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프링 부트와 AWS로 혼자 구현하는 웹 서비스 를 공부하고 정리한 내용입니다.
✏ 프로그래밍에서 개선이 필요한 나쁜 코드
대표적으로 같은 코드가 반복되는 부분이다.
같은 코드를 게속해서 복사&붙여넣기로 반복하게 만든다면 이후에 수정이 필요할 때 모든 부분을 하나씩 찾아가며 수정해야만 한다.➡ 이럴 경우 유지보수성이 떨어질 수 밖에 없다.
✏ 바로 앞에서 만든 코드에서 개선할만한 것들
IndexController
에서 세션 값을 가져오는 부분이다.
SessionUser user = (SessionUser) httpSession.getAttribute("user");
- index 메소드 외에 다른 컨트롤러와 메소드에서 세션값이 필요하면 그 때마다 직접 세션에서 값을 가져와야 한다.
- 같은 코드가 계속해서 반복되는 것은 불필요하다!
@LoginUser
어노테이션을 생성
LoginUser
package springbootawsbook.springawsbook.config.auth;
import java.lang.annotation.ElementType;
import java.lang.annotation.Retention;
import java.lang.annotation.RetentionPolicy;
import java.lang.annotation.Target;
@Target(ElementType.PARAMETER)
@Retention(RetentionPolicy.RUNTIME)
public @interface LoginUser {
}
@Target(ElementType.PARAMETER)
@interface
LoginUser
라는 이름을 가진 어노테이션이 생성되었다고 보면 된다.
LoginUserArgumentResolver
HandlerMethodArgumentResolver
인터페이스를 구현한 클래스
📝 HandlerMethodArgumentResolver
- 조건에 맞는 경우 메소드가 있다면,
HandlerMethodArgumentResolver
의 구현체가 지정한 값으로 해당 메소드의 파라미터로 넘길 수 있다.
package springbootawsbook.springawsbook.config.auth;
import lombok.RequiredArgsConstructor;
import org.springframework.core.MethodParameter;
import org.springframework.stereotype.Component;
import org.springframework.web.bind.support.WebDataBinderFactory;
import org.springframework.web.context.request.NativeWebRequest;
import org.springframework.web.method.support.HandlerMethodArgumentResolver;
import org.springframework.web.method.support.ModelAndViewContainer;
import springbootawsbook.springawsbook.config.auth.dto.SessionUser;
import javax.servlet.http.HttpSession;
@RequiredArgsConstructor
@Component
public class LoginUserArgumentResolver implements HandlerMethodArgumentResolver {
private final HttpSession httpSession;
@Override
public boolean supportsParameter(MethodParameter parameter) {
boolean isLoginUserAnnotation = parameter.getParameterAnnotation(LoginUser.class) != null;
boolean isUserClass = SessionUser.class.equals(parameter.getParameterType());
return isLoginUserAnnotation && isUserClass;
}
@Override
public Object resolveArgument(MethodParameter parameter, ModelAndViewContainer mavContainer, NativeWebRequest webRequest, WebDataBinderFactory binderFactory) throws Exception {
return httpSession.getAttribute("user");
}
}
supportsParameter()
@LoginUser
어노테이션이 붙어 있고, 파라미터 클래스 타입이 SessionUser.class
인 경우 true를 반환한다.resolveArgument()
@LoginUser
를 사용하기 위한 환경은 구성되었다.
이제, 생성된
LoginUserArgumentResolver
가 스프링에서 인식될 수 있도록WebMvcConfigurer
에 추가해보자!
WebConfig
package springbootawsbook.springawsbook.config;
import lombok.RequiredArgsConstructor;
import org.springframework.context.annotation.Configuration;
import org.springframework.web.method.support.HandlerMethodArgumentResolver;
import org.springframework.web.servlet.config.annotation.WebMvcConfigurer;
import springbootawsbook.springawsbook.config.auth.LoginUserArgumentResolver;
import java.util.List;
@RequiredArgsConstructor
@Configuration
public class WebConfig implements WebMvcConfigurer {
private final LoginUserArgumentResolver loginUserArgumentResolver;
@Override
public void addArgumentResolvers(List<HandlerMethodArgumentResolver> argumentResolvers){
argumentResolvers.add(loginUserArgumentResolver);
}
}
HandlerMethodArgumentResolver
는 항상 WebMvcConfigurer
의 addArgumentResolvers()
를 통해 추가해야 한다.
IndexController
모든 설정이 끝났으니,
IndexController
의 코드에서 반복되는 부분들을 모두@LoginUser
로 개선하겠다.
@RequiredArgsConstructor
@Controller
public class IndexController {
private final PostsService postsService;
@GetMapping("/")
public String index(Model model, @LoginUser SessionUser user) {
model.addAttribute("post", postsService.findAllDesc());
if (user != null) {
model.addAttribute("userName", user.getName());
}
return "index";
}
~
@LoginUser SessionUser user
@LoginUser
만 사용하면 세션 정보를 가져올 수 있게 되었다.
실행 결과
(1) 애플리케이션을 재실행하면 로그인이 풀리는 문제
세션이 내장 톰캣의 메모리에 저장되기 때문에 발생하는 것으로, 기본적으로 세션은 실행되는 WAS(Web Application Server)의 메모리에서 저장되고 호출된다.
현재는 메모리에 저장되다 보니, 내장 톰캣처럼 애플리케이션 실행 시 실행되는 구조에선 항상 초기화가 된다. (배포할 때마다 톰캣이 재시작 된다.)
(2) 2대 이상의 서버에서 서비스하고 있다면 톰캣마다 세션 동기화 설정을 해야한다.
실제 현업에서는 다음의 3가지 중 하나를 선택한다.
여기서는 두 번째 방식인 데이터베이스를 세션 저장소로 사용하는 방식을 선택하여 진행할 것이다.
이유는 설정이 간단하고 사용자가 많은 서비스가 아니며 비용 절감을 위해서이다.
💡 참고
- 사용자는 없는 현재 단계에서는 데이터베이스로 모든 기능을 처리하는 게 부담이 적다.
- 만약, 운영 중인 서비스가 커진다면 레디스와 같은 서비스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서비스(엘라스틱 캐시)에 별도로 사용료를 지불해야한다.
✔ spring-session-jdbc 등록
build.gradle에 의존성을 등록한다.
implementation 'org.springframework.session:spring-session-jdbc'
application.yml
세션 저장소를 jdbc로 선택하도록 코드를 추가한다.
spring
session
store-type: jdbc
그런데? 500번 서버 오류가 발생한다.
org.springframework.jdbc.BadSqlGrammarException: PreparedStatementCallback; bad SQL grammar [DELETE FROM SPRING_SESSION WHERE EXPIRY_TIME < ?]; nested exception is org.h2.jdbc.JdbcSQLSyntaxErrorException: Table "SPRING_SESSION" not found; SQL statement:
DELETE FROM SPRING_SESSION WHERE EXPIRY_TIME < ? [42102-200]
사이트 참고 자료를 참고하니, jdbc.initialize-schema: always
를 추가하라고 한다.
spring:
session:
store-type: jdbc
jdbc.initialize-schema: always
실행 결과
로그인 성공
✔ h2-console에서
h2-console
를 보면 세션을 위한 테이블 2개(SPRING_SESSION, SPRING_SESSION_ATTRIBUTES)가 생성된 것을 볼 수 있다.
세션 저장소를 데이터베이스로 교체하였다.
하지만, 기존과 동일하게 스프링을 재시작하면 세션이 풀린다.
이유는 H2 기반으로 스프링이 재실행될 때 H2도 재시작되기 때문이다.
💡 참고
AWS로 배포하게 되면 AWS의 데이터베이스 서비스인 RDS를 사용하게 되니 이때부터는 세션이 풀리지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