뜻을 직역하면 지시문이라고 할 수 있다. 엘리먼트에게 '이렇게 동작해라' 하고 지시를 해주는 문법이라고 생각하면 된다.innerText, {{ }}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한다. 지정해준 문자열을 그대로 나타내준다.HTML은 기본적으로 텍스트 형태로만 렌더링 되게 해주기
모든 컴포넌트 인스턴스에는 각자의 스코프가 있다. 그래서 기본적으로 하위 컴포넌트에서 상위 컴포넌트의 데이터를 직접 참조할 수 없다.Vue는 상위에서 하위로만 데이터를 전달해야 하는 기본적인 통신 규칙을 따른다.상위에서 하위로 props라는 특별한 속성을 전달하여 데이
JavaScript에서는 DOM과 엘리먼트를 직접 조작하기 위해 getElementById, getElementsByClassName, querySelector와 같은 메서드를 활용할 수 있다. Vue에서는 DOM에 접근하기 위한 방법으로 ref를 제공해준다. ref
가장 먼저 실행되는 훅으로, vue 인스턴스가 초기화 된 직후에 발생된다. 컴포넌트가 DOM에 추가되기 전이기 때문에 data, methods에 접근이 불가능하다.data를 반응형으로 추적할 수 있게 되며 computed, methods, watch 등이 활성화되어 접
뷰 라우터를 이용하여 클라이언트의 요청 경로에 따라 해당하는 컴포넌트를 불러와 페이지를 구성할 수 있다. URL 변경 시 DOM을 새로 갱신하는 게 아니라 미리 컴포넌트를 가지고 있다가 변경된 요소영역만 갱신한다. (SPA) vue에서는 vue-router라는 라우팅
네비게이션 가드(navigation guard)란 뷰 라우터로 특정 URL에 접근할 때 해당 URL의 접근을 막는 방법을 말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인증 정보가 없으면 특정 페이지에 접근하지 못하게 할 때 사용하는 기술이다.전역 가드: 애플리케이션 전역에서 동작라우
computed 어떤 값을 계산된 값으로 리턴해줌 임의의 데이터 리턴하는 함수 작성 => Vue 인스턴스로 등록됨 템플릿단에서 너무 많은 자바스크립트를 사용하면 가독성이 떨어짐 ▼ computed vs methods computed : 결과를 캐시함 methods
vue는 비동기적으로 DOM을 업데이트 한다. 따라서 데이터 변경에 의해 DOM이 업데이트 될 경우, 바로 DOM에 접근할 수 없다. nextTick은 모든 데이터의 업데이트, 렌더링이 끝난 후 콜백함수를 실행해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