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L] WEB2-Home server (생활코딩)

SEUNGCHAN BAEK·2021년 3월 9일
0

생활코딩

목록 보기
1/2

공유기 (Router)

집집마다 있는 공유기를 전문 용어로는 라우터라고 한다. 인터넷에 연결되는 순간 컴퓨터는 IP가 부여된다. 컴퓨터가 여러대라면 각각 인터넷을 연결하기에는 비용이 비싸기때문에 우리는 공유기를 사용한다.
WAN에 통신사 케이블을 꽂고 LAN에 집 컴퓨터의 케이블을 꼽는다.

Network Address Translation (NAT)

공유기에 연결된 컴퓨터들은 각각의 사설 아이피를 부여받는다.
예) 192.168.0.3
우리가 위키피디아라는 사이트에 접속하고 싶으면 컴퓨터는 게이트웨이 어드레스에 해당되는 IP 머신에게 신호를 보낸다. 공유기는 이 요청을 public ip address 로 위키피디아에게 요청을 하고 위키피디아는 그 요청을 처리한다. 그 요청을 공유기에게 보내고 공유기는 요청한 private ip address를 기억했다가 그 요청 컴퓨터에게 정보를 제공한다.

즉, private ip 를 사용하고 있는 컴퓨터가 사설 바깥쪽에 있는 public ip에 해당되는 외부세계에 접속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사용되는 기술이 NAT이다.

Dynamic & Static Ip address

이것은 쉽게 말해 유동 아이피와 고정 아이피를 의미하는데, 유동아이피는 부족한 ip를 좀더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해 도입된 여러 방법중의 하나이다.

우리가 isp(internet server provider)와 계약을 맺고 집에서 케이블을 꽂으면 ip 주소를 부여받게된다.
하지만 집집마다 ip 주소를 주게되면 Ip 주소가 턱없이 부족해지게 된다. 그래서 사용되는 방법이 Dynamic ip address 이다. 만약 아이피를 부여받은 집에서 오랫동안 인터넷을 사용하지 않으면 그 아이피를 회수해서 다른 가입자에게 부여하고 만약 회수되어진 집에서 인터넷을 다시 사용하게 되면 새로운 아이피를
그 집에 다시 부여한다. 이렇게 아이피가 자주 바뀌는 것을 Dynamic ip address라고 한다.

그에 반해, Static IP address는 통신사에게 추가 비용을 지불하고 IP를 독점적으로 사용하는 방법이다.

DHCP

DHCP는 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의 약자이다. DHCP란 호스트의 IP주소와 각종 TCP/IP 프로토콜의 기본 설정을 클라이언트에게 자동적으로 제공해주는 프로토콜을 말한다.
네트워크 안에 컴퓨터에 자동으로 네임 서버 주소, IP주소, 게이트웨이 주소를 할당해주는 것을 의미하고, 해당 클라이언트에게 일정 기간 임대를 하는 동적 주소 할당 프로토콜이다.
PC의 수가 많거나 PC 자체 변동사항이 많은 경우 IP 설정이 자동으로 되기 때문에 효율적으로 사용 가능하고, IP를 자동으로 할당해주기 때문에 IP 충돌을 막을 수 있다.
하지만, DHCP 서버에 의존하기 때문에 서버가 다운되면 ip 할당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다.

수강한 강의: https://www.youtube.com/watch?v=sQBXgccvE98&list=PLuHgQVnccGMA52uRBmSwqcvtI5IMoFclJ&index=2

profile
백엔드 개발자가 되는 그날까지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