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프링 부트 프로젝트의 설정 파일 형식 2가지

박제욱·2024년 3월 8일
0

Spring

목록 보기
7/20
post-thumbnail

사진 출처 : https://namu.wiki/w/Spring(%ED%94%84%EB%A0%88%EC%9E%84%EC%9B%8C%ED%81%AC)

스프링 부트 프로젝트의 설정 파일 형식의 종류

스프링 부트 프로젝트에서 사용하는 설정 파일은 2가지가 있는데 properties 방식yml 방식이다. properties 방식은 파일명이 application.properties이고 yml 방식은 파일명이 application.yml이다.

application.properties

application.properties 방식은 .(마침표)를 통해 나타낸다.
Ex)

server.port=포트번호
server.file.uploadSize=3m

application.yml

application.yml 방식은 띄워쓰기와 :(콜론)를 통해 나타낸다.
Ex)

server:
  port: 포트 번호
  //server:의 다음 줄에 port 적기 전에 spacebar를 반드시 2번을 입력해 띄워쓰기를 해주자. 
  //띄워쓰기 2번은  띄워쓰기 2번해준 줄의 내용이 이전 줄의 내용에 속해있다는 의미이다. 
  file:
    uploadSize: 3m

application.properties 방식과 application.yml 방식의 차이

application.properties 방식과 application.yml 방식의 차이는 application.properties 방식에서는 server라는 단어를 계속 적어주고 .으로 구분을 해줘야 하지만 application.yml 방식은 server라는 단어를 한 번만 적어주면 된다. 둘 중에 뭐가 더 좋은 것이냐고 봤을 때는 둘 다 형식이 다를 뿐 동작하는 것은 같기에 뭐가 좋다고 할 것이 없다. 굳이 더 좋은 것이라고 한다면 코드를 적게 적어도 되기 때문에 application.yml 방식이 효율면에서 더 낫다고 할 수 있을 것 같다.

0개의 댓글

관련 채용 정보