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넷 - 생활코딩
을 듣고 정리한 내용입니다.
✔️ IP 주소
Internet Protocol Address : 각각의 이용자들이 준수해야하는 규칙
Ip Address
: 각각의 컴퓨터들은 서로 정보를 전달하기 위해 주소 (마치, 전화기는 통신망 위에서 동작한다.)
예를 들면, 각각의 전화가 통신을 주고 받기 위해서 각자 고유한 식별자가 필요하다.
ping opentutorials.org
: 현재 로컬 컴퓨터의 주소를 알 수 있다.
ping
검색하고자 하는 주소
💡 참고
자신의ip
알아내는 법 :my ip
로 검색
ip 주소 단점 : 기억하기 어렵다.
✔️ 도메인 네임
도메인 : 소유지(서버 컴퓨터)
도메인 네임 : IP 주소
ex)
도메인 : naver
IP 주소 : 182.156.22.12
사실 컴퓨터는 도메인을 통해서 서버에 접속할 수 없다.
IP를 통해서만 접속할 수 있다.
DNS(Domain Name System)
도메인을 입력했을 때 DNS에서 ip를 발급받아 해당 웹을 화연에 띄워준다.
💡 참고
도메인을 사용하고 싶다면, 도메인을 구입해서 네임서버에 등록해야한다.
my address
: my ip
로 알아낸 자신의 주소
my address
를 주소에 입력했을 때
성공했다면 공인 IP를 사용중이다.
실패했다면 사설 IP를 사용중이다.
✔️ IP의 숫자는 몇 개일까?
IP의 범위
: 0.0.0.0 ~ 255.255.255.255
IP로는 부족하다.
인터넷이 복잡해진 이유, 만들어진 서버가 인터넷에 직접 연결될 수 없었던 이유는 IP가 부족하기 때문이다.
💡 서버에 접속할 수 없는 이유를 ip 주소 부족의 문제의 틀에서 생각해보자
방법1 : 이를 위한 해결책(근본적인 해결책), IPv6를 사용하자!
IPv4
: 222.109.62.43
IPv6
: 2001:0db8:85a3:08d3:1319:8a2e:0370:7334
IPv6
는 2^128만큼 주소를 만들 수 있다방법2 : 사설 IP, Private IP
사설 IP를 사용하자
방법2 : 사설 IP, Private IP
공유기를 사용시, 사설 ip로 접근할 수 없다.
공유기 : 집안에 컴퓨터가 여러 개 있을 때사설 ip
로 공유기와 연결한다.
- 공인 ip : 공유기가 사용하는 ip
✔️ 공유기를 사용하면?
통신사와 계약한 하나의 회선으로 여러 개의 컴퓨터가 인터넷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 공유기를 사용할 시 가정의 금액적 부담을 줄일 수 있다.
✏️ wifi?
집에 노트북을 사용할 시 무선을 연결 해서 사용하는데, 무선으로 통신하는 방식을wifi
라고 한다.
스마트폰도wifi
로 인터넷을 사용한다.
✔️ 사설 ip vs 공인 ip
사설 ip : 각각의 공유기와 연결되어 있는 컴퓨터들은 ip
들을 가지게 된다.
공인 ip : 공유기 ip
✔️ my ip로 발급받은 주소?
my ip
에 접속하여 발급받은 주소는 웹 브라우저가 설치되어 있는 컴퓨터의 ip가 아닌, 컴퓨터가 접속해 있는 공유기의 ip
이다.
✔️ 포트포워딩 (port forwarding)
- 외부 사용자가 공유기 ip로 접속하였을 때, 웹 서버가 설치 되어있는 사설 ip로 패스해준다.
- 포워딩을 이용해서 보내는 것(toss)이다.
http://222.109.62.43
, http://222.109.62.43:80(8080)
두 개다 똑같은 결과를 볼 수 있다.
여러 개의 문 중에서, 80번의 문을 열고 들어가면 방안에 웹 서버가 설치되어 있다. (mac일 경우 8080)
윈도우
는 80을 생략하면, 80이 있다고 판단한다.mac
을 사용시, 8080을 붙여야 한다.
💡 포트포워딩
- 공유기에게 사설ip 접속할 수 있는 방법을 지정하는 것
- 사설 IP를 사용시 여러 컴퓨터에 접속할 수 있다.
- 외부에서 불필요하게 사설 IP에 접속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EX)
절대 경로 : 서울시 서울동 서울 아파트 302호
상대 경로 : 서울시 서울동 서울 아파트 301호에 살고 있는 사람이 말 하는 옆집
절대 경로 : 나의 위치와 무관하게 표현할 때
http://localhost/index.php
상대 경로 : 나의 위치에 따라서 달라진다.
../index.php
주소에 아무것도 입력하지 않은 시 홈페이지가 열리는데 이는 index.html
: 홈페이지가 열리는 것이다.
각각의 가정에는 통신사에서 케이블을 끌어와 인터넷을 사용한다.
각각의 가정마다 공인 ip를 가지고 있다.
그런데 a라는 집안
에서 오랫동안 공유기를 끈다면 통신사에서는 a라는 집
이 공유기를 끄고 있는 동안 부여했던 ip address
를 회수한다.
새로운 가입자 b
가 있으면 a에게 회수한 ip address
를 준다.
다시 a라는 공유기
가 켜지면 새로운 ip address
를 받게 된다.
💡 참고
다이나믹address
, 통신사 제공하는ip
는 한정적이라 사용하지 않는ip
는 회수한다. 한정적인item
을 운영중이다.
✔️ DDNS (Dynamic DNS) ?
사용자는 도메인 네임으로 접속한다.
➡️ 이걸 해결하기 위해 DDNS
가 도입되었다.
🔔 DDNS 서비스
DDNS
는 도메인과 호스트의 IP를 지속적으로 일치화시키는 작업
✔️ DDNS가 도입될 시
DDNS
를 이용하면 컴퓨터 내부에 프로그램을 설치하게 된다.
DDNS
프로그램을 설치시 10분에 한 번씩 네임 서버에 접속해서 자신의 컴퓨터 프로그램이 설치되어 있는 서버 컴퓨터에 ip
가 몇 번인지를 계속해서 네임 서버에게 알려준다.
네임서버는 현재 42번으로 끝나는 ip
가 유동 ip
체계로 인하여 42에서 43으로 변경될시, DDNS
서비스가 ip
를 계속 넘겨주기 때문에, 유동 ip
체계로 변경된다고 해도 네임 서버에 똑같은 ip
가 저장되어 있다.
(유동 ip가 42이면 네임서버도 42, 유동 ip가 43이면 네임서버도 43으로)
그러므로 유동 ip가 변경된다면 네임 서버에 적용되어 어떤 도메인을 입력했을 때 ip가 바뀐 서버에 접속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 이러한 기능은 공유기가 자체적으로 한다.
➡️ 사용자는 도메인 네임으로 웹 서버에 접속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