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경 지식
포트폴리오 이론?
계란을 한바구니에 담지마라
포트폴리오 이론을 설명하는 가장 유명한 문구이다.
투자에 있어서 한 종목을 선택하는 것이 아니라 적절하게 여러 종목을 섞어서 분산효과를 통해 리스크를 줄이고 수익률은 유지하는 투자방법
리밸런싱
포트폴리오 이론에서 시간이 지남에 따라 구성한 자산이 달라진다. 해당 달라진 비율을 다시 조정하는 일을 리밸런싱이라고 한다.
백테스트?
과거 데이터를 기반으로 포트폴리오를 적용했을 때의 수익률 및 성과를 계산하여 포트폴리오의 유용성을 평가하는 방법
필요성
- 포트폴리오 이론의 경우 많이 알려져 있지만, 테스트를 제공하는 곳이 적다.
- 사용자가 직접 종목을 선택하여 포트폴리오를 제공하는 서비스가 없다.
- 사용자가 구성한 포트폴리오의 저장을 제공하는 서비스가 없다.
요구사항
- 데이터는 국내 코스피, 코스닥, ETF 까지만을 사용하고 추후 추가한다.
- 기간은 우선 공공데이터 포탈에서 제공하는 데이터를 기준(20년 이후)으로 제공하고 추후 추가한다.
- 사용자는 종목, 비율, 리밸런싱 주기를 입력하면 해당 포트폴리오의 수익률을 출력한다.
- 사용자가 만든 포트폴리오는 저장하여 다시 확인 할 수 있다.
- 리밸런싱 주기는 우선 1년을 기준으로 개발 후 추후 반기, 분기, 월간으로 확장한다.
개발환경 및 사용 기술
개발환경
- Windows 11, wsl2
- IntelliJ IDEA
- Vscode
사용 기술
- Spring Boot
- API(공공데이터 포탈, 한국투자API)
- Python3(DB 제작 및 한국투자 API사용을 위해 필요시 사용)
- Mysql(변경 가능성 있음)
- React(추후 필요시 사용예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