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표적으로 이라는 태그의 성질로 content/text 크기만큼만 점유하고
동일 라인에 붙는 성질.
'이 글씨는 두꺼운 효과를 주었다.'와 같이 text 내에 특정 부분에만 스타일을 간단히 줄때 많이 사용된다.
**- width/height 적용 불가
반면 block은 무조건 한줄을 점유하고, 다음 태그는 다음 줄로 간다.
2개의 결합이다. 제일 중요한 성질 자체는 inline과 비슷하다.
동일 라인에 여러 태그를 붙일 때 쓸 수 있다.
다만 위 inline의 단점들을 커버하는 것이 inline-block
다만 고려해야 할 것이 있다.
그렇다면 무조건 inline-block 쓰는게 낫지 않을까?
디테일한 보정이 필요하고 예민한 사람들은 inline-block 쓰는것이 낫고,
text 내의 특정 부분 스타일 등 간단한 것들은 그냥 inline 쓰면 된다.
inline 쓴다는 것은 을 그냥 쓰는 것을 뜻하고(default 값이기 때문에), inline-block은 따로 div 등에 display: inline-block 속성 코드를 타이핑하고 여타 속성에 신경을 써줘야한다는 것을 뜻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