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시 타입의 값 vs 객체 타입의 값
구분 | 원시 타입의 값 | 객체 타입의 값 |
---|---|---|
?! | 변경 불능한 값 | 변경 가능한 값 |
변수에 할당하면 ?! | 변수에 실제 값이 저장 | 변수에 참조 값이 저장 |
다른 변수에 할당하면 ?! | 원시 값이 복사되어 전달 (값에 의한 전달) | 참조 값이 복사되어 전달 (참조에 의한 전달) |
원시 타입의 값은 변경 불가능한 값
한번 생성된 원시 값은 읽기 전용(read-only) 값으로서 변경할 수 없음
상수와 변경 불가능한 값을 동일시 x
상수는 재할당이 금지된 변수
이때 변수가 참조하던 메모리 공간의 주소가 변경된 이유는 변수에 할당된 원시 값이 변경 불가능한 값이기 때문이다.
만일 원시 값이 변경 가능한 값이라면, 변수에 새로운 원시 값을 재할당했을 때 변수가 가리키던 메모리 공간의 주소를 바꿀 필요 없이 원시 값 자체를 변경하면 됨
불변성 : 변수 값을 변경하기 위해 원시 값을 재할당하면, 새로운 메모리 공간을 확보하고 재할당한 값을 저장한 후, 변수가 참조하던 메모리 공간의 주소를 변경
불변성을 갖는 원시 값을 할당한 변수는 재할당 이외에 변수 값을 변경할 수 있는 방법이 없음
var str = 'string';
str[0] = 'S';
console.log(str); // string
변수에 원시 값을 갖는 변수를 할당하면 할당받는 변수에는 할당되는 변수의 원시 값이 복사되어 전달됨
var score = 80;
var copy = score;
console.log(score); // 80
console.log(copy); // 80
score = 100;
console.log(score); // 100
console.log(copy); // 80
score 변수와 copy 변수의 값 80은 다른 메모리 공간에 저장된 별개의 값
값에 의한 전달
도 사실은 값을 전달하는 것이 아니라 메모리 주소를 전달
단, 전달된 메모리 주소를 통해 메모리 공간에 접근하면 값을 참조 가능
✚ ⍺
객체 타입의 값은 변경 가능한 값
객체를 가리키는 변수를 다른 변수에 할당하면 원본의 참조 값이 복사되어 전달됨
var person = {
name: 'Lee'
};
var copy = person;
console.log(copy === person); // true
copy.name = 'Kim';
person.address = 'Seoul';
console.log(person); // {name: "Kim", address: "Seoul"}
console.log(copy); // {name: "Kim", address: "Seou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