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버 생성
쉬운 네트워크 구성을 위해서 VPC 버전이 아니라 Classic 버전으로 진행하였습니다.
서버 이미지 선택은 CentOS 7.8 버전으로 하였습니다.
서버 생성
적당한 사양으로 서버의 스펙을 결정합니다.
서버 이름은 나중에 호스트명이 됩니다.
인증키 선택
기존에 보유하고 있는 인증키를 선택하였습니다.
추후 비밀번호 분실 상황에서 인증키가 유효할 수 있습니다.
ACG 선택
기존에 생성해 둔 ACG 를 선택합니다.
ACG 는 내 서버들을 묶어주는 네트워크의 의미도 있고, 방화벽의 의미도 있습니다.
서버 생성
서버 생성 버튼을 누릅니다.
관리자 비밀번호 확인
인증키 파일 업로드 하여 확인
기존에 만들어 둔 인증파일을 업로드 하여 비밀번호를 확인합니다.
서버 접속 콘솔을 통해서 접속
로그인
login: root
Password: 방금 관리자 비밀번호 확인으로 제공된 패스워드 입력
passwd root
New password: 새 비밀버호
Retype new password : 새 비밀번호(다시 입력)
ncp를 이용해서 서버를 만들어서 그 서버에서 여러 도커 컨테이너를 띄워보는등의 연습을 해보았고 nginx를 이용해서 리버스 프록시등을 해보았다. 생각보다 서버를 생성하고 사용하는데 있어서 어려움이 없어서 좋았던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