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능 구현 주요 목표는 다음과 같았다.
클라이언트 페이지에서 서버에 Axios 요청을 보내고 ( GET or POST )
useState 를 활용하여 받아온 값을 상태변수에 저장시켜 놓은 후
(상태변수).map을 활용하여 필요한 컴포넌트에 속성값을 뿌려준다
서버는 axios 요청에 맞춰 해당하는 데이터를 response로 return 해준다
( 서버 구축에는 Express.js, DB는 MYSQL이 사용되었으며 ORM sequalizer를 활용하여 서버에 요청이 들어오면 자동으로 DB를 탐색할 수 있게 구현되었다 )
프로젝트를 진행하며 다양한 툴과 기능을 접할 수 있었고 또 다양한 버그를 맞닥뜨렸다.
… etc
세션 id 쿠키가 로컬환경에서는 잘 동작했지만 ( 한 컴퓨터에서 서버와 클라이언트 페이지를 둘 다 띄웠을 때는 )
원격 환경에서는 잘 동작되지 않았다. 때문에 jwt 방식으로 변경하여 진행했었다.
프로젝트 진행시 디버깅의 비중이 상당히 크다는 것을 느꼈다.
next.js 프레임워크 학습과 적응의 필요성을 느꼈으며
css 부분에서도 많은 라이브러리를 사용해보고 숙달해야 될 것 같다. ( material-ui, tailwind css, bootstrap, semantic-ui 등등 )
기본적인 git 활용법 복습, 프론트쪽 다양한 기능
가령 무한스크롤, 상세페이지 구현 시퀀스 등 많은 부분들을 학습해야 할 것 같다.
MongoDB & mongoose ( ODM ) 을 사용해보고 숙달시켜야 할 필요성을 느낀다.
그리고 web3, infura, solidity 등 스마트 컨트랙트 파트도 깊게 학습해야 될 거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