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구조 연결리스트

O(logn)·2023년 10월 17일
0

자료구조

목록 보기
4/10
post-thumbnail

사진: UnsplashLionello DelPiccolo

목차

  1. 리스트
  2. 노드
  3. 타입힌트
  4. 연결리스트 구현(생성자, 삽입, 검색)
    • __init__(), __len__()
    • add_first()
    • add_last()
    • print()
    • search()
    • __contains__()
  5. 연결리스트 구현(삭제)
    • remove_first()
    • remove_last()
    • remove()
    • remove_at()
    • clear()

1. 리스트

  • 리스트(list)는 순서가 있는 데이터를 나열한 구조
  • 실생활의 예
    - 학생 명단, 상점의 판매 품목, 실시간 금상승 검색어, 버킷 리스트 등

    이미지 출처: 세종대 학술정보원

2. 노드

노드(node)

  • 연결 리스트를 구성하는 각각의 원소
  • 데이터와 포인터(뒤쪽 노드를 참조하고 있음)를 가짐

이미지 출처: gongsam21의 티스토리

노드 연결하기

  • 자기 참조(self-referential)
    - 자기 자신을 가리키는 화살표
  • 참조: 목적지를 방향으로 가리키는 화살표
  • Node 클래스의 속성(멤버변수)들
    - data: 데이터에 대한 참조
    -next
    • 뒤쪽 노드에 대한 참조,다음 데이터 그 자체를 의미하게 됨
    • 뒤쪽 노드가 없다면 None('값이 없다')값이 됨

3. 타입힌트(type hint, annotation)

  • 타입 힌트: 프로그래밍에서 자료형 관련 실수를 줄이기 위해 함수의 매개변수와 리턴 자료형을 명시하는 것.
  • 일종의 주석으로 타입 힌트는 강제성이 없다.
    - ⭐타입 힌트를 지키지 않더라도 문법적 에러가 발생하지 않는다.

타입 종류

  • Any: 모든 타입

  • int: 정수

  • float: 정수 또는 실수

  • str: 문자열

  • list: 리스트

  • list[int]: 정수를 원소로 가지는 리스트

  • list[str]: 문자열을 원소로 가지는 리스트

  • tuple: 튜플

  • tuple[int,str,int]: 정수, 문자열, 정수를 원소로 가지는 튜플
    예) (2, "ABC", 14)

  • dict: 딕셔너리

  • dict[str, int]: 키는 문자열 타입, 값은 정수형인 딕셔너리
    예) {"abc": 1, "def":2}

Node 클래스 구현

  • 노드 하나당 하나의 데이터를 가짐

  • 아무 값도 안 넣으면 None이 기본값

  • next는 뒤에 붙은 node를 가리킴

  • next의 데이터 타입은 class로 정의한 Node

  • 노드에 데이터를 입력한 뒤 노드끼리 next속성으로 연결해준다.

4. 연결리스트 구현(생성자, 삽입, 검색)

연결리스트

  • 리스트를 구현하는 방법 중 하나
  • 연결리스트는 각 노드데이터포인터를 가지고 한 줄로 연결되어있는 방식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는 자료 구조
  • 머리 노드(head node): 연결리스트의 맨 앞에 있는 노두
  • 꼬리 노드(tail node): 연결리스트의 맨 끝에 있는 노드

    이미지 출처

속성

  • no: 리스트에 등록되어 있는 노드의 개수
  • head: 머리노드에 대한 참조

메소드

  • __init__(): 생성자(초기화하는 함수)
  • __len__(): 연결리스트의 노드 개수를 리턴하는 함수
    - 호출 방법: len()
    - no값을 리턴함

  • add_first: 맨 앞에 노드를 삽입하는 코드
    - 머리노드에 새로운 노드 연결
    - 기존 머리노드에 새로운 노드 next로 연결
	ptr = self.head

기존 머리 노드를 ptr변수에 저장한다.

	self.head = Node(data, ptr)

머리노드를 'A'에서 ('G', 'A')로 변경했다. 'A'가 삭제되었다가 다시 두 번째 노드로 추가되었으므로 'G'노드가 새롭게 추가된 효과가 나타난다.

	self.no += 1

self.no는 수동으로 기록해 주어야 하는 속성이다. 노드가 하나 추가되었으므로 개수도 1 더해준다. self.no = self.no + 1로도 쓸 수 있다.


  • add_last(): 맨 뒤에 노드를 삽입하는 함수
    - 꼬리 노드를 찾고 꼬리노드 뒤에 새로운 노드를 삽입
	if self.head is None:
    	self.add_first(data)

머리노드가 None이면 self.head를 불러올 때 오류가 발생하므로 if문을 통해 처리를 해준다. 빈 노드면 단순히 맨 앞에 노드를 삽입하기만 하면 된다.

	else:
    	ptr = self.head
        while ptr.next is not None:
        	ptr = ptr.next
        ptr.next = Node(data)
        self.no += 1

빈 노드가 아니면 머리노드를 ptr변수에 저장한 다음 nextNone일 때까지(노드가 끝날 때까지) ptrnext(이동)한 다음, ptr 뒤에 새 노드를 추가해준다. 위에서와 마찬가지로 self.no를 수동으로 카운트해준다.


  • print(): 연결리스트의 모든 노드들을 출력하는 함수

  • search(): 매개변수 data와 값이 같은 노드의 위치를 리턴하는 함수

  • __contains__(): 데이터 포함 여부를 판단하는 함수

5. 연결리스트 구현(삭제)

  • remove_first(): 머리 노드를 삭제하는 함수
    - 리스트가 비어있지 않을 때(head is not None)만 머리노드 삭제
    - head.next를 머리 노드에 대한 참조인 head에 대입함

  • remove_last(): 꼬리 노드를 삭제하는 함수
    - 리스트에 노드가 하나만 존재할 때 머리 노드를 삭제하는 것이므로 remove_first()함수 호출
    -리스트에 노드가 2개 이상 존재할 때 리스트의 맨 끝에서 노드 삭제

  • remove(): p(어떤 노드건 선택 가능)가 지목하는 노드를 삭제하는 함수
    - 리스트가 비어있지 않고 노드 p가 존재할 경우
    -p가 머리 노드면 remove_first()호출
    - p가 머리 노드가 아니면 p 이전 노드를 이용하여 next값인 p노드를 삭제

  • remove_at(): index에 위치한 노드를 삭제
    - index -1의 위치를 찾은 다음
    • index 위치의 노드를 삭제


  • clear(): 모든 노드를 삭제하는 함수
    - 연결 리스트가 비어있을 때까지 머리 노드의 삭제를 반복하여 모든 노드 삭제
profile
聞一知十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