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약 Github 계정이나 Git이 설치되어 있지 않다면 (1)편을 참고해서 세팅을 하고 와주세요!
0-1. Github 계정으로 로그인 이후 우측의 Your Organization을 클릭 해줍니다.
0-2. New organization 버튼을 클릭하여 조직에 맞는 요금제를 선택하여서 생성 해줍니다.
0-3. 팀/기관 계정명을 작성해주시고, 팀 대표 이메일, 그리고 팀이 개인 계정에 속하는지 등을 체크한 후 생성해서 팀 전용 공간을 생성해줍니다.
repository라고 명칭은 어렵지만 그저 "폴더" 입니다.
내가 올릴 소스 코드의 저장소라고 생각하시면 쉽습니다.
1-1. Github의 계정으로 로그인 하여 팀/조직/개인의 Repository 탭에서 create a new Repository 버튼을 클릭합니다.
1-2. 필수 사항으로는 해당 Repository의 이름을 입력해주시고, Create repository 해주세요.
저는 ProjectA로 생성을 했고 정상적으로 Repository 탭에서 생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2-0. Sourcetree를 설치 이후 설정해 주어야 합니다.
brew search sourcetree
//입력 후 sourcetree 확인 후
brew install --cask sourcetree
//명령어로 설치 가능합니다.
해당하는 값은 이미 앞 전에 git config 명령어로 등록 되었다면 추가로 작성하지 않아도 됩니다. 만약 작성이 되어 있지 않다면 해당하는 작성자와 github 계정 이메일을 기입 해주세요.
(초기 간단한 설정은 끝났습니다.)
but, github의 https, SSH 사용 시에는
(추후에 토큰 생성과 SSH Key 발급 하여 적용하는 사항 정리 하겠습니다!)
2-1. code를 누르고 HTTPS / SSH를 눌러서 git을 복사해서 연동해야합니다. 해당하는 값을 복사 해두시고
2-2 로컬을 클릭하고 새로 만들기 에서 URL에서 복제, 복사해온 git 주소를 원본 URL에 기입 을 해주시고 아래 목적지 디렉토리를 설정해준 이후 클론을 눌러주시면 복사 된걸 확인 할 수 있습니다.
아래와 같이 ProjectA라는 Repository를 복사해온걸 확인 할 수 있습니다.
해당 레포를 더블클릭하면 아래 히스토리를 관리 할 수 있게 됩니다.
이 밖의 git 사용 방법은 git의 3편 에서 다루도록 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