들어가며
- gitlab 서버 repository에 개발 환경 가이드 작성을 하게 되었습니다.
문제
- 소스코드가 올라갈 gitlab 서버 repository의 프로젝트가 git clone 이 되지 않는 문제가 있었습니다.
해결
- gitlab 서버 repository에 ssh 키 등록을 하지 않아서 발생하였습니다. 실수로 개발환경 가이드 문서가 올라갈 repository에만 ssh 키 등록을 하였었고, 이로 인해 gitlab 서버 repository의 프로젝트가 git clone이 되지 않았네요. ssh 키 등록을 통해 해결하였습니다. (이런 자잘한 실수로 삽질을 엄청합니다.)
그럼 저의 gitlab ssh key 등록 과정입니다. 😂
* ssh key 등록 과정 시작 (windows)
1. 루트의 .ssh 폴더로 이동해서(없다면 생성) 아래 명령어를 통해 RSA 키를 생성합니다.

$ .ssh> ssh-keygen -t rsa -C "EMAIL_ADDRESS" -b 4096
2. 생성된 폴더로 이동하여 id_rsa 파일을 메모장으로 열어줍니다.

3. 파일 안에 내용을 모두 복사합니다.

4. Gitlab에 접속한 뒤 좌측 상단의 프로필을 클릭하여 Edit Profile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5. 좌측에 SSH Keys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6. textarea에 복사한 SSH key를 입력합니다. 아래 title은 해당 컴퓨터 이름을 자유롭게 작성하고 유효기간을 설정합니다. ( 날짜 선택하지 않을 시 무기한 ) 모두 작성한 뒤 [Add key] 버튼을 클릭합니다.

7. 아래와 같은 화면이 나오면 정상적으로 등록된 것입니다.

8. git bash 터미널에서, SSH agent를 시작하고, SSH 키를 agent에 추가합니다.

eval $(ssh-agent)
ssh-add ~/.ssh/id_rsa
9. SSH 접속 테스트

ssh -T git@git.abcdefg.com
-
저의 gitlab ssh 포트는 41010 으로 맵핑 되어 있는데, 지정된 포트가 없다면 뒤에 포트 번호는 생략해도 됩니다.
-
SSH 연결을 시도할 때 사용하는 사용자 이름 (git)과 호스트 이름 (git.abcdefg.com)을 입력해줍니다. (GitLab의 경우, 프로젝트 페이지에서 "Clone" 버튼 옆의 드롭다운 메뉴를 통해 해당 URL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T 옵션은 SSH 연결 자체의 테스트나 간단한 명령 실행을 위해 사용될 때 유용하며, 대화식 쉘 세션을 시작하지 않도록 합니다. (필요 이상의 접근 권한을 제한하여 단순히 연결이 올바르게 이루어졌는지만 확인하려는 것입니다.)
10. SSH clone 작동 확인

마무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