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트워크 토폴로지
- 네트워크는
그 목적과 형태에 따라 여러가지 모양으로 설계, 구축되는데,
형태에 따른 다양한 설계 방법을 토폴로지(Topology)라고 한다.
- 각 토폴로지별 특징과 장단점을 이해하면
목적에 맞는 네트워크를 설계하고 구축할 수 있다.
![](https://velog.velcdn.com/images/ch6403/post/c54464b1-73cc-4dc5-8f80-24d38a8cd8ba/image.png)
1. 망형 ( Mesh Topology )
- 모든 디바이스들이 점대점으로 연결되었다.
- 하나의 통신 회선이 고장나더라도 전체 네트워크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 모든 디바이스들을 연결해야 하므로,
작업공간이 많이 필요하며 설치비용도 많이 든다.
- 메시형이라고도 한다.
2. 성형 ( Star Topology )
- 각각의 디바이스가 중앙의 시스템(허브)에 점 대 점 ( Point to Point ) 방식으로 연결되어 있다.
- 중앙 제어 노드가 통신 상의 모든 제어를 관리하므로
중앙 제어 노드 작동 불능 시 전체 네트워크가 정지한다.
- 망형 토폴로지에 비해 설치 비용이 적게 들고 효율적일 토폴로지이지만,
중앙 시스템이 고장 나면 전체에 영향을 미친다는 점에서 견고성이 떨어진다.
- 스타형이라고도 부른다.
3. 트리형( Tree Topology )
- 나무가 가지를 뻗어 나가듯
하나의 디바이스에서 여러 개의 디바이스를 향해 네트워크가 방사형으로 펼쳐지는 형태이다.
- 허브만 있다면 많은 네트워크를 한 번에 쉽게 연결할 수 있따는 장점이 있으나,
특정 디바이스가 고장 나면 해당 계층 이하의 디바이스는 작동되지 않는다.
4. 버스형 ( Bus Topology )
- 네트워크 상의 모든 디바이스들이
하나의 케이블에 연결되어 있다.
- 구조가 간단하고 설치 비용이 적게 들며,
디바이스의 추가와 삭제가 용이하다. ( 느슨한 결합 )
- 회선의 양 끝에 터미네이커(Terminator)가 반사를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 단, 하나의 통신 회선 안에 너무 많은 디바이스가 연결되면
통신 성능이 저하될 수 있으며,
통신 회선이 고장 나면 전체 네트워크에 영향을 미친다.
cf) 컴퓨터구조,
메인보드 내의 시스템 버스 ( 제어 버스, 데이터 버스, 주소 버스 )
5. 링형 ( Ring Topology )
- 버스 토폴로지와 유사하지만,
양 끝단이 서로 연결되어 있어 링 형태를 이룬다.
- 캠퍼스 등 특정 공간 내에서
네트워크를 구축할 때 주로 사용한다.
- 장단점은 버스형과 유사함.
6. 하이브리드형 ( Hybrid Topology )
- 두 가지 이상의 토폴로지가 혼합되어 있는 네트워크 형태,
각 토폴로지의 단점을 보완하여 필요에 맞게 구성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