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t Actor Location에 대한 상세 분석

  1. Set Actor Location의 기본 개념
    Set Actor Location 노드는 액터의 위치를 변경하기 위한 간단한 노드로, 액터의 로케이션(Location) 속성을 직접 설정합니다. 이 노드는 현재 액터의 위치를 원하는 좌표로 변경할 때 사용되며, 물리적 상호작용이 없는 기본적인 위치 이동에 적합합니다.

  2. 그래프 설명

    • Event Tick: 프레임마다 실행되는 이벤트로, 지속적인 업데이트가 필요한 작업을 처리합니다.
    • Get World Delta Seconds: 프레임 시간의 간격을 반환하는 함수로, 프레임마다 다른 실행 속도를 보정하는 데 사용됩니다.
    • 속도(Speed) 계산: 속도와 델타 시간을 곱하여 일정한 움직임을 보장합니다.
    • Direction: 방향에 따라 X, Y, Z 축의 이동 값을 설정합니다.
    • Add 노드: 현재 액터의 위치(Get Actor Location)와 이동 벡터를 더하여 새로운 위치를 계산합니다.
    • Set Actor Location 노드: 계산된 위치 값을 적용하여 액터의 위치를 변경합니다.
  3. 옵션 설명

    • Sweep:
      Sweep 옵션이 활성화되면 이동 경로에서 충돌체와의 충돌을 확인합니다.
      예를 들어, 이동 중 구조물과 충돌 시 이를 감지하여 더 이상 이동하지 않게 설정할 수 있습니다.
      • Sweep = True: 충돌 감지 활성화. 충돌이 발생하면 이동을 중단합니다.
      • Sweep = False: 충돌을 무시하고 이동합니다.
    • Teleport:
      이동 시 충돌 체크 없이 해당 위치로 순간이동(Teleport)을 수행합니다.
  4. 장점 및 단점

    • 장점:
      • 간단한 구현: 물리적 계산 없이 위치를 변경하므로 테스트와 초기 구현 단계에서 유용합니다.
      • 유연성: 벡터를 활용해 원하는 방향과 속도로 쉽게 이동 가능합니다.
    • 단점:
      • 물리적 상호작용 부족: 물리 기반의 상호작용이나 복잡한 충돌 처리가 필요할 경우 한계가 있습니다.
      • 최적화 이슈: Event Tick에서 지속적으로 실행되면 성능 저하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5. 고급 활용

    • 속도 조절 및 방향 전환: 속도 변수와 방향(Enum)을 결합해 움직임의 강도를 조절합니다.
    • 충돌 처리: Sweep 옵션을 사용하여 액터가 충돌 시 특정 로직을 추가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충돌 시 효과를 표시하거나 위치를 초기화하는 방식으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
    • 상태 관리: State Pattern과 결합하여 이동 중 상태(Idle, Move, Attack)를 추가로 관리할 수 있습니다.
  6. 실제 게임 개발 시의 적용

    • 간단한 움직임 구현: 예를 들어, 퍼즐 게임의 NPC 이동이나 특정 애니메이션 연출에 적합합니다.
    • 복잡한 물리 기반 이동: 복잡한 물리 기반 상호작용이 필요한 경우에는 Character Movement Component로 전환하여 더 나은 물리적 처리를 구현합니다.
  7. 테스트 예시

    • 좌우 이동 구현:
      • 방향 키를 누르면 Direction 값을 업데이트합니다.
      • Set Actor Location으로 계산된 위치 값을 적용하여 캐릭터를 이동합니다.
    • 충돌 테스트:
      • Sweep 옵션을 활성화하여 충돌 시 이벤트를 출력하거나 이동을 멈추는 기능을 추가합니다.
profile
李家네_공부방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