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방향 @ManyToOne @JoinColumn(name = "ORDER_ID") private Order order; 양방향 @OneToMany(mappedBy = "order") private List orderItems = new ArrayList(); public void addOrderItem(OrderItem orderItem) {...
객체와 테이블 연관관계의 차이를 이해객체의 참조와 테이블의 외래 키를 매핑연관관계 주인(Owner) : 객체 양방향 연관관계는 관리가 필요테이블은 외래키로 조인을 사용해서 연관된 테이블을 찾는다.객체는 참조를 사용해서 연관된 객체를 찾는다.테이블과 객체 사이에는 이런
객체와 테이블 매핑 : @Entity, @Table필드와 컬럼 매핑 : @Column기본 키 매핑 : @Id연관관계 매핑 : @ManyToOne, @JoinColumn@Entity가 붙은 클래스는 JPA가 관리, 엔티티라 한다.JPA를 사용해서 테이블과 매핑할
JPA를 이해하는데 가장 중요한 용어객체의 엔티티를 영구 저장하는 환경이라는 뜻EntityManager.persist(entity); \-> "entity"에 들어가는 객체(Member, Team, .. 등)를 DB에 저장하는 구나! 싶지만 좀 더 깊은 의미가
객체와 테이블을 생성하고 매핑하기@Entity : JPA에서 해당 객체를 관리하겠다는 어노테이션@Id : 데이터베이스 PK와 매핑 할 값@Column : 해당 필드가 DB에서 쓰일 때 적용되는 속성들아래 코드 DB 해석 create table Member( id
🧩 SOLID 클린코드로 유명한 로버트 마틴이 좋은 객체지향 설계의 5가지 원칙을 정리 SRP : 단일 책임 원칙 OCP : 개방-폐쇄 원칙 LSP : 리스코프 치환 원칙 ISP : 인터페이스 분리 원칙 DIP : 의존관계 역전 원칙 1) 개방-폐쇄 원칙 확장에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