리케이션이 작은 크기의 블록을 많이 다룬다면 상당한 양의 메모리 오버헤드가 발생할 수 있다.
  • ⭐️풋터가 할당된 블록에 있을 필요를 없애는 경계 태그를 영리하게 최적화하는 방법이 존재한다!⭐️

    • 현재 블록을 메모리에 있는 이전다음 블록과 연결하려고 할 때, 만일 이전 블록이 가용한 경우에만 이전 블록의 풋터에 있는 size 필드가 필요하다는 점을 기억할 수 있다.
  • 현재 블록의 추가적인 하위 비트들 중의 하나에 이전 블록의 할당, 가용 비트를 저장하려고 한다면, 할당된 블록들은 풋터가 필요가 없어지고, 이 추가적인 공간을 데이터를 위해 사용할 수 있을 것입니다.

  • 그러나 가용 블록은 여전히 푸터를 필요로 한다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묵시적 가용 리스트의 장단점


  • 묵시적 가용 리스트는 구조가 단순하다는 장점이 있지만, 성능과 효율성 측면에서 단점도 존재한다.
  • 묵시적 가용 리스트는 모든 블록을 순차적으로 검색하여 필요한 크기의 빈 공간을 찾는데, 만약 가용한 공간이 리스트의 마지막에 있다면 그 공간을 찾기 위해 전체 리스트를 순회해야 하므로 시간 복잡도가 O(n)이 된다.
  • 대부분의 malloc/free 구현에서는 묵시적 가용 리스트 방식을 직접 사용하지 않는다.
    • 이 방식이 메모리 단편화 문제를 해결하기 어렵고, 성능 면에서도 최적화되지 않기 때문이다.
  • 블록의 분할경계 태그를 활용하여 가용 블록을 통합하는 방법은 대부분의 메모리 할당 라이브러리에서 사용한다.
profile
Sunny Day!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