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aaS vs PaaS vs SaaS vs FaaS vs CaaS

dazzi·2024년 1월 9일
2

Cloud

목록 보기
2/2
post-thumbnail

IaaS (Infrastructure-as-a-Service)

  • 인터넷을 통해 최종 사용자에게 IT인프라(컴퓨팅 자원)를 가상화된 형태로 제공하는 형태의 클라우드 컴퓨팅
  • 주로 서버리스 컴퓨팅과 관련
  • 사용자가 오버헤드 없이 온프레미스 컴퓨팅 리소스의 모든 장점을 누릴 수 있음
  • 즉, 사용자는 서버, 스토리지, 네트워크 등의 IT 인프라르 구축할 필요 없이 클라우드 제공 업체가 제공하는 가상 인프라를 활용할 수 있음
  • 사용자가 애플리케이션, 데이터, 운영체제, 미들웨어, 런타임을 다룸

클라우드를 서비스 제공 업체로부터 빌리는 정도에 따라 조금 빌리는 것을 IaaS(Infrastructure as a Service)라 합니다. 이해를 돕기 위해 비유를 하나 들어보겠습니다. 팀장님에서 직원들을 위한 공연을 하나 기획하라는 지시를 받았습니다. 당장 다음 주부터 공연을 무대에 올려야 합니다. 어떻게 하실 건가요? 힘들긴 하지만 소극장을 하나 빌려서, 무대를 스스로 만들고 공연까지 준비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소극장만 빌리는 형태죠. ‘IaaS’입니다.

장점

  • 필요한 만큼 자원 동적으로 할당 가능
  • 비용을 더욱 효율적으로 관리
  • 인프라 확장이 빠르고 용이
  • 보안성 높을 수 있음
  • 필요한 기능을 빠르게 개발 가능

단점

  • 기술적 지식 필요, 운영 부담 클 수 있음
  • 서비스 제공 업체의 제어 및 제한 사항에 의존
  • 네트워크를 통해 서비스를 이용하므로 성능 문제 있을 수 있음

c.f
오버헤드: 어떤 처리를 하기 위해 들어가는 간접적인 처리 시간 · 메모리 등
온프레미스: 기업이 자체적으로 IT 인프라를 소유, 관리 및 운영하는 경우

PaaS ( Platform-as-a-Service )

  • 서비스로의 플랫폼
  •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 플랫폼이 제3사를 통해 제공되는 클라우드 컴퓨팅의 한 형식
  •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는 플랫폼과 플랫폼 실행에 필요한 IT 인프라를 제공하고 관리

장점

  • 기존의 기술과 투자를 활용
  • 비용절감
  • 애플리케이션 개발 주기가 단축
  • DevOps 가 효과적으로 구현
    • 개발자와 IT 운영을 통합하므로 지속적인 제공을 통해 애플리케이션을 빠르게 개발 및 배포 가능
  • 보안 조치를 유지 관리
  • 생산성 향상

단점

  • 제한된 제어 수준
  • 민감한 데이터를 처리하거나 저장할 경우 보안 문제 발생 가능
  • 공급업체에 대한 의존도가 높음
  • 제한된 커스터마이징
  • 비용 예측 어려움

“클라우드를 서비스 제공 업체로부터 빌리는 정도에 따라 적당히 빌리는 것을 PaaS(Platform as a Service)라 합니다. 이해를 돕기 위해 비유를 하나 들어보겠습니다. 팀장님에서 직원들을 위한 공연을 하나 기획하라는 지시를 받았습니다. 당장 다음 주부터 공연을 무대에 올려야 합니다. 어떻게 하실 건가요? 극장 주인에게 내가 원하는 무대까지 요청해서 만들어 달라고 하고 공연만 내가 스스로 준비할 수 있습니다. ‘PaaS’입니다.”

SaaS ( Sofeware-as-a-Service )

  • 완벽히 작동하는 애플리케이션과 해당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플랫폼, 플랫폼의 기반 인프라를 제공
  • 인터넷 브라우저를 통해 최종 사용자에게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클라우드 기반 소프트웨어 모델
  • ex. 스프레드 시트

"클라우드를 서비스 제공 업체로부터 빌리는 정도에 따라 전부 빌리는 것은 SaaS(Software as a Service)라 합니다. 이해를 돕기 위해 비유를 하나 들어보겠습니다. 팀장님에서 직원들을 위한 공연을 하나 기획하라는 지시를 받았습니다. 당장 다음 주부터 공연을 무대에 올려야 합니다. 어떻게 하실 건가요? 공연의 컨셉트만 대행사에 알리고 모든 것을 맡기는 방법이 있습니다. ‘SaaS’입니다."

장점

  • 편리하고 쉬운 접근
  • 비용을 효율적으로 사용 가능
  • 소프트웨어의 설치 및 유지보수가 쉬움
  • 필요에 따라 확장 용이
  • 보안 우려 줄여줌

단점

  • 네트워크에 영향을 많이 받음
  • 데이터 보안에 유의
  • 서비스 제공 업체에 대한 의존성

IaaS vs PaaS vs SaaS

  • as-a-Service 제3사에서 클라우딩 컴퓨팅 서비스를 제공한다는 의미

FaaS ( Fuction-as-a-Service )

  • 개발자가 자체 인프라를 유지관리할 필요 없이 애플리케이션 패키지를 기능으로 빌드, 실행 관리할 수 있게 해주는 일종의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
  • 이벤트 기반 실행 모델
  • 개발자는 애플리케이션 코드의 개별 기능에만 집중 가능
  • 서버리스와 혼동되는 경우가 많지만 서버리스의 하위집합임

장점

  • 인프라가 아닌 코드에 집중
  • 사용한 리소스에 대해서만 비용 지불
  • 자동으로 확장 또는 축소

CaaS ( Container-as-a-Service )

  • 컨테이너 기반의 서비스를 제공, 서비스 간의 오케스트레이션까지 지원
  • 온프레미스 또는 클라우드에 배포할 수 있음
  • 제공업체는 컨테이너가 배포 및 관리되는 프레임워크 또는 오케스트레이션 플랫폼을 제공하는데 핵심 IT 기능이 자동화되는 것은 이러한 오케스트레이션을 통함
  • 일관된 환경을 구축하여 어디서나 실행 가능한 클라우드 네이티브 애플리케이션을 신속하게 개발해 제공할 수 있도록 지원

c.f.
오케스트레이션: 오케스트레이션은 컴퓨터 시스템과 애플리케이션, 서비스의 자동화된 구성, 관리, 조정을 의미합니다. 오케스트레이션은 IT 팀이 복잡한 태스크와 워크플로우를 보다 쉽게 관리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출처:
https://www.samsungsds.com/kr/cloud-glossary
https://www.redhat.com/ko/topics/cloud-computing
IaaS vs PaaS vs SaaS: https://www.redhat.com/ko/topics/cloud-computing/iaas-vs-paas-vs-saas

메모:
https://www.samsungsds.com/kr/insights/210903jhj_cloud.html
읽어보기..

1개의 댓글

comment-user-thumbnail
2024년 1월 10일

예시 최고네요 💕😍

답글 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