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SAC x 코딩온] 웹 풀스택 회고 07 | 서버 동작, 구축 및 접속 단계

HyeKong·2023년 8월 8일
0
post-thumbnail


웹 동작 구조

1) 클라이언트 요청 => 웹서버 정적 페이지로 응답
2) 클라이언트 요청 => 웹 애플리케이션 서버가 데이터베이스에 데이터 요청 => 동적 페이지 응답

서버 구축 방법

1) 서버 호스팅
서버 한 대 통째로 임대

2) 웹 호스팅
서버 한 대의 일정 저장공간 임대, 다른 사용자들과 해당 서버 공유

서버 호스팅 vs 웹 호스팅

서버 호스팅

자체 관리 필요, 작동 환경 유동적 설정 가능 , 비교적 높은 비용

웹 호스팅

비교적 낮은 비용, 웹 호스팅 사 운영, 사용상 제약 존재

클라우드

언제 어디서든 인터넷을 통한 접속 가능

클라우드 컴퓨팅

서버, 네트워크 등 인프라 전체 임대
가상화 기술을 통해 마음대로 서버 구축, 운영
AWS, Azure, NCP 등

가상화

컴퓨터의 물리적 장치 => 소프트웨어로 대체

클라우드 서버

가상 머신 VM으로 서버 운영
프로그램으로 컴퓨터(서버) 생성해 이용
root 권한 가짐

클라우드 유형

퍼블릭 클라우드

사용한 만큼만 요금 지불
클라우드 서버 | 호스팅 공급자가 소유, 관리

프라이빗 클라우드

기업 내부에서 센터 만듦
조직 운영, 외부 사용자 접근 불가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퍼블릭/프라이빗 클라우드 결합

서버 구축

  1. NCP를 통한 서버 개설
  2. PuTTY를 통한 서버 접속 (공인 IP 사용)
  3. FileZilla(FTP 서비스)를 통한 서버 내 파일 배치
    • 경로: /var/www/html
  4. PuTTY CLI를 통해 Apache 설치
  5. Apache를 통한 웹서버 구축
    • 웹 서버: 클라이언트에 정적 페이지 전송
  6. 공인 IP를 통한 웹페이지 접속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