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PI 응답, 꼭 다 보내야 할까? — 프론트에서 진짜 필요한 값만 주는 법

Sue·2025년 6월 18일
0
post-thumbnail

API를 만들 때, 명세서에는 다양한 응답 필드가 정의되어 있지만
실제로 프론트에서 사용하는 값은 그중 일부일 수 있습니다.
이럴 때는 프론트에서 필요한 값만 선별해서 응답(data)에 담아 보내는 걸 말해요.

API 명세서 예시:

{
  "id": 42,
  "username": "minam",
  "email": "minam@example.com",
  "phone": "010-1234-5678",
  "created_at": "2024-05-01T12:00:00Z",
  "updated_at": "2025-06-18T10:00:00Z",
  "last_login_ip": "192.168.0.1",
  "account_status": "active"
}

실제로 필요한 응답:

{
  "username": "minam",
  "email": "minam@example.com"
}
  • 보안 측면에서 예: last_login_ip, account_status 같은 정보는 불필요하게 노출될 수 있음
  • 프론트가 파싱하기 더 쉽고 빠름
  • 데이터 용량 감소 → 성능 개선
  • 변경 시 영향도 최소화 (불필요한 필드는 관리 안 해도 됨)

💡 왜 중요한가요?

  1. 불필요한 데이터 낭비 방지
    → 사용하지도 않을 값까지 보내면 네트워크 자원만 낭비돼요.

  2. 프론트 개발자가 파싱하기 쉬움
    → 필요한 값만 명확히 오면 처리 로직이 간단해져요.

  3. 유지보수 용이성
    → 불필요한 필드가 줄어들면 API가 깔끔하고 변경에 유연해져요.

  4. 협업 효율 상승
    → 서로 명확히 "이 값만 주세요"가 정리되면 커뮤니케이션 비용이 줄어요.


기초 API 관련 키워드

키워드설명
REST API자원(Resource)을 URL로 표현하고, HTTP 메서드(GET/POST/PUT/DELETE 등)로 동작을 수행하는 방식
HTTP Method- POST: 생성
- PUT 또는 PATCH: 수정
- DELETE: 삭제
Status Code응답 상태를 나타냄 (예: 200 OK, 201 Created, 400 Bad Request, 404 Not Found)
Request / Response Body요청/응답에서 데이터를 실어 보내는 JSON 형태의 본문
JSON서버와 프론트가 주고받는 데이터의 구조적 형식 (ex: { "id": 1, "address": "서울" })

프론트와 연관된 키워드

키워드설명
프론트에서 사용하는 응답값사용자 화면에서 실제로 필요한 데이터만 받아서 사용하는 것 (불필요한 값은 제거)
data 필드응답의 핵심 데이터를 담는 JSON 내부 필드
API 명세서API의 요청 방식, 경로, 필드, 응답 형식 등을 정리한 문서. 기준이 되는 설계서 역할

실무에서 자주 부딪히는 키워드

키워드설명
백엔드 ↔ 프론트 협업프론트에서 필요한 응답값만 받아볼 수 있도록 백엔드에서 선별해서 보내줘야 함
필드 필터링 (Response 필터링)응답값에서 실제로 필요한 값만 선별하여 내려주는 작업
컨펌 받기실제로 사용하는 사람이 맞는지 확인(검토) 요청 후 작업을 진행하는 것

profile
AI/ML Engineer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