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3, DFS/BFS

LeeKyoungChang·2021년 12월 1일
0

Algorithm

목록 보기
8/203
post-thumbnail
post-custom-banner

DFS, BFS

탐색 : 많은 양의 데이터 중에서 원하는 데이터를 찾는 과정을 한다.

자료구조 : 데이터를 표현하고 처리하는 방법

스택 : 선입후출 구조 또는 후입선출 구조

: 선입선출 구조

dfs : 깊이 우선 탐색, 그래프를 탐색하는 알고리즘, 최대한 멀리 있는 노드를 우선으로 탐색하는 방식으로 동작하며 스택 자료구조를 이용한다.

bfs : 너비 우선 탐색, 가까운 노드부터 탐색하는 알고리즘, 선입선출 방식의 큐를 이용하면 효과적으로 구현할 수 있다. 인접한 노드를 반복적으로 큐에 넣도록 알고리즘을 작성하면, 자연스럽게 먼저 들어온 것이 먼저 나가게 되어, 가까운 노드부터 탐색한다.

 

[Q 15]

모든 도로의 거리는 1이다. (간선의 비용 : 1)

그래프에서 모든 간선의 비용이 동일할 때는 너비 우선 탐색(BFS)을 이용하여 최단 거리를 찾을 수 있다.

모든 도로의 거리는 '1'이라는 조건 덕분에 너비 우선 탐색을 이용하여 간단히 해결할 수 있다.

너비 우선 탐색을 이용하여 시간 복잡도 O(N + M)으로 동작하는 소스코드를 작성하여 시간 초과 없이 해결할 수 있다.

특정한 도시 X를 시작점으로 BFS를 수행하여 모든 도시까지의 최단 거리를 계산한 뒤에, 각 최단 거리를 하나씩 확인하여 그 값이 K인 경우에 해당 도시의 번호를 출력하면 된다.

소스

from collections import deque

# 도시의 개수, 도로의 개수, 거리 정보, 출발 도시 번호
n, m, k, x = map(int, input().split())
graph = [[] for _ in range(n+1)]

# 모든 도로 정보 입력받기
for _ in range(m):
    a, b = map(int, input().split())
    graph[a].append(b)

# 모든 도시에 대한 최단 거리 -1로 초기화
distance = [-1] * (n + 1)

distance[x] = 0 # 출발 도시까지의 거리는 0으로 설정

# 너비 우선 탐색(BFS) 수행
q = deque([x])
while q:
    now = q.popleft()

    # 현재 도시에서 이동할 수 있는 모든 도시를 확인
    for next_node in graph[now]:
        # 아직 방문하지 않은 도시라면
        if distance[next_node] == -1:
            distance[next_node] = distance[now] + 1
            q.append(next_node)



# 최단 거리가 k인 모든 도시의 번호를 오름차순으로 출력
for i in range(1, n + 1):
    if distance[i] == k:
        print(i)
        check = True

# 만약 최단 거리가 K인 도시가 없다면, -1 출력
if check == False:
    print(-1)

 

[Q 16] 연구소

벽을 3개 설치하는 모든 경우의 수를 다 계산해야 한다.

전체 맵의 크기가 8 X 8 = 64 이므로, 벽을 설치할 수 있는 모든 조합의 수는 최악의 경우(바이러스가 하나도 존재하지 않는 경우) 64C3이 될 것이다.

이는 100,000보다도 작은 수이므로, 모든 경우의 수를 고려해도 제한 시간 안에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모든 조합을 계산할 때는 파이썬의 조합 라이브러리를 이용하거나, DFS 혹은 BFS를 이용하여 해결할 수 있다.

벽의 개수가 3개가 되는 모든 조합을 찾은 뒤에 그러한 조합에 대해서 안전 영역의 크기를 계산하면 된다.

안전 영역의 크기를 구하는 것 또한 DFS 혹은 BFS를 이용하여 계산할 수 있다.

 

초기에 비어 있는 모든 공간 중에서 3개를 골라 벽을 설치한다.

매번 벽을 설치할 때마다, 각 바이러스가 사방으로 퍼지는 것을 DFS/BFS로 계산하여 안전 영역을 구해야 한다.

(각 바이러스 위치에서 DFS나 BFS를 수행하여 연결된 모든 부분을 감염시키도록 처리할 수 있다.)

 

소스

n, m = map(int, input().split())
data = [] # 초기 list
temp = [[0] * m for _ in range(n)] # 벽을 설치한 뒤의 맵 리스트

for _ in range(n):
    data.append(list(map(int, input().split())))


dx = [-1, 0, 1, 0]
dy = [0, 1, 0, -1]

result = 0

# 깊이 우선 탐색(dfs)을 이용해 각 바이러스가 사방으로 퍼지도록 하기
def virus(x, y):
    for idx  in range(4):
        next_x = x + dx[idx]
        next_y = y + dy[idx]
        
        # 상, 하, 좌, 우 중에서 바이러스가 퍼질 수 있는 경우
        if next_x < 0 or next_x >= n or next_y < 0 or next_y >= m:
            continue
        if temp[next_x][next_y] == 0:
            # 해당 위치에 바이러스 배치하고, 다시 재귀적으로 수행
            temp[next_x][next_y] = 2
            virus(next_x, next_y)

# 현재 맵에서 안전 영역의 크기 계산하는 메서드
def get_zero_cnt():
    zero_cnt = 0
    for i in range(n):
        for j in range(m):
            if temp[i][j] == 0:
                zero_cnt += 1

    return zero_cnt

# 깊이 우선 탐색(dfs)을 이용해 울타리를 설치하면서, 매번 안전 영역의 크기 계산
def dfs(count):
    global result

    # 울타리가 3개 설치된 경우
    if count == 3:
        for i in range(n):
            for j in range(m):
                temp[i][j] = data[i][j]
		# 각 바이러스의 위치에서 전파 진행
        for i in range(n):
            for j in range(m):
                if temp[i][j] == 2:
                    # 바이러스 위치라면 전파하기
                    virus(i,j)
        # 0의 개수 찾기
        result = max(result, get_zero_cnt())
        return result
    else:
        # 빈 공간에 울타리 설치
        for i in range(n):
            for j in range(m):
                if data[i][j] == 0:
                    data[i][j] = 1
                    count += 1
                    dfs(count)
                    data[i][j] = 0
                    count -= 1



dfs(0)
print(result)

이번 문제를 풀며 알게 된 것

백준에서 채점을 할 때

복잡한 코드(반복)을 사용하는 경우 : PyPy3가 우세하기 때문에 PyPy3을 사용한다.

간단한 코드을 사용하는 경우 : Python3가 메모리, 속도 측에서 우세하기 때문에 Python3을 사용한다.

 

[Q 17] 경쟁적 전염

너비 우선 탐색을 이용하여 해결할 수 있다.

문제에 나와 있는대로 각 바이러스가 낮은 번호부터 중식한다.

초기, 큐에 원소를 삽입할 때는 낮은 바이러스의 번호부터 삽입해야 한다.

이후에, 너비 우선 탐색을 수행하며 방문하지 않은 위치를 차례대로 방문하도록 한다.

 

소스

from collections import deque

n, k = map(int, input().split())

graph = [] # 전체 보드 정보를 담는 리스트
data = [] # 바이러스에 대한 정보를 담는 리스트

for i in range(n):
    # 보드 정보를 한 줄 단위로 입력
    graph.append(list(map(int, input().split())))

    for j in range(n):
        # 해당 위치에 바이러스가 존재하는 경우
        if graph[i][j] != 0:
            # (바이러스 종류, 시간, 위치 X, 위치 Y) 삽입
            data.append((graph[i][j], 0, i, j))

# 정렬 이후에 큐로 옮기기(낮은 번호의 바이러스가 먼저 증식하므로)
data.sort()
q = deque(data)

s, x, y = map(int, input().split())

dx = [-1, 0, 1, 0]
dy = [0, 1, 0, -1]

# 너비 우선 탐색(BFS) 진행
while q:
    virus, cur_s, cur_x, cur_y = q.popleft()
    # 정확히 s초가 지나거나, 큐가 빌 때까지 반복
    if s == cur_s:
        break
    # 현재 노드에서 주변 4가지 위치를 각각 확인
    for i in range(4):
        nx = cur_x + dx[i]
        ny = cur_y + dy[i]

        # 해당 위치로 이동할 수 없는 경우
        if nx < 0 or nx >= n or ny < 0 or ny >= n:
            continue

        if graph[nx][ny] == 0:
            graph[nx][ny] = virus
            q.append((virus, cur_s + 1, nx, ny))


print(graph[x-1][y-1])

 

[Q 18] 괄호 변환

DFS 알고리즘의 핵심이 되는 재귀 함수 구현을 요구한다는 점에서 DFS 연습 목적의 문제

이 문제를 실수 없이 풀려면 소스코드를 최대한 단순화하는 것이 좋다.

특정 문자열에서 "균형잡힌 괄호 문자열"의 인덱스를 반화하는 함수와 특정한 "균형잡힌 괄호 문자열"이 "올바른 괄호 문자열"인지 판단하는 메서드를 별도로 구현한다.

 

소스


# "균형잡힌 괄호 문자열"의 인덱스 반환
def balanced(p):
    count = 0 # 왼쪽 괄호의 개수
    for i in range(len(p)):
        if p[i] == '(':
            count += 1
        else:
            count -= 1

        if count == 0:
            return i

# "올바른 괄호 문자열"인지 판단
def corrected(u):
    count = 0 # 왼쪽 괄호의 개수
    for idx in range(len(u)):
        if u[idx] == '(':
            count += 1
        else:
            if count == 0: # 쌍이 맞지 않는 경우에 False 반환
                return False
            count -= 1

    return True # 쌍이 맞는 경우에 True 반환


def solution(p):
    answer = ''
    if p == '':
        return answer

    p_cur_index = balanced(p)
    u = p[:p_cur_index + 1]
    v = p[p_cur_index + 1:]

    # "올바른 괄호 문자열"이면, v에 대해 함수를 수행한 결과를 붙여 반환
    if (corrected(u)):
        answer = u + solution(v)
    # "올바른 괄호 문자열"이 아니라면 아래의 과정을 수행
    else:
        # 만약 ( 없이 )이 먼저 시작된다면
        answer = '('
        answer += solution(v)
        answer += ')'
        u = list(u[1:-1])  # 첫 번째와 마지막 문자를 제거
        for i in range(len(u)):
            if u[i] == ')':
                u[i] = '('
            else:
                u[i] = ')'

        answer += "".join(u)

    return answer

a = "()))((()"
b = ")("
print(solution(a))

 

[Q 19] 연산자 끼워 넣기

최대 11개의 수가 주어졌을 때, 각 수와 수 사이에 사칙연산 중 하나를 삽입하는 모든 경우에 대하여 만들어질 수 있는 결과의 최댓값 및 최솟값을 구하면 된다.

모든 경우의 수를 계산하기 위하여(완전 탐색) DFS 혹은 BFS를 이용하여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중복 순열(product) 라이브러리

from itertools import product

n = 4
print(list(product(['+', '-', '*', '/'], repeat=(n-1))))

 

소스

# from itertools import product
# n = "1+2+3+4"
#
# n = 4
#
# print(list(product(['+','-','*','/'],repeat=(n-1))))

n = int(input())
# 연산을 수행하고자 하는 수 리스트
data = list(map(int, input().split()))
# 더하기, 빼기, 곱하기, 나누기 연산자 개수
add, sub, mul, div = map(int, input().split())

# 최솟값과 최댓값 초기화
min_value = 1e9
max_value = -1e9

# 깊이 우선 탐색(DFS) 메서드
def dfs(i, now):
    global min_value, max_value, add, sub, mul, div

    if(i == n):
        min_value = min(min_value, now)
        max_value = max(max_value, now)
    else:
        # 각 연산자에 대하여 재귀적으로 수행
        if add > 0:
            add -= 1
            dfs(i+1, now + data[i])
            add += 1
        if sub > 0:
            sub -= 1
            dfs(i+1, now - data[i])
            sub += 1
        if mul > 0:
            mul -= 1
            dfs(i+1, now * data[i])
            mul += 1
        if div > 0:
            div -= 1
            dfs(i+1, int(now / data[i]))
            div += 1


# DFS 메서드 호출
dfs(1, data[0])

# 최댓값과 최솟값 차례대로 출력
print(max_value)
print(min_value)

 

[Q 20] 감시 피하기

https://www.acmicpc.net/problem/18428

빅오 표기법 : O(N)이라면, 10억까지 가능하다. O(N^2)이라면 10억에 N으로 나눈 것까지 가능하다.

 

장애물을 정확히 3개 설치하는 모든 경우를 확인하며, 매 경우마다 모든 학생을 감시로부터 피하도록 할 수 있는지의 여부를 출력해야 한다.

장애물을 정확히 3개 설치하는 모든 경우의 수

  • 복도의 크기 N X N이며 N은 최대 6이다.
  • 장애물을 정확히 3채 설치하는 모든 조합의 수는 최악의 경우 36C3이다.

 

3개의 장애물이 설치된 모든 조합마다, 선생님들의 위치 좌표를 하나씩 확인하고 각각 선생님의 위치에서 상, 하, 좌, 우를 확인하며 학생이 한 명이라도 감지되는지를 확인해야한다.

선생님의 위치(T)에서 상, 하, 좌, 우의 위치를 확인하며 학생(S)이 존재하는지 확인하면 된다.

 

소스

from itertools import combinations

n = int(input()) # 복도의 크기

graph = [] # 복도 정보
teachers = [] # 모든 선생님 위치 정보
space = [] # 모든 빈 공간 위치 정보

for i in range(n):
    graph.append(list(input().split()))

    for j in range(n):
        if graph[i][j] == 'T':
            teachers.append((i, j))
        elif graph[i][j] == 'X':
            space.append((i, j))

# 특정 방향으로 감시를 진행(학생 발견: True, 학생 미발견: False)
def watch(x, y, directions):
    # 왼쪽 방향으로 감시
    if directions == 0:
        while y >= 0:
            if graph[x][y] == 'S': # 학생이 있는 경우
                return True
            if graph[x][y] == '0': # 장애물이 있는 경우
                return False
            y -= 1
    # 오른쪽 방향으로 감시
    if directions == 1:
        while y < n:
            if graph[x][y] == 'S': # 학생이 있는 경우
                return True
            if graph[x][y] == '0': # 장애물이 있는 경우
                return False

            y += 1
    # 위쪽 방향으로 감시
    if directions == 2:
        while x >= 0:
            if graph[x][y] == 'S': # 학생이 있는 경우
                return True
            if graph[x][y] == '0': # 장애물이 있는 경우
                return False
            x -= 1
    # 아래쪽 방향으로 감시
    if directions == 3:
        while x < n:
            if graph[x][y] == 'S':  # 학생이 있는 경우
                return True
            if graph[x][y] == '0':  # 장애물이 있는 경우
                return False
            x += 1
    return False


# 장애물 설치 이후에, 한 명이라도 학생이 감지되는지 검사
def process():
    # 모든 선생님의 위치를 하나씩 확인
    for x, y in teachers:
        # 4가지 방향으로 학생을 감지할 수 있는지 확인
        for i in range(4):
            if watch(x, y, i):
                return True
    return False

find = False # 학생이 한 명도 감지되지 않도록 설치할 수 있는지의 여부

# 빈 공간에서 3개를 뽑는 모든 조합을 확인
for data in combinations(space,3):
    # 장애물 설치 해보기
    for x, y in data:
        graph[x][y] = '0'
    # 학생이 한 명도 감지되지 않는 경우
    if not process():
        # 원하는 경우를 발견한 것임
        find = True
        break
    # 설치된 장애물을 다시 없애기
    for x, y in data:
        graph[x][y] = 'X'

if find:
    print('YES')
else:
    print('NO')

 

[Q 21] 인구 이동

https://www.acmicpc.net/problem/16234

전형적인 DFS/BFS 유형의 문제

모든 나라의 위치에서 상, 하, 좌, 우로 국경션을 열 수 있는지를 확인해야 한다.

모든 나라의 위치에서 DFS/BFS를 수행하여 인접한 나라의 인구수를 확인한 뒤에, 가능하다면 국경선을 열고 인구 이동 처리를 진행하면 된다.

ex)

5030
3040

각 나라의 위치에서 BFS를 수행하여, 연결되어 있는 모든 나라들(연합)을 찾는다.

현재 L = 20, R = 50이기 때문에, BFS를 수행해서 모든 연합을 찾으면

5030
3040

이후에 같은 연합끼리 인구를 동일하게 분배하면 다음 그림과 같이 처리된다.

3636
3640

소스

from collections import deque

# 땅의 크기(N), L, R값을 입력받기
n, l, r = map(int, input().split())

# 전체 나라의 정보(N x N)를 입력받기
graph = []
for _ in range(n):
    graph.append(list(map(int, input().split())))

dx = [-1, 0, 1, 0]
dy = [0, -1, 0, 1]

result = 0

# 특정 위치에서 출발하여 모든 연합을 체크한 뒤에 데이터 갱신
def process(x, y, index):
    # (x, y)의 위치와 연결된 나라(연합) 정보를 담는 리스트
    united = []
    united.append((x, y))
    # 너비 우선 탐색(BFS)을 위한 큐 자료구조 정의
    q = deque()
    q.append((x, y))
    union[x][y] = index # 현재 연합의 번호 할당
    summary = graph[x][y]  # 현재 연합의 전체 인구 수
    count = 1 # 현재 연합의 국가 수
    # 큐가 빌 때까지 반복(BFS)
    while q:
        x, y = q.popleft()
        # 현재 위치에서 4가지 방향을 확인하여
        for i in range(4):
            nx = x + dx[i]
            ny = y + dy[i]
            # 바로 옆에 있는 나라를 확인하여
            if 0 <= nx < n and 0 <= ny < n and union[nx][ny] == -1:
                # 옆에 있는 나라와 인구 차이가 L명 이상, R명 이하라면
                if l <= abs(graph[nx][ny] - graph[x][y]) <= r:
                    q.append((nx, ny))
                    # 연합에 추가
                    union[nx][ny] = index
                    summary += graph[nx][ny]
                    count += 1
                    united.append((nx, ny))
    # 연합 국가끼리 인구를 분해
    for i, j in united:
        graph[i][j] = summary // count
    return count

total_count = 0

# 더 이상 인구 이동을 할 수 없을 때까지 반복
while True:
    union = [[-1] * n for _ in range(n)]
    index = 0
    for i in range(n):
        for j in range(n):
            if union[i][j] == -1: # 해당 나라가 아직 처리되지 않았다면
                process(i, j, index)
                index += 1
    # 모든 인구 이동이 끝난 경우
    if index == n * n:
        break
    total_count += 1

# 인구 이동 횟수 출력
print(total_count)

 

[Q 22] 블록 이동하기

https://programmers.co.kr/learn/courses/30/lessons/60063

전형적인 BFS 문제 유형

(1,1) 위치에 존재하는 로봇을 (N, N)의 위치로 옮기는 최단 거리를 계산하는 문제

일반적인 BFS 문제와 다른 점

로봇이 차지하고 있는 위치가 두 칸이며 회전을 통해 이동할 수 있다.

위치 정보를 튜플로 처리, 로봇의 상태를 집합 자료형(Set)으로 관리한다.

한 번 방문한 자전거의 상태는 두 번 방문하지 않는다.

이동 가능한 위치

(1) 이동

로봇이 단순히 '이동'하는 경우는 단순히 상, 하, 좌, 우로 이동하는 모든 경우를 계산하면 된다.

1

(2) 회전

(2-1) 로봇이 가로로 놓인 상태에서 아래쪽으로 회전하는 경우

  • 로봇이 가로로 놓인 상태에서 아래쪽으로 회전하고자 한다면, 아래쪽에 벽이 없어야 한다.
  • 아래쪽의 두 칸 중에서 하나라도 벽이 존재하는 경우 (값이 1인 경우)를 제외하고, 회전을 수행할 수 있다.
    2

(2-2) 로봇이 가로로 놓인 상태에서 위쪽으로 회전하는 경우

  • 현재 로봇이 가로로 놓인 상태에서 위쪽으로 회전하고자 한다면, 위쪽에 벽이 없어야 한다.
  • 왼쪽의 두 칸 중에서 하나라도 벽이 존재하는 경우 (값이 1인 경우)를 제외하고, 회전을 수행할 수 있다.
    3

(2-3) 로봇이 세로로 놓인 상태에서 오른쪽으로 회전하는 경우

  • 세로로 놓인 상태에서 오른쪽으로 회전하고자 한다면, 오른쪽에 벽이 없어야 한다.
  • 오른쪽의 두 칸 중에서 하나라도 벽이 존재하는 경우 (값이 1인 경우)를 제외하고, 회전을 수행할 수 있다.
    4

(2-4) 로봇이 세로로 놓인 상태에서 왼쪽으로 회전하는 경우

  • 현재 로봇이 세로로 놓인 상태에서 왼쪽으로 회전하고자 한다면, 왼쪽에 벽이 없어야 한다.
  • 왼쪽의 두 칸 중에서 하나라도 벽이 존재하는 경우 (값이 1인 경우)를 제외하고, 회전을 수행할 수 있다.
    5

소스코드를 간단하게 작성하기 위하여, 초기에 주어진 맵을 변형하여 외곽에 벽을 둘 수 있다.

시행시, 로봇이 맵을 벗어나지 않는지, 그 범위 판정을 더 간단히 할 수 있다.
6

 

소스

from collections import deque


def get_next_pos(pos, board):
    next_pos = []  # 반환 결과(이동 가능한 위치들)
    pos = list(pos)  # 현재 위치 정보를 리스트로 변환(집합 -> 리스트)

    pos1_x, pos1_y, pos2_x, pos2_y = pos[0][0], pos[0][1], pos[1][0], pos[1][1]

    # (상, 하, 좌, 우)로 이동하는 경우에 대해서 처리
    dx = [-1, 1, 0, 0]
    dy = [0, 0, -1, 1]
    print("start", pos1_x, pos1_y, pos2_x, pos2_y)
    for i in range(4):
        pos1_next_x, pos1_next_y, pos2_next_x, pos2_next_y = pos1_x + dx[i], pos1_y + dy[i], pos2_x + dx[i], pos2_y + \
                                                             dy[i]
        print(pos1_next_x, pos1_next_y, pos2_next_x, pos2_next_y)
        # 이동하고자 하는 두 칸이 모두 비어 있다면
        if board[pos1_next_x][pos1_next_y] == 0 and board[pos2_next_x][pos2_next_y] == 0:
            next_pos.append({(pos1_next_x, pos1_next_y), (pos2_next_x, pos2_next_y)})

    print(next_pos)
    # 현재 로봇이 가로로 놓여 있는 경우
    if pos1_x == pos2_x:
        for i in [-1, 1]:  # 위쪽으로 회전하거나, 아래쪽으로 회전
            if board[pos1_x + i][pos1_y] == 0 and board[pos2_x + i][pos2_y] == 0:  # 위쪽 혹은 아래쪽 두 칸이 모두 비어 있다면
                next_pos.append({(pos1_x, pos1_y), (pos1_x + i, pos1_y)})
                next_pos.append({(pos2_x, pos2_y), (pos2_x + i, pos2_y)})
    # 현재 로봇이 세로로 놓여 있는 경우
    elif pos1_y == pos2_y:
        for i in [-1, 1]:  # 왼쪽으로 회전하거나, 오른쪽으로 회전
            if board[pos1_x][pos1_y + i] == 0 and board[pos2_x][pos2_y + i] == 0:  # 왼쪽 혹은 오른쪽 두 칸이 모두 비어 있다면
                next_pos.append({(pos1_x, pos1_y), (pos1_x, pos1_y + i)})
                next_pos.append({(pos2_x, pos2_y), (pos2_x, pos2_y + i)})

    # 현재 위치에서 이동할 수 있는 위치를 반환
    return next_pos


def solution(board):
    # 맵의 외곽에 벽을 두는 형태로 맵 변형
    n = len(board)
    new_board = [[1] * (n + 2) for _ in range(n + 2)]
    for i in range(n):
        for j in range(n):
            new_board[i + 1][j + 1] = board[i][j]
    # 너비 우선 탐색(BFS) 수행
    q = deque()
    visited = []
    pos = {(1, 1), (1, 2)}  # 시작 위치 설정
    q.append((pos, 0))  # 큐에 삽입한 뒤에
    visited.append(pos)  # 방문 처리
    # 큐가 빌 때까지 반복
    while q:
        pos, cost = q.popleft()
        # (n, n) 위치에 로봇이 도달했다면, 최단 거리이므로 반환
        if (n, n) in pos:
            return cost
        # 현재 위치에서 이동할 수 있는 위치 확인

        for next_pos in get_next_pos(pos, new_board):
            # 아직 방문하지 않은 위치라면 큐에 삽입하고 방문 처리
            if next_pos not in visited:
                q.append((next_pos, cost + 1))
                visited.append(next_pos)
    return 0


data = [[0, 0, 0, 1, 1], [0, 0, 0, 1, 0], [0, 1, 0, 1, 1], [1, 1, 0, 0, 1], [0, 0, 0, 0, 0]]

print(solution(data))

 

 


참고 자료

  • '이것이 취업을 위한 코딩테스트다.' 한빛미디어
profile
"야, (오류 만났어?) 너두 (해결) 할 수 있어"
post-custom-banner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