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WS] AWS RDS 이해하기

Cherry·2022년 3월 16일
0
post-thumbnail
post-custom-banner

RDS란?

클라우드에서 관계형 데이터베이스를 간편하게 설정, 운영 및 확장할 수 있다. 하드웨어 프로비저닝, 데이터베이스 설정, 패치 및 백업과 같은 시간 소모적인 관리 작업을 자동화하고, 애플리케이션에 필요한 빠른 성능, 보안 및 호환성을 제공할 수 있도록 지원해주는 서비스이다. 쉽게 말해서 우리가 직접 데이터베이스를 설치하고 관리,업데이트 할 필요 없이 AWS에서 대신 관리해준다.

RDS 종류

Microsoft SQL, Oracle, MySQL, Postgre, Aurora, Maria DB

RDS 기능

  • 성능
    • 사용량에 따라 스토리지 용량과 IOPS 확장을 자동으로 해준다.
  • 확장성
    • 배포에 사용할 컴퓨팅 및 메모리 리소스를 범위 내에서 확장하거나 축소
    • 스토리지에 대한 요구가 증가함에 따라 추가 스토리지를 증설 가능
  • 내구성
    • 자동 백업 기능을 사용하면 데이터베이스 인스턴스를 특정 시점으로 복구 가능
  • 시간 절약
    • AWS가 대신해서 데이터베이스를 관리해주므로 시간 절약
  • 비용 절감
    • DB 서버 구축 비용이나 , DB 인력에 대한 비용 절감

등등....이외에도 너무 aws에서 주장하는 장점들이 너무 많다. 원하면 공식문서에 더 자세히 적혀있으니 궁금하면 읽어보는 것을 추천한다.

RDS DB 인스턴스 생성하기

  1. RDS로 들어와서, 데이터 생성하기를 눌러 DB 인스턴스를 생성해준다.
  2. 가용성, 보안, 백업 및 유지에 대한 세부 설정해 줄 것이기 때문에 표준 생성을 체크하고, 원하는 DB 엔진을 선택해 준다.
  3. DB 인스턴스의 이름을 정해주고, 마스터 사용자의 이름과 패스워드 설정을 해준다. 이때 사용자와 이름을 잘 기억해줘야 나중에 프로젝트 설정할 때 편하다.
  4. DB 인스턴스에 사용할 VPC와 서브넷 그룹 그리고 VPC 보안그룹과 가용영역을 설정해준다.
  5. DB 인스턴스에 상태가 실행중으로 변하면서 엔드포인트 주소가 나타난다. 이후에 Endpoint 주소를 통해 DB에 접속하면 된다.
  6. 마지막으로 보안그룹에서 인바운드 규칙 편집을 눌러 ec2와 연결해준다.
post-custom-banner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