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생활코딩 - Linux 을 듣고 정리한 내용입니다.
🔔 SHELL VS KERNEL
- SHELL : 껍데기, 주변
- KERNEL : 알맹이, 핵심, 코어

✔️ SHELL
ls -al : SHELL에 명령을 입력하는 것이다.
✔️ Kernel
zsh : zsh 실행
echo $0 : zsh 출력
✔️ zsh에서 사용방법
zsh에서는 cd /u/l/d → (tab 키를 누를시) cd /user/leekyoungchang/desktop으로 변경된다.
현재 경로가 /user/dir1 일 때, /user/dir2 로 이동하려면 : cd dir1 dir2 입력한다.
순차적으로 실행해야하는 명령어 순서를 어딘가에 적어놓고 나중에 재사용할 때 (긴 명령어, 복잡한 명령어를 한 곳에 저장해둔다.)
touch : 파일 생성*.log : 확장자가 모두 .log인 파일들 가리킨다.
cp *.log bak : 있는지 없는지 체크, 없다면 만들고 있다면 만들지 않는다.
ls /bin : 기본 프로그램들이 위치한 디렉터리
#!/bin/bash : 밑에 작성된 코드들이 /bin/bash을 통해 해석된다.-d : 디렉터리가 존재하는지 확인if ! [ -d bak ]; then : 현재 디렉터리에 bak라는 디렉터리가 존재하지 않는다면fi : if문 종료cp *.log bak : .log인 파일들을 bak로 복사한다.
chmod + x : 해당 파일에 실행 권한을 준다.
nano에서 입력한 명령어들을 실행할 수 있다.
bak이라는 디렉터리 생성bak 디렉터리 안에는 a.log, b.log, c.log가 있다.
bak디렉터리에서 c.log를 삭제후 ./backup을 하였을 때 삭제된 c.log를 새로 생성한다.
✔️ 쉘 스크립트란?
- 쉘에서 실행될 스크립트, 명령어들이 실행되어야 하는 순서을 저장해놓은 파일이다.
#!/bin/bash: 스크립트 파일이bash쉘로 실행시킨다는 의미이다. (tcsh쉘로 실행시킬시,#!/bin/tcsh로 시작해야 한다.)./backup: 현재 디렉터리에 있는backup을 실행한다.
참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