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배포와 포워딩 차이
(1) 배포 : 먼저 내가 알고 있는 배포는 애플리케이션이나 서비스를 실제 운영 환경에 올려 사용자가 접근할 수 있도록해주는 과정이다.
(2) 포워딩 : 배포 다르게 내가 사용한 ngrok 포워딩 방식은 네트워크 요청을 다른 곳으로 전달하는 과정 즉, 내가 설정한 localhost:8081과 같은 로컬에서의 서버에 외부에서 접근 할 수 있도록 하는 임시 URL을 통해 포워딩 한다.
(3) ngrok를 사용해본 이유 : 배포는 현재 무료로 할 수 있는 서비스를 찾지 못했다.. 🤣 무료이면서 현재 진행중인 영어 프로젝트처럼 가장 최근 진행중인 프로젝트를 사람들이 볼 수 있도록 하는 게 맞다고 판단했다.
2. ngrok 활용 방법

자신의 운영체제에 맞게 ngrok를 설치해준 후 회원가입 후 명령창에서 밑에 Start an endpoint를 복사하여 넣어준다. 이렇게 하면 임의로 도메인이 발급돼서 뒤에 붙힌 포트로 외부에서 접근 가능하게 한다. ( 회원가입하고 들어가면 세션만료없이 접근할 수 있는 토큰이 발급된다. 위 이미지는 로그인을 하지 않은 상태 )
3. 정적 도메인 할당
처음 이틀 정도는 ngrok http 8080 이 명령어를 통해 ( https://1eb2-181-80-12-3.ngrok.app ) 이런 임시로 발급되는 도메인을 노트북에서 서버를 돌렸다가 시간이 지나면 다시 켜주고 다시 임시로 발급되는 도메인을 사용했다. 근데 이게 .. 너무 귀찮았다. 블로그 + Git 그리고 이전에 했던 리액트네이티브 프로젝트도 엔드포인트를 활용해 하려하니 백엔드 + 프로트엔드 모두 엔드포인트를 계속 바꿔줘야하는거다.. 😥 그래서 역시 무료라서 그런건가 ..? 했지만 이때 네이버로 메일이 하나 왔다 😗

들어가서 Endpoint를 들어가보니

이것처럼 정적으로 변하지 않는 도메인을 할당 받을 수 있었다.
이후 ngrok에 들어가 처음 할당 받은 인증토큰을 입력 후 ( ngrok config add-authtoken 할당받은토큰 ) 나의 도메인 주소 ( ngrok 발급받은 도메인 8081 ) 를 입력하니

이렇게 외부에서 접근 하는 것을 볼 수 있는 대시보드가 떴다. 여기서 대시보드를 확인할 수도 있고 Traffic inspector 메뉴에 들어가면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 ngrok는 대부분 로컬환경에서 테스트를 할 때 사용함으로 만약 좋은 서비스를 알게 된다면 꼭 배포를 진행해보자 😎
4. 실제 포워딩되면 들어가지는 화면

이처럼 할당 받은 도메인 주소로 포워딩 되는 것을 볼 수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