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벡터(Vector)란?
1.1 벡터의 정의
벡터는 방향과 크기를 동시에 가진 수학적 개념입니다.
- 방향 → 화살표로 나타냅니다.
- 크기 → 숫자(길이)로 표현합니다.
- 표기법: 문자 위에 화살표를 사용합니다. 예: (v)
1.2 벡터의 예시
- 2차원 벡터:
- 예: (v = (a, b)) → x축 방향의 값이 a, y축 방향의 값이 b인 벡터.
- 3차원 벡터:
- 예: (v = (x, y, z)) → x, y, z축의 값을 가지며 3D 위치를 표현합니다.
결론: 벡터는 위치나 이동, 방향을 표현할 때 사용됩니다.
2. 단위 벡터(Unit Vector)와 정규화(Normalization)
2.1 단위 벡터란?
단위 벡터는 크기가 1인 벡터를 의미합니다.
- 벡터를 정규화(Normalization)하면 단위 벡터가 됩니다.
2.2 단위 벡터 구하는 법
- 주어진 벡터: (v = (a, b)).
- 벡터의 크기(Length): (c = a2+b2).
- 단위 벡터: (u = left (ca, cbright)).
2.3 단위 벡터의 특징
- 방향만 나타내는 벡터입니다.
- 크기는 항상 1입니다.
3. 벡터의 덧셈과 뺄셈
3.1 벡터의 덧셈
벡터의 덧셈은 각 좌표 값을 더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집니다.
- 공식: (\vec{v_1} + \vec{v_2} = (x_1 + x_2, y_1 + y_2)).
예시:
[v1 = (1,2), v2 = (3,4)]
[v1 + v2 = (1+3,2+4)=(4,6)]
3.2 벡터의 뺄셈
벡터의 뺄셈은 각 좌표 값을 빼는 방식입니다.
- 공식: (v1 - v2 = (x1−x2, y1−y2)).
예시:
[v1 = (1,2), v2 = (3,4)]
[v1 - v2 = (1−3,2−4) = (−2,−2)]
3.3 벡터의 시작점과 끝점
벡터의 시작점과 끝점을 알 때, 두 점의 차이로 벡터를 구할 수 있습니다.
- 공식: (AB = B - A = (x2−x1,y2−y1)).
예시:
- (A(1, 1)), (B(3, 3)):
[AB = (3−1,3−1)=(2,2)]
4. 위치 벡터(Position Vector)
4.1 위치 벡터란?
위치 벡터는 좌표값을 사용해 특정 위치를 나타내는 벡터입니다.
- 예: (Vector = (x,y,z)).
4.2 예시
- (A(3, 4)) → 위치 벡터: (OA = (3,4)).
- 벡터는 원점(0, 0)에서 시작하여 점 (A)까지 이어지는 화살표로 표현됩니다.
5. 벡터의 활용: 블루프린트
-
이동과 방향 표현:
- 캐릭터의 위치 이동과 방향 설정에 사용됩니다.
-
속도와 가속도 표현:
- 벡터의 크기와 방향으로 속도나 가속도를 표현합니다.
-
물리적 계산:
-
정규화:
- 벡터를 단위 벡터로 변환해 방향만 필요할 때 사용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