터미널에서 pit pull origin master 로 사용이 가능하며 이전에 다운 받았던 디렉토리로 터미널의 현재 위치가 이동해있어야 한다.
git stash >> 파일에 변경사항이 있을때 git commit(git에 파일 저장)을 수행하기 전에 임시저장하는 명령어
git stash list >> 임시저장된 파일 목록을 확인
git stash pop >> 임시저장한 파일 목록에서 파일을 제거
이벤트가 발생하는 함수 ( ex: onChange={}, onClick={} ..)에서 중괄호 안에 들어갈 함수를 말하며 해당 이벤트가 발생시 실행되는 함수.
event.target.value ==
사건이 발생한. 대상 태그의. 값
즉, setState(event.target.value)라면 setState를 사용하는 대상의 값을 임시저장한다.
기본적으로 true, false를 사용하나 문자열( ' ' ) 안에 하나라도 입력이 되면 true로 취급하고 빈 문자열인 경우 false로 취급한다 이때 공백(space)이 있는 문자열의 경우 true로 인식한다.
숫자 0의 경우 false이며 0이 아닌 수의 경우 true로 취급.
FE - file -> BE (FTP)
FE - simple mail -> BE (SMTP)
FE - text/hyperText(HTML) -> BE (HTTP)
FE와 BE가 요청과 응답을 통해 통신할 때 BE 단에서 응답하는 경우 해당 정보의 헤더에 상태코드를 부여해 전송하며 전송 상태에 따라 다양한 코드번호를 입력해 전송한다
BE의 데이터 처리 담당자는 API로 데이터의 저장, 조회 등 각 처리 기능마다 API가 존재한다.
Rest-API
주소처럼 생긴 이름을 가지며(ex: http://naver.com/board/1) FE단에서 1번 게시글 조회를 요청하면 해당하는 모든 정보를 조회하여(제목, 작성자, 작성일, 내용 등) 응답을 보내주기 때문에 용량이 커져 효율성이 비교적 떨어진다
axios를 사용해 통신한다.
Graphql-API
일반 함수와 같은 이름을 가지며(ex: board(1)) FE단에서 1번 게시글의 작성자와 일자만 요청할 경우 BE에서도 요청받은대로 내용을 뽑아 응답하기에 비교적 효율이 좋다.
apollo-client를 사용해 통신한다.
FE단에서 요청을 통해 BE에서 text data를 받아올 때 보통 객체 형태로 받아오는데 이를 JSON이라 한다.
request-header와 response-header에 발신자와 내용 형태(JSON)가 붙어 내용과 상태코그까지 함께 통신된다.
API 설정 담당자는 CRUD를 기본적으로 설정한다.
Rest-API (axios)
생성:POST, 수정:PUT, 삭제:DELETE, 조회:GET
apollo-client (graphql-API)
생성, 수정, 삭제: MUTATION, 조회:QUERY
생성,수정 삭제는 DB의 정보를 변경하지만 조회는 변경하지 않기 때문에 apollo-client에서 두개의 명령어로 다룰 수 있다.
Rest-API의 경우 포스트맨을 통해 연습할 수 있고, 스웨거를 통해 API docs(어떤 API를 요청할 것인지에 대한 설명서)를 확인할 수 있다.
graphql-API는 플레이그라운드 하나로 통합되어 해당 페이지에서 연습과 docs를 다룰 수 있다.
API docs를 확인할 때 API endpoint는 API의 주소(이름)에서 .com/ 뒤를 의미한다
ex) 'https://koreanjson.com/post/1' 의 'post/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