첫 TIL기록.흐릿해진 개념을 다시 잡아보자.클래스를 익히기 전 객체지향 프로그래밍에 대해 먼저 알아야 한다.객체 지향 프로그래밍(OOP)이란,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은 컴퓨터 프로그래밍 패러다임 중 하나로, 객체를 기반으로 하는 프로그래밍이다. 필요한 데이터를 추상화시
어제에 이어 클래스를 마저 정리한다.슈퍼클래스 라고 불리우는 부모클래스와 자식클래스(서브클래스) 의 관계를 알아보자.자식클래스는 부모클래스의 모든 속성과 메서드를 사용할 수 있다. 모든 것을 상속받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속성때문에 상속은 코드를 수정, 확장시킬 때 많
에라토스테네스의 체 범위에서 합성수를 지우는 방식으로 소수를 찾는 방법. > #### 1을 제외하고, 2부터 지워지지 않은 수 중 가장 작은 수를 찾아 소수로 지정하고 배수를 지우는 과정을 반복한다. 2를 소수로 채택하고, 자신을 제외한 2의 배수를 모두 지운다. 다
: 재귀함수는 함수 내에서 자기 자신을 불러내는 것을 의미한다.재귀를 이용하는 대표적은 예시로는 피보나치 수열이 있다.간단한 경우부터 생각해 보자.출처패스트캠퍼스, 코딩+알고리즘 강의
정렬 (Sorting) 알고리즘 데이터를 순서대로 정렬하는 알고리즘 버블정렬 (bubble sort) 서로 인접한 데이터를 비교하여 정렬하는 알고리즘 이미지 설명
동적 계획법(DP) 에 대해 알아보자입력의 크기가 작은 문제를 해결하여 이를 저장한 후, 해당 값을 통해 큰 문제를 해결하는 방식을 택한다. 알고리즘이 아닌 하나의 문제 해결 방식을 말한다.동적계획법에의 방법론은 아래 2가지로 나뉜다.타뷸레이션(Tabulation)상향
트라이란 문자열을 저장하고 효율적으로 탐색하기 위한 트리형태의 자료구조를 말한다.트라이는 자동완성, 사전 찾기 등 문자열을 탐색하는 문제에 자주 사용된다.문자열을 탐색할때 시간복잡도 측면에서 보다 효율적으로 찾을 수 있다.보통 문자열 탐색은 문자열의 갯수 \* 각 문
지난 정렬 포스팅에 이어서정렬 알고리즘의 꽃이라 할 수 있다.pivot (기준점) 을 정해서 pivot 보다 작은 데이터는 왼쪽, 큰 데이터는 오른쪽으로 정렬한다.알고리즘리스트의 첫번째 데이터를 pivot 으로 정한다.pivot 과 현재 데이터를 비교하여 pivot 보
프론트 개발자로 HTML 이론을 배웠다면 모두 한번씩은 들어봤을 ‘시맨틱’ 마크업.이는 역할과 목적에 따라 의미를 잘 전달하도록 마크업 하는 것을 말한다.그리고 시맨틱 마크업과 떼어 놓을 수 없는 개념으로 '웹 접근성' 이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웹 접근성이 잘 지켜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