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토리지에 정적배포를 하는 방법을 말함.
Br에서 사이트에 접근할 경우 FE서버가 아닌 스토리지에 미리 올려둔 HTML, CSS, JS를 다운받아 화면에 그려주는 방식으로 동적 라우팅이 필요한 부분은 그려주지 못하지만 변하지 않는 데이터가 있는, 즉 정적인 부분은 FE서버를 거칠 필요가 없으므로 훨씬 효율적인 방식이다.
다만 이를 위해서는 작성한 프로젝트를 정적 파일(HTML)로 바꾸어 줘야하는데 이는 터미널에서
yarn build
를 통해 생성할 수 있다.
이렇게 생성된 HTML파일은 스토리지에 올려줘야하는데 AWS, GCP등이 대표적이다. 해당 스토리지에 쉘 혹은 드래그 앤 드롭으로 파일을 올려주거나 git clone 등을 통해 받아줄 수 있다.
물론 SSR과 SSG의 분기를 위해 LB 설정 또한 필요하다.
LB에서는 속도를 우선시하는 UDP 분산과 안정성을 우선하는 TCP분산 방식을 선택해 설정할 수 있다.
LB설정 과정에서 프론트앤드와 백엔드의 구성 또한 설정할 수 있는데 LB에서 말하는 프론트, 백의 차이는 개발에서의 개념이 아니라 LB를 기준으로 LB이전의 단계인지 혹은 이후의 단계인지를 구분하는 용어이다.
A : IPv4
AAAA : IPv6
CNAME : www.naver.com => naver.com (이름 바꿔서 리다이렉트)
NS : Name Server
MX : Mail Exchange
SPF : 사이트 소유 증명
TXT : 특정 증명 용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