웹 개발 기초
정적 컨텐츠 동작 환경
서버에서 작업 하는 것이 없고 static폴더에 있는 html 파일을 그대로 웹 브라우저에 전달 해주는 것
MVC 동작 환경
- JSP,PHP 등 템플릿 엔진을 사용
- 서버에서 프로그래밍 해서 HTML을 동적으로 바꿔서 응답 해주는 것
- Model, View, Controller
- 정적 컨텐츠와의 차이는 서버에서 HTML을 무언가 바꿔서 응답해주는 것
- 웹 브라우저에서 접근하고자 하는 URL 입력
- 스프링부트에 내장되어 있는 웹 서버(톰캣)로 연결
- 톰캣 서버로 연결하면 스프링 컨테이너에 등록되어 있는 bean 즉 controller를 찾는다.
- controller에 매핑되어 있는 메서드와 해당 메서드와 매핑되어 있는 view단으로 연결
- 웹 브라우저에서 접근하고자 요청 했던 작업이 반환되어 view단과 연결
API 동작 환경
- 안드로이드나 아이폰 클라이언트와 개발 할 때는 JSON형태로 정보를 전달하는데 이런 방식을 API방식이라 한다
- Vue.js나 React도 API방식으로 많이 사용
- 서버끼리 통신할 때도 API 방식으로 사용
- 웹 브라우저에서 접근하고자 하는 URL과 보낼 데이터를 입력
- 스프링부트에 내장되어 있는 웹 서버(톰캣)로 연결
- 톰캣 서버로 연결하면 스프링 컨테이너에 등록되어 있는 bean 즉 controller를 찾는다.
- controller에 매핑되어 있는 메서드와 해당 메서드에 @ResponseBody 어노테이션을 확인한다.
- @ResponseBody 어노테이션은 JSON형태로 Key, Value 방식의 데이터로 변환해준다.
- JSON형태로 변환된 데이터를 요청준 곳으로 응답해준다.
※ 참고 문헌
김영한님의 "스프링 입문 강의"를 듣고 정리한 내용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