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개의 회의실이 있는데 이를 사용하고자 하는 n개의 회의들에 대하여 회의실 사용표를 만들려고 한다. 각 회의에 대해 시작시간과 끝나는 시간이 주어져 있고, 각 회의가 겹치지 않게 하면서 회의실을 사용할 수 있는 최대수의 회의를 찾아라.
단, 회의는 한번 시작하면 중간에 중단될 수 없으며 한 회의가 끝나는 것과 동시에 다음 회의가 시작될 수 있다.
첫째 줄에 회의의 수 n(1<=n<=100,000)이 주어진다. 둘째 줄부터 n+1 줄까지 각 회의의 정
보가 주어지는데 이것은 공백을 사이에 두고 회의의 시작시간과 끝나는 시간이 주어진다.
회의의 시작시간과 끝나는 시간의 조건은 (시작시간 <= 끝나는 시간)입니다.
첫째 줄에 최대 사용할 수 있는 회의 수를 출력하여라.
5
1 4
2 3
3 5
4 6
5 7
3
(2, 3), (3, 5), (5, 7)이 회의실을 이용할 수 있다.
3
3 3
1 3
2 3
2
그리디 알고리즘 문제이다. 여러가지 방법이 있으나, 회의 끝시간이 빠른 것들을 선택해야 더 많은 회의를 진행할 수 있다.
그리디 알고리즘(탐욕 알고리즘)
매 선택에서 지금 이 순간 당장 최적인 답을 선택하여 적합한 결과를 도출하는 알고리즘 설계 기법이다. 그러나 매 선택이 그 순간에 대해서는 최적이지만 그걸 종합적으로 봤을 때 최적이라는 보장은 절대 없다. 그래서 그리디 알고리즘은 부분의 최적해들의 집합이 곧 전체 문제의 해답이 될 때 사용한다.
회의 끝시간이 같은 회의가 여러개일 경우에는 시작시간 기준으로 오름차순 정렬을 해줘야한다. 만약 입력예제 2번처럼 시작시간=끝시간인 회의가 있다면 시작시간 빠른 것부터 세어주고 마지막으로 그 회의도 세어줘야 하기 때문이다.
function solution(array) {
let answer = 0;
array.sort((a, b) => {
// 회의 끝이 같으면 회의 시작 기준으로 오름차순 정렬
if (a[1] === b[1]) {
return a[0] - b[0];
// 아니면 회의 끝 기준으로 오름차순 정렬
} else {
return a[1] - b[1];
}
});
let endTime = 0;
for (let x of array) {
if (x[0] >= endTime) {
answer++;
endTime = x[1];
}
}
return answer;
}
let array = [
[1, 4],
[2, 3],
[3, 5],
[4, 6],
[5, 7],
];
console.log(solution(arr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